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992Y1 -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992Y1
KR200184992Y1 KR2019990027133U KR19990027133U KR200184992Y1 KR 200184992 Y1 KR200184992 Y1 KR 200184992Y1 KR 2019990027133 U KR2019990027133 U KR 2019990027133U KR 19990027133 U KR19990027133 U KR 19990027133U KR 200184992 Y1 KR200184992 Y1 KR 200184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fixing device
plat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남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희림종합건축사무소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48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5606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희림종합건축사무소, 이창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희림종합건축사무소
Priority to KR2019990027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992Y1/ko
Priority to KR2020000005289U priority patent/KR200188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Abstract

본 고안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양 단부 상단에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를 고정하고, 양 단부 하단에 다수개의 삼각형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를 고정하고, 경사 및 수평 PS강선을 설치한 후 긴장력을 가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하여 내력이 부족한 부재를 보강하는 PS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PS강선 정착장치는 PS강선을 정착판과 평행하게 긴장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재 정착장치(1), PS강선을 정착판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긴장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콘 소켓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재 정착장치(2), 경사 PS강선 및 수평 PS강선을 동시에 긴장하여 정착할 수 있는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및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를 조합하여 이용한다.
상기 PS강선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PS강선을 유압 잭으로 긴장시킨 후 정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함으로서, 종래의 보강대상부재의 양 단부의 상부에서는 장애물 때문에 효과적인 포스트텐션을 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양 단부의 하부에서 포스트텐션을 가할 수 있게 함으로서 효율적으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를 보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에스강선 정착장치{Grip for prestressing wire}
본 고안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에 PS강선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 외부에 PS강선 정착장치를 고정한 후 PS강선을 설치하고, 유압 잭을 이용하여 PS강선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한 후 쐐기 및 와이어콘을 이용하여 정착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을 유지하는 PS강선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스트텐셔닝 방법은 PS강선을 콘크리트 부재 속에 배치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한 후 정착하는 내적 포스트텐션 및 PS강선을 콘크리트 부재 밖에 배치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한 후 정착하는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은 구조물의 보강 및 내적 포스트텐션 방법과 병용하여 또는 단독으로 건축구조물 제작에 이용되며, 별도의 PS강선을 수용하기 위한 콘크리트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 및 쉬스의 이용없이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 내부에 PS강선을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구조내력이 부족한 구조물을 보강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PS강선을 절곡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방향전환 블록을 절곡해야 할 위치에 배치하여 PS강선의 설치방향을 조정한 뒤 상기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의 정착부에 유압 잭을 이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한 뒤 쐐기를 이용하여 정착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을 유지한다.
상기 종래의 방향전환 블럭은 PS강선이 절곡되어야 할 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PS강선의 설치방향을 조정하므로 긴장력을 가할 경우 절곡되는 부분의 PS강선에 불필요한 응력집중이 가해지고, 다수 개의 블록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PS강선 설치방향의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곡해야 할 부위가 많은 경우 방향조정을 위해 다수개의 방향전환 블록이 이용되어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의 양 단부에서 긴장력을 가하는 경우 절곡되는 부위마다 유효한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S강선의 양단에 정착장치를 설치하여 긴장하는 작업을 기존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착장치에 유압 잭을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지만 주위에 기둥 및 슬래브등 장애물이 많아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의 양 단부에서 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상기 양 단부의 안쪽에서 PS강선의 긴장을 가하는 각도를 줄여 긴장력을 가할 수밖에 없어 보강효과가 떨어져 종래의 포스트텐셔닝 보강방법은 부재단면이 긴 교량 또는 보에서는 이용될 수 있으나 건축구조부재 보강에는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주위에 장애물이 많아 종래의 PS강선 정착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한 보 양단에서의 긴장작업을 주위의 장애물에 영향 없이 PS강선 정착장치를 보 양단에 부착하여 긴장할 수 있는 PS강선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길이와 높이에 따라 경사 PS강선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채 절곡되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라도 PS강선을 직선상태에서 포스트텐션을 가할 수 있어 PS강선에 불필요한 응력집중의 방지 및 유효 포스트텐션을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PS강선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복부에 발생하는 주응력의 궤도에 따라 길이가 길어 무거운 PS강선을 설치하는 대신 길이가 짧아 가벼운 다수개의 PS강선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주응력 궤도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PS강선을 설치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는 PS강선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도1A는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B는 PS강선이 삽입된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고안의 와이어콘 소켓이 핀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B는 PS강선이 삽입된 와이어 콘과 본 고안의 와이어콘 소켓이 핀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의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B는 PS강선이 삽입되어 정착된 본 고안의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4A는 본 고안의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B는 PS강선이 삽입되어 정착된 본 고안의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5A는 포스트텐션이 도입된 PS강선이 설치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 및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가 고정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입면도이다.
