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026B1 -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026B1
KR101027026B1 KR1020050003659A KR20050003659A KR101027026B1 KR 101027026 B1 KR101027026 B1 KR 101027026B1 KR 1020050003659 A KR1020050003659 A KR 1020050003659A KR 20050003659 A KR20050003659 A KR 20050003659A KR 101027026 B1 KR101027026 B1 KR 10102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ube
mounting bracket
clamp
steering apparatus
vehicle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238A (ko
Inventor
이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0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튜브의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강성을 유지함으로써 파손을 예방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피니언을 수용하는 피니언 하우징과, 랙 샤프트를 수용하는 실린더튜브와, 상기 실린더튜브를 차체에 고정하도록 설치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실린더튜브(21)의 외주에 감싸이도록 끼워진 마운팅브라켓(110)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단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부시클램프(120)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클램프에 끼워져 고정된 부시(130)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110)과 접촉하는 실린더튜브(21)의 외주에는 소정의 폭으로 너어링면(21a)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너어링면에서 압입하여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튜브(21)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형의 요홈(21b)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21b)에 끼워져 마운팅브라켓(110)이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멈춤링(2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어박스, 실린더튜브, 너어링, 멈춤링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Gear Box of Automobile Stee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실린더튜브가 마운팅브라켓과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운팅 구조가 적용된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부분단면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어박스의 실린더튜브가 마운팅브라켓에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
도 6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실린더튜브 21a: 너어링면
21b: 요홈 21c: 멈춤링
110: 마운팅브라켓 120: 부시클램프
130: 부시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튜브의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강성을 유지함으로써 파손을 예방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 운전석에 설치되는 조향 휠과, 그 하측에 구비되는 조향축, 그리고 이 조향축과 연결되어 동력전달방향을 전환하는 기어박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기어박스는, 조향축으로부터 조향 휠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에 치합되어 피니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되는 랙 샤프트를 요체로 하고 있다.
도 4에는 종래 기어박스 어셈블리의 통상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피니언(10)은 피니언 하우징(11)에 수용되고, 랙 샤프트(20)는 중공의 실린더튜브(21)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니언 하우징(11)과 실린더튜브(21)가 서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실린더튜브(21)에 수용된 랙 샤프트(20)의 말단부 즉, 랙 엔드(20a)는 벨로우즈 구조로 된 부트(30)에 수용되면서 타이로드 엔드(40)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어셈블리는, 도면에도 나타나 있듯이, 피니언 하우징(11) 부위에 구비되는 브라켓(50)과, 실린더튜브(21) 부위에 구비되는 또하나의 브라켓(60;이하, 앞서의 브라켓과 구분하여 '클램프'라 함)에 의해 차체의 하측에 마운팅되며, 이렇게 고정된 기어박스 어셈블리 는 그 하측에 조립되는 로어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해 은폐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50)과 클램프(60)에 의한 마운팅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브라켓(50)은 피니언 하우징(11)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부에 체결용 호울(5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60)는 실린더튜브(21)의 외주에 감싸여져 용접으로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61)과, 이 마운팅브라켓(61)의 단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부시클램프(62)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클램프(62)에는 부시(70)가 끼워져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시(70)는 내측에 부설된 스틸재의 파이프(71)와, 이 파이프를 감싸도록 부설되되 고무재질로 된 부시(72)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어박스는 상기 실린더튜브(21)의 외주면에 마운팅브라켓(61)이 용접되는 구조이므로 실린더튜브(21)가 변형이 발생되고, 또 이에 따라 강성이 저하되고, 파손이 쉬워 누유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운팅브라켓과 접촉하는 실린더튜브의 외주에 너어링면이 형성되어 마운팅브라켓을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실린더튜브에 마운팅브라켓을 설치할 때 실린더튜브의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조립강성을 유지함으로써 파손을 예방하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실린더튜브에는 환형의 요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 요홈에는 C형 클립형태의 멈춤링이 설치되어 마운팅브라켓이 실린더튜 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는, 피니언을 수용하는 피니언 하우징과, 랙 샤프트를 수용하는 실린더튜브와, 상기 실린더튜브를 차체에 고정하도록 설치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실린더튜브의 외주에 감싸이도록 끼워진 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단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부시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클램프에 끼워져 고정된 부시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접촉하는 실린더튜브의 외주에는 소정의 폭으로 너어링면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너어링면에서 압입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는 상기 실린더튜브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형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 끼워져 마운팅브라켓이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멈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는 상기 멈춤링이 C형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실린더튜브가 마운팅브라켓과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4 내지 도 6과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10)은 피니언 하우징(11)에 수용되고, 랙 샤프트(20)는 중공의 실린더튜브(21)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니언 하우징(11)과 실린더튜브(21)가 서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실린더튜브(21)에 수용된 랙 샤프트(20)의 말단부 즉, 랙 엔드(20a)는 벨로우즈 구조로 된 부트(30)에 수용되면서 타이로드 엔드(40)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어셈블리는, 도 4에도 나타나 있듯이, 피니언 하우징(11) 부위에 구비되는 브라켓(50)과, 실린더튜브(21) 부위에 구비되는 또하나의 브라켓(100;이하, 앞서의 브라켓과 구분하여 '클램프'라 함)에 의해 차체의 하측에 마운팅되며, 이렇게 고정된 기어박스 어셈블리는 그 하측에 조립되는 로어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해 은폐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100)는 