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167A -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167A
KR20010096167A KR1020000020128A KR20000020128A KR20010096167A KR 20010096167 A KR20010096167 A KR 20010096167A KR 1020000020128 A KR1020000020128 A KR 1020000020128A KR 20000020128 A KR20000020128 A KR 20000020128A KR 20010096167 A KR20010096167 A KR 20010096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ousing
retainer ring
bulkhead
power stee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영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2000002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167A/ko
Publication of KR2001009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3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in axial direction, e.g. between rack bar and tie-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용공구로 고리부를 잡아 실린더 하우징으로부터 리테이너링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링을 분리하기 위한 홀을 실린더 하우징에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함은 물론 그 홀의 가공에 따른 실리콘 삽입공정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실리콘의 이탈에 따른 이물질 유입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bulk-head retainer ring assembly structure for power steering ge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동력 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의 동력 조향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크헤드(bulk head)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동력 조향기어의 수리시 전용공구로 고리부를 잡아 실린더 하우징으로부터 리테이너링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링을 분리하기 위한 홀을 실린더 하우징에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함은 물론 그 홀의 가공에 따른 실리콘 삽입공정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실리콘의 이탈에 따른 이물질 유입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조작력을 조향기어 및 링크 등에 전할 하는 조작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는 기어기구와, 그 기어기구의 작동을 전륜에 전달하고 좌우륜의 관계위치를 바르게 지지하는 링크기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조항장치는 조향축의 회전력을 전륜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에 따라 워엄 섹터형과, 보울 너트형과, 가변 기어비형과, 랙 피니언형으로 대분되고 있다.
이러한 조향장치는 조작력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동력 조향장치를 사용하고있는데, 이 방식은 엔진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중간에 설치된 배력장치로 보내여 배력장치의 작동으로 조작력을 가볍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랙 피니언 방식의 동력 조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조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토션바(112)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유압을 개폐하기 위한 유압 제어밸브(111)와, 이 유압 제어밸브(11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113)와, 유압 제어밸브(111)의 토션바(112)와 연결되어 비틀림 회전력을 전달하여 주는 피니언 기어(115)와, 그 유압 제어밸브(111)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공급받는 실린더 하우징(117)과, 일단부 원주상에 피니언 기어(115)와 맞물리는 랙 기어(122)를 가지면서 실린더 하우징(117)에 의하여 좌, 우측 조향력을 제어 받는 랙바(121)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하우징(117)내에 결합된 랙바(121)의 중단부에는 하우징(117)내부를 좌측 챔버(118)와 우측 챔버(119)로 구획하는 피스톤(12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획된 좌측 챔버(118)와 우측 챔버(119)는 각각의 유압호스(116)를 통해 유압 제어밸브(111)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오일펌프(113)의 압축된 오일은 압축호스(114)를 통해 유압 제어밸브(111)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랙바(121)의 양측단에는 좌우측 휠의 너클과 연결되는 타이로드(127)(128)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상 실린더 하우징(117)의 좌측단에는 실린더 하우징(117)의 내주면과 랙바(1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좌측 챔버(118)를 기밀시키는벌크헤드(131)가 리테이너링(14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하우징(117)의 우측단에는 우측 챔버(119)를 기밀시키기 위한 인터랙 실(도시생략)이 끼워져 있으며, 실린더 하우징(117)의 좌측 끝단부에는 랙바(121)를 지지하는 쇼크 댐퍼 링(135)이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동력 조향장치는 조향축이 회전되면 랙바(121)가 좌, 우측으로 이동하여 타이로드(127)(128)를 밀거나 당기게 되어 유압 조향하게 된다. 즉, 조향축과 연결된 유압 제어밸브(111)의 토션바(112)는 조향축의 회전방향, 회전각에 따라 오일펌프(113)의 유압회로를 실린더 하우징(117)의 좌측 챔버(118) 및 우측 챔버(119)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으로써, 피스톤(123)을 통해 랙바(121)를 좌, 우측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며, 이때 랙바(121)에 연결된 타이로드(127)(129)는 휠의 진행각도를 조절하여 조향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동력 조향장치에서, 종래 벌크 헤드 리테이너링(14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단이 전단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하우징(117)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117a)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동력 조향기어의 수리시 리테이너링(141)을 분리해내기 위해서는 실린더 하우징(117)에 링홈(117a)과 연통되는 홀(117b)을 형성하고 그 홀(117b)에 날카로운 치구를 삽입하여 리테이너링(141)을 밀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실린더 하우징(117)의 가공시 리테이너링(141)의 분리를 위한 홀(117b)을 미리 가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리테이너링(141)의 조립시 그 홀(117b)을 실리콘으로 밀봉하는 실리콘 처리공정이 추가되어 작업을 번잡하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홀(117b)에 밀봉된 실리콘은 자칫 홀(117b)로부터 이탈 분리될 수 있는데, 이렇게 실리콘의 이탈로 인해 홀(117b)이 개방될 경우 외부의 이물질이 부트(129)로 밀폐된 부위 즉, 랙바(121)와 타이로드(127)(128)의 연결부위, 실린더 하우징(117) 등으로 유입되어 기밀부재나 동력 연결부재 등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린더 하우징으로부터 벌크헤드 리테이너링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링을 분리하기 위한 홀을 실린더 하우징에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함은 물론 그 홀의 가공에 따른 실리콘 삽입공정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실리콘의 이탈에 따른 이물질 유입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랙 피니언 방식의 동력 조향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력 조향장치의 벌크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종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의 조립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가 적용되는 동력 조향기어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벌크헤드 리테이너링을 분리하기 위한 전용공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7 : 실린더 하우징 31 : 벌크헤드