도5B는 포스트텐션이 도입된 PS강선이 설치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 및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가 고정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입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
2: 와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
3: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
4: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
5, 5', 17, 26: 정착판
6, 6': 보강판
7, 12, 18, 27, 27': 정착블럭
11, 11': PS강선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PS강선 정착장치는 경사 PS강선(11)의 한쪽 단부를 정착시키기 위해 고정되는 나비형 PS강선 고정장치(2)와 경사 PS강선(11) 및 수평 PS강선(11')이 만나는 위치에 고정된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및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로 구분된다.
상기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는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와는 달리 소정의 각도록 와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이다.
상기 와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판(5), 보강판(6), 두 개의 정착블럭(7) 및 와어어콘(8)으로 구성되며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4')와의 조합으로 이용된다.
상기 정착판(5)은 나비형상의 판으로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인 빔 또는 거더의 양 단부의 양쪽 측면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9)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6)은 상기 정착판(5)의 상부의 중앙에 고정된 사각형 판이다. 상기 정착블럭(7)은 와어어콘(8)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판(6)의 상부에, 지지부(7') 및 몸통부(7'')로 이루어진 기역자 형상의 블록이며, 두 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와어어콘(8)은 정착블럭(7)의 양 몸통부(7'') 사이에 삽입된 원주형상이며, 내부 중앙에 원추형의 중공에 쐐기에 의하여 경사 PS강선(11)이 물려서 정착된다.
상기 와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는 슬래브와 같이 높이가 낮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측면에 PS강선 정착장치를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구조물 보강에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슬래브와 같은 보강대상부재에는 본 고안의 소정의 각도로 와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가 이용된다.
상기 소정의 각도로 와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는 정착판(5'), 보강판(6'), 두 개의 정착블럭(12), 핀(13) 및 머리부(14')와 소켓부(14'')가 연속하여 이루어진 와어어콘 소켓(14)으로 구성된다. 도2A는 상기 소정의 각도로 와어어콘 소켓(14)이 회전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며 본 고안의 고정된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와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슬래브와 같이 높이가 낮아 고정이 어려운 경우, 슬래브의 하부면에 고정되어도 와이어콘 소켓(14)이 회전할 수 있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채 포스트텐션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는 것이 상기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와 다르다.
상기 정착판(5')은 나비형상의 판으로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9')이 형성된다. 도2A에는 4개의 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판(6')은 정착판(5')의 상부의 중앙에 고정된 사각형 판이다.
상기 정착블럭(12)은 와어어콘 소켓(14)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판(6')상부에 지지부(12') 및 몸통부(12'')로 이루어진 기역자 형상의 블록이며, 두 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12'')에 중공이 형성되어 양 몸통부(12'')사이에 핀(13)이 삽입되며 와이어콘 소켓(14)이 몸통부(12'') 사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와이어콘 소켓(14)의 소켓부(14'')가 접하는 몸통부는 둥굴게 형성된다.
상기 핀(13)은 원주형으로서, 정착블럭(12)의 양 몸통부(12'')의 중공 사이에 와어어콘 소켓(14)의 머리부(14')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와어어콘 소켓(14)의 머리부(14')는 원주형으로서, 정착블럭(12)의 양 몸통부(12'') 사이에 삽입된 핀(13)이 관통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된 핀(13)을 축으로 와어어콘 소켓(14)이 정착판(6')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채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은 와이어콘 소켓(14)이 정착블럭의 안쪽에서 약간 움직일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와어어콘 소켓(14)의 소켓부(14'')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어어콘 소켓(14)의 머리부(14')보다 큰 직경의 원주형으로서, 내부 중앙에 와이어콘(31)에 삽입된 PS강선의 여장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중공부(15)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16)가 형성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주형상이며, PS강선이 삽입되어 쐐기로 정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와이어콘(31)이 상기 와어어콘 소켓(14)의 암나사부(16)에 결합된다. 상기 중공은 쐐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는 정착판(17) 및 정착블럭(18)으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 또는 소정의 각도로 와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와 조합하여 이용된다. 또한 도5A에는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한쪽측면만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측면에도 상기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경사 PS강선(11)과 수평 PS강선(11'')을 동시에 긴장력을 가하기 위해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인 빔 또는 거더의 양 단부의 양쪽 측면의 하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간격 안쪽에 형성된다.