실린더튜브(21)의 외주에 감싸이도록 끼워진 마운팅브라켓(110)과, 이 마운팅브라켓(110)의 단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부시클램프(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클램프(120)에는 부시(130)가 끼워져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부시(130)는 내측에 부설된 스틸재의 파이프(131)와, 이 파이프를 감싸도록 부설되되 고무재질로 된 부시(13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상기 클램프(100)에 의한 마운팅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마운팅브라켓과 접촉하는 실린더튜브의 외주에는 소정의 폭으로 너어링면(21a)이 형성되어 마운팅브라켓(110)을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끼운후 상기 너어링면에서 압입하여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튜브(21)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형의 요홈(21b)이 형성되며, 이 요홈(21b)에 끼워져 마운팅브라켓(110)이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멈춤링(21c)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멈춤링이 C형 클립이 사용된 상태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튜브(21)와 마운팅브라켓(110)을 고정하기 위해 용접을 하지 않고 너어링면(21a)으로 마운팅브라켓(110)을 압입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용접부의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또 상기 멈춤링(21c)에 의해 마운팅브라켓(11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조립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브라켓과 접촉하는 실린더튜브의 외주에 너어링면이 형성되어 마운팅브라켓을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실린더튜브에 마운팅브라켓을 설치할 때 실린더튜브의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조립강성을 유지함으로써 파손을 예방하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튜브에는 환형의 요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 요홈에는 C형 클립형태의 멈춤링이 설치되어 마운팅브라켓이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피니언을 수용하는 피니언 하우징과, 랙 샤프트를 수용하는 실린더튜브와, 상기 실린더튜브를 차체에 고정하도록 설치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실린더튜브(21)의 외주에 감싸이도록 끼워진 마운팅브라켓(110)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단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부시클램프(120)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클램프에 끼워져 고정된 부시(130)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110)과 접촉하는 실린더튜브(21)의 외주에는 소정의 폭으로 너어링면(21a)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너어링면에서 압입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튜브(21)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형의 요홈(21b)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21b)에 끼워져 마운팅브라켓(110)이 실린더튜브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멈춤링(2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링은 C형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1020050003659A 2005-01-14 2005-01-14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10102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659A KR101027026B1 (ko) 2005-01-14 2005-01-14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659A KR101027026B1 (ko) 2005-01-14 2005-01-14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38A KR20060083238A (ko) 2006-07-20
KR101027026B1 true KR101027026B1 (ko) 2011-04-11

Family

ID=3717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659A KR101027026B1 (ko) 2005-01-14 2005-01-14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53A (ko) * 2019-05-02 2020-11-11 문광수 다웰바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73B1 (ko) * 2005-12-13 2008-11-05 주식회사 만도 랙 하우징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구비한 조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434B1 (ko) * 1996-07-15 1999-01-15 오상수 자동차용 컬럼샤프트의 로킹링 결합구조
KR20010096167A (ko) * 2000-04-17 2001-11-07 배길훈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KR20020027094A (ko) * 2000-10-06 2002-04-13 밍 루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튜브의 완충구조
KR200367678Y1 (ko) 2004-08-11 2004-11-12 김용근 철근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434B1 (ko) * 1996-07-15 1999-01-15 오상수 자동차용 컬럼샤프트의 로킹링 결합구조
KR20010096167A (ko) * 2000-04-17 2001-11-07 배길훈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KR20020027094A (ko) * 2000-10-06 2002-04-13 밍 루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튜브의 완충구조
KR200367678Y1 (ko) 2004-08-11 2004-11-12 김용근 철근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53A (ko) * 2019-05-02 2020-11-11 문광수 다웰바 어셈블리
KR102209113B1 (ko) * 2019-05-02 2021-01-29 문광수 다웰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38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9611A (ko) 차량 브레이킹 시스템의 유압 유닛을 차량 내에탄력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치
US6330929B1 (en) Rack bushing for fluid power assisted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assembly
JP2004505851A (ja) 自動車の風防ガラス用のワイパ装置及びワイパ装置の固定方法
KR10102702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JP5054783B2 (ja) ワイパ駆動装置の駆動軸に用いられるシール装置および相応のシール装置と相応のワイパ駆動装置とを形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736092B1 (ko) 차량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JP5015664B2 (ja) 支持体に位置固定されたワイパモータ・伝動装置ユニットならびに位置固定のための方法
KR20080037290A (ko) 프로펠라 샤프트 센터 베어링 서포트 조립체
KR200150363Y1 (ko)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KR20060081094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100764165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KR10176493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3806587B2 (ja) 舵取装置の取付構造
JP3755728B2 (ja) シリンダチューブに対する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100764213B1 (ko) 스티어링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CN210761001U (zh) 车轮护罩固定支架及车辆
KR100794937B1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조립구조
JP2001080528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の固定装置
KR100795095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20060077243A (ko)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벨로우즈 체결구조
KR10073844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씰링구조
KR20090120728A (ko) 랙바 지지장치
KR101665262B1 (ko) 조향장치
KR10079507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100392655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용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