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296Y1 - 흡음 단열재 - Google Patents

흡음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296Y1
KR200183296Y1 KR2019990030508U KR19990030508U KR200183296Y1 KR 200183296 Y1 KR200183296 Y1 KR 200183296Y1 KR 2019990030508 U KR2019990030508 U KR 2019990030508U KR 19990030508 U KR19990030508 U KR 19990030508U KR 200183296 Y1 KR200183296 Y1 KR 200183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ng material
insulation
synthetic fibers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봉선
Original Assignee
홍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봉선 filed Critical 홍봉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음, 방음, 단열에 이용되는 흡음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에 방음 또는 차음이 필요한 벽체에 내장 시공되거나 외장재로 직접 시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흡음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량의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와 단위 밀도를 유지하여 흡음, 방음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흡음 단열재를 제공하고, 수십겹으로 적층되고 니들 펀칭되어 이루어진 합성 섬유를 단일재료로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므로 이질적인 재료 요소간의 접합에 따른 어려움이 배제되고 제조가 단순 용이한 흡음 단열재를 제공하며, 적층된 합성 섬유에 의하여 복원력이 뛰어나고 경량 구조 및 가요성을 갖으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한 흡음 단열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흡음 단열재{INSULATING MATERIAL}
본 고안은 흡음, 방음, 단열에 이용되는 흡음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에 방음 또는 차음이 필요한 벽체에 내장 시공되거나 외장재로 직접 시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흡음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창고 등의 벽체, 천정재, 칸막이 등에 있어서는 방음 처리가 필요하게 되며 이들에는 예를 들면 석고보오드, 석면 슬레이트, 또는 소정의 공기층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의하여 주로 방음 가능하도록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방음 처리는 방음성에 대해서는 단위 중량당의 방음효과가 뒤 떨어지고, 구조의 구축이 번잡하며 또한 공기가 길어져 과다한 시공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일부 해소하고자 이루어진 방음재로서 우레탄 및 폴리에틸렌(P.E), 러버(Rubber) 등의 포옴(Foam)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유리섬유(Glass