상기 정착판(17)은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판이다. 정착판(17)에는 내력이 부족한 대상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9'')이 형성된다. 도3A에는 3개의 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도 가능하다.
상기 정착블럭(18)은 경사 PS강선(11)이 절곡되지 않고 소요각도를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볼록한 둥근 항아리 형상으로서, 정착판(17)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돌출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수평중공(19)과 내공(20)이 형성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PS강선(11)을 정착할 와이어콘은 상기 정착블럭(18)의 볼록한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접지부분이 오목하게 형성한다. 정착블럭(18)의 하단부는 원형의 수직중공(21)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중공(21)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의 양 측면에 각각 마주보도록 고정된 두 개의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를 연결재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착블럭(18) 내부의 상단부에는 수평 PS강선(11')이 쐐기에 의해 정착될 수 있도록 원추형의 수평중공(19)이 형성되며, 내부의 하단부에는 경사 PS강선(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23)가 하부에 형성된 반바지 형상의 내공(20)이 형성된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는 정착판(26), 두 개의 정착블럭(27,27') 및 하중지지판(25)으로 구성되며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의 변형예이다,
상기 정착판(26)은 자동차 형상의 판이다. 정착판(26)에는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볼트구멍(24)이 형성되며 두 개의 바퀴부분에는 맞은편에 고정된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와 연결재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수직구멍(30)이 형성된다. 도4A에는 1개의 타원형 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도 가능하며 중량감소를 위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지지판(25)은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양 바퀴사이에 형성된 직사각형 판이며 상기 정착판(26)과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착블럭(27,27')은 정착판(26)의 좌측 상부에 돌출되어 고정되는 띠형 정착블럭(27)과 우측에 돌출되어 고정되는 수직 정착블럭(27')으로 구분된다.
상기 띠형 정착블록(27)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경사 PS강선(11)이 절곡되지 않고 소요각도를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면이 오목한 내공(28)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 PS강선(11)은 오목한 내면과 밀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접지면이 볼록한 와이어콘에 의해 정착된다.
상기 수직 정착블럭(27')은 내부에 수평 PS강선(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수평중공(29)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PS강선(11')은 와이어콘에 의해 정착된다.
본 고안의 PS강선 정착장치를 고정하여 이용하는 방법은 다수개의 와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 또는 소정의 각도로 와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를 고정하는 단계, 다수개의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를 고정하는 단계 및 다수개의 경사 PS강선(11) 및 수평 PS강선(11')을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1')는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의 구멍(9)에 팽창볼트로 박아 고정한다. 상기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1')는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의 양단부의 최상단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슬래브와 같이 높이가 낮아 PS강선 정착장치를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에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소정의 각도로 와어어콘 소켓이 회전할 수 있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2)를 보강대상부재의 양단부의 하부면에 고정한다.
상기 다수개의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4')는 도5A 및 도5B와 같이 경사 PS강선(11) 및 수평 PS강선(11')이 만나는 위치가 대략 중앙에 형성되도록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3')의 정착판(17)의 구멍(9'')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4')의 정착판의 볼트구멍(24)에 팽창볼트를 박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0)에 고정한다. 또한 마주보는 삼각형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와 연결재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수직중공(21,30)을 보강대상부재(10) 측면의 하단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경사 PS강선(11)의 설치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1',2)와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3') 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4')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수평 PS강선(11')의 설치는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의 수평중공(19,29)과 타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의 수평중공에 사이에 설치한다.
경사 PS강선(11)를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하는 단계는 경사 PS강선(11)의 한쪽 단부를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1,1',2)에 와이어콘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정착하고, 타 단부는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3') 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4')에 삽입한 후 유압잭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가하여 와이어 콘으로 정착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이 도입· 유지된다.