32 : 홈부 41 : 리테이너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실린더 하우징의 내주면과 랙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벌크헤드가 고정되도록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링홈에 벌크헤드 리테이너링이 끼워지는 동력 조향기어의 리테이너링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의 일측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동력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리테이너링(41)이 적용되는 동력 조향기어의 일부를 보인 것으로서, 실린더 하우징(17)내에는 랙바(21)가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 하우징(17)의 좌측단에는 실린더 하우징(17)의 내주면과 랙바(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실린더 내부를 기밀시키는 벌크헤드(31)가 리테이너링(41)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리테이너링(41)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절단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하우징(17)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17a)에 끼워진다. 또한,전단부가 위치되는 벌크헤드(31)의 측면에는 고리부(42)와 벌크헤드(31)의 측면간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32)가 요입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 하우징(17)의 링홈(17a)에 조립된 상태의 리테이너링(41)은 벌크헤드(31)를 실린더 하우징(17)내 고정시켜 이동 및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고정수리 등으로 인해 리테이너링(41)을 실린더 하우징(17)의 링홈(17a)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전용공구(70)로 리테이너링(41)의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부(42)를 잡아당기게 되면 링홈(17a)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벌크헤드(3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32)는 리테이너링(41)의 고리부(42)와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용공구(70)로 고리부(42)가 보다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벌크헤드의 측면에 홈부를 함으로써, 동력 조향기어의 수리시 전용공구로 고리부를 잡아 실린더 하우징으로부터 리테이너링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리테이너링을 분리하기 위한 홀을 실린더 하우징에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됨과 아울러 그 홀의 밀봉을 위한 실리콘 삽입공정을 없앨 수 있게 되며, 홀에 삽입된 실리콘이 이탈됨에 따른 개방으로 인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실린더 하우징의 내주면과 랙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벌크헤드가 고정되도록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링홈에 리테이너링이 끼워지는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의 일측면에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KR1020000020128A 2000-04-17 2000-04-17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KR20010096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128A KR20010096167A (ko) 2000-04-17 2000-04-17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128A KR20010096167A (ko) 2000-04-17 2000-04-17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167A true KR20010096167A (ko) 2001-11-07

Family

ID=1966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128A KR20010096167A (ko) 2000-04-17 2000-04-17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26B1 (ko) * 2005-01-14 2011-04-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2449U (ko) * 1979-03-13 1980-09-19
JPS58170268U (ja) * 1982-05-10 1983-1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ツク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KR980002437U (ko) * 1996-06-28 1998-03-30 자동차파워스티어링기어용 리테이너링
KR100308227B1 (ko) * 1993-06-02 2001-11-30 타카미츄 무토 랙·피니언식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2449U (ko) * 1979-03-13 1980-09-19
JPS58170268U (ja) * 1982-05-10 1983-1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ツク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308227B1 (ko) * 1993-06-02 2001-11-30 타카미츄 무토 랙·피니언식조향장치
KR980002437U (ko) * 1996-06-28 1998-03-30 자동차파워스티어링기어용 리테이너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26B1 (ko) * 2005-01-14 2011-04-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2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draulic seal retainer for a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EP2130744B1 (en) Actuator for vehicle
US6125715A (en) Device in a robot arm
KR20010096167A (ko)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링 조립구조
JP2007302232A (ja) 油圧式動力補助操向装置のシーリング部構造
KR20000017742U (ko) 동력 조향기어의 벌크헤드 리테이너 링 구조
KR100748669B1 (ko)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스티어링 기어유닛
JP4293513B2 (ja) ピストン棒がない直線駆動装置
JP3667072B2 (ja)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
CN219565213U (zh) 转向机及其蜗杆组件
JP3911422B2 (ja) 液圧パワーシリンダ
KR100458223B1 (ko) 스티어링장치용 유압제어밸브의 오일씰 설치방법
KR200181790Y1 (ko) 자동차의 변속기 조작용 배력장치의 실린더 구조
KR200281986Y1 (ko) 동력조향장치의 랙부시 고정구조
KR10099199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 피스톤 구조
KR100417962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2002029427A (ja) ステアリングジョイントカバー
KR20060101627A (ko) 동력조향장치의 랙스토퍼 조립구조
KR19990025878U (ko) 자동차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458224B1 (ko) 스티어링장치의 랙스톱퍼
CA2299796A1 (en) Pinion support
KR100444084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20050020293A (ko) 4륜구동 자동차의 허브록킹 장치
KR20000018904U (ko) 피니언 베어링 지지용 더스트 커버를 갖는 동력 조향기어 구조
KR20030037417A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노이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