KR200185457Y1 -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457Y1
KR200185457Y1 KR2019950035341U KR19950035341U KR200185457Y1 KR 200185457 Y1 KR200185457 Y1 KR 200185457Y1 KR 2019950035341 U KR2019950035341 U KR 2019950035341U KR 19950035341 U KR19950035341 U KR 19950035341U KR 200185457 Y1 KR200185457 Y1 KR 200185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hift cable
cable
shi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928U (ko
Inventor
신수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5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457Y1/ko
Publication of KR970021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작업시에 공수의 감소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에 있어서,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그 중간부에 시프트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되는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과;
케이블의 외주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케이블에 고정되는 제1 소켓과, 상기 제1 소켓과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며 케이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의 측단의 케이블에 고정결합되는 제3 소켓과, 상기 제2 소켓과 제3 소켓 시이에 개재되어 제2 소켓을 제1 소켓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탄지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프트 케이블의 착탈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은, 일측은 변속레버측과 트랜스밋션사이에 연결되어 변속레버의 변속조작력을 트랜스 밋션에 전달함으로서 주행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회전수를 가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의 중간부는 차체 등에 브라켓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과,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10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은, 차체(105)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107)로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은 그 중간부가 시프트 케이블(103)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로 홈(109)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홈(109)은 상방에서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의 중간부까지 뚫려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103)는, 중간부에 복수의 소켓(111), (113)이 고정되는데, 이 소켓(111)과 소켓(113)사이에는 약간의 거리가 이격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의 홈(109)에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103)의 중간 부분을 삽입하고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과 소켓(111), (113)의 일측 사이공간에 클립(115)을 개재시킨다.
상기 클립(115)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소켓(111), (113)과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101)이 서로 반발하는 탄성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를 브라켓에 장착할 때 클립을 끼움에 있어 필요 이상의 힘이 들며, 강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끼움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클립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조립 작업시에 공수가 증가하여 조립이 늦어져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 작업시에 공수의 감소는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에 있어서,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그 중간부에 시프트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되는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과, 케이블의 외주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케이블에 고정되는 제1 소켓과, 상기 제1 소켓과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며 케이블 방향으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의 측단의 케이블에 고정 결합되는 제3 소켓과, 상기 제2 소켓과 제3 소켓 사이에 개재되어 제2 소켓을 제1 소켓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탄지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를 제공한다.
[작용]
상기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는,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에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를 장착시에 제2 소켓을 제3 소켓 측으로 밀착시켜 제1소켓과 제2 소켓 사이의 공간을 충분하게 형성되도록 한 후에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의 삽입홈에 십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소켓에 가압하고 있던 힘을 해제함으로서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에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가 고정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적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변속레버 어셈블리(1)와, 트랜스 밋션(3)과, 상기 변속레버 어셈블리(1)와 트랜스 밋션(3)사이에 연결되는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는 변속레버(7)의 작동에 따라 트랜스 밋션(3)의 변속 기어를 적정하게 이동 및 치합 시킴으로서 적정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얻는 것이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는 중간부를 차체에 고정시킴으로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과,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은, 차체(11)에 일단이 볼트(13)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의 타단은 소정의 형태로 절곡되어 대략 "ㄴ"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의 중앙부에는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가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13)은 상단에서 중간부까지 시프트 케이블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는, 그 중간부에 제1, 2, 3소켓(15), (17), (19)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소켓(15)은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의 일측에 고정결합 된다.
그리고 제3 소켓(19)은 제1 소켓(15)과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시프트 케이블의 외주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소켓(15)과 제3 소켓(19) 사이에 시프트 케이블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소켓(17)이 배치된다.
상시 제2 소켓(17)과 제3 소켓(19) 사이에 압축탄성부재(21)를 개재하여 제2 소켓(17)을 제1 소켓(15)측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는,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에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를 장착하여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 제2 소켓(17)을 제3 소켓(19)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탄성부재(21)의 탄성한계를 극복하고 제2 소켓(17)은 제3 소켓(19)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1 소켓(15)과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의 삽입홈(13)에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 소켓(15)과 제2 소켓(17) 사이의 공간을 삽입한다.
그리고 제2 소켓(17)에 가압하고 있는 가압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제2 소켓(17)은 탄성부재(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의 일측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가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를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으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한 역순으로 이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는, 원터치형식으로 간단하게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에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착탈작업이 용이하며 공수가 감소됨으로서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에 있어서, 차체(11)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그 중간부에 시프트 케이블(5) 삽입홈(13)이 형성되는 시프트 케이블 브라켓(9)과, 상기 케이블의 외주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케이블에 고정되는 제1 소켓(15)과, 상기 제1 소켓(15)과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며 케이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소켓(17)과, 상기 제2 소켓(17)의 측단의 케이블에 고정결합되는 제 3 소켓(19)과, 상기 제2 소켓(17)과 제3 소켓(19) 사이에 개재되어 제2 소켓(17)을 제1 소켓(15)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1)가 탄지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어셈블리(5)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KR2019950035341U 1995-11-23 1995-11-23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KR200185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341U KR200185457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341U KR200185457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928U KR970021928U (ko) 1997-06-18
KR200185457Y1 true KR200185457Y1 (ko) 2000-08-01

Family

ID=1943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341U KR200185457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4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928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937A (en) Multipartite pedal of plastic material for vehicles
CA2214815A1 (en) Torsional bushing system
KR200185457Y1 (ko) 자동차용 시프트 케이블 착탈구조
US5626212A (en) Motor vehicle with a gearshift lever and a hand brake lever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US6510915B1 (en) Mounting of a gear-shift in a motor vehicle
JP5272413B2 (ja) センサケーブル
KR10102702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200236358Y1 (ko)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슬리브
KR200150715Y1 (ko) 자동차용 액셀레이터 페달
JPH044274Y2 (ko)
KR200198936Y1 (ko) 자동차 패널 압입용 와이어링 크램프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KR200144460Y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KR200160659Y1 (ko) 도어스 커프트림
JPH0332815Y2 (ko)
KR200148148Y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지지구조
KR970000616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그로메트구조
KR950002647Y1 (ko) 자동차 오일쿨러(Oil Cooler)용 어댑터(Adapter)
KR19990028293U (ko) 자동차용 파킹 브래킷
KR0126078Y1 (ko) 자동차용 파이프 취부구조
JPH0716057U (ja) 自動車用チェンジレバーの支持部構造
KR19980033325U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구조
KR19980037597U (ko) 장착이 용이한 릴리즈 포크
KR20070052412A (ko) 자동차 티지에스 케이블 소켓 구조
JPH0656980U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