수평 PS강선(11')를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하는 단계는 수평 PS강선(11')의 한쪽 단부를 와이어콘을 이용하여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의 수평중공(19,29)에 정착하고, 타 삼각형 PS강선 정착장치(3') 또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4')의 수평중공에 삽입된 타 단부를 유압잭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가하여 와이어 콘으로 정착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이 도입· 유지된다.
본 고안의 PS강선 정착장치는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주위에 있는 장애물 때문에 양 단부에서 유압잭을 작동시킬 여유공간이 없는 경우 및 보강대상부재의 높이가 낮은경우라도 효율적으로 포스트테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길이가 긴 PS강선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여 설치해야 할 경우라도 PS강선이 절곡되는 위치마다 부분적으로 직선상태에서 PS강선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함으로서 PS강선에 불필요한 응력집중을 가하지 않으면서 유효 포스트텐션을 확보할 수 있고,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복부에 발생하는 주응력의 궤도에 따라 길이가 짧아 가벼운 다수개의 PS강선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주응력 궤도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PS강선을 설치함으로서 최적의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개의 중공(9')이 형성된 나비형상의 정착판(5');
    상기 정착판(5') 상부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보강판(6');
    상기 보강판(6') 상부에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지지부(12')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12'')로 이루어진 기역자 형상의 두 개의 정착블록(12);
    상기 두 개의 정착블럭(12)의 몸통부(12'')의 중공사이에 삽입된 원주형상의 핀(13); 및
    상기 두 개의 정착블럭(12)의 양 몸통부(1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13)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주형의 머리부(14') 및 상기 머리부(14')보다 직경이 크고, 내주면에는 중공부(15)와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16)가 연속되어 형성된 소켓부(14'')로 구성된 와어어콘 소켓(1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
  2. 자동차 형상의 판이며, 두 개의 바퀴에 수직구멍(30) 및 볼트구멍(24)이 형성된 정착판(26);
    상기 정착판(26) 좌측 상단부에 돌출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구부러진 띠형상으로 내공(28)이 형성된 띠형 정착블럭(27);
    상기 정착판(26) 우측에 돌출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수평중공(29)이 형성된 수직 정착블럭(27'); 및
    사각형 판이며, 상기 정착판(26)의 두 개의 바퀴 사이에 정착판(26)과 직각으로 형성된 하중지지판(2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형 PS강선 정착장치.
KR2019990027133U 1999-12-03 1999-12-04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KR200184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133U KR200184992Y1 (ko) 1999-12-03 1999-12-04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KR2020000005289U KR200188426Y1 (ko) 1999-12-04 2000-02-25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819A KR100356063B1 (ko) 1999-12-03 1999-12-03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KR2019990027133U KR200184992Y1 (ko) 1999-12-03 1999-12-04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819A Division KR100356063B1 (ko) 1999-12-03 1999-12-03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289U Division KR200188426Y1 (ko) 1999-12-04 2000-02-25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992Y1 true KR200184992Y1 (ko) 2000-06-15

Family

ID=2663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133U KR200184992Y1 (ko) 1999-12-03 1999-12-04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9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2941B2 (ja) アーチ橋の解体撤去方法
US20110278752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ping for bridge
KR100356063B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CN101942812B (zh) 一种桥梁加固方法以及预应力高强钢丝网锚具在桥梁加固中的应用
KR20090126493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JP3701250B2 (ja) 斜張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184992Y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JP4391011B2 (ja) 架設鋼材定着用治具
KR200188426Y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KR100832100B1 (ko)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 및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
JP4336659B2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KR20190014813A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0386478B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JP3847604B2 (ja) 床版の打替工法
JP4056540B2 (ja) 橋桁の架設方法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20060057233A (ko) 슬래브 단부 보강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시 재긴장이 가능한피에스씨 아이빔 및 그 피에스씨 아이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보수 방법
JP2003193424A (ja) 複合トラス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JP4375788B2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JP2002332645A (ja) 地上走行クレ−ンレ−ル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の敷設方法
JP2003138517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多径間連続桁構造物の分割施工により構成された桁部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5090066A (ja) 吊り足場の設置方法
JPH11256690A (ja) 屋根構造物の構築方法
CN219011521U (zh) 一种混凝土钢结构预埋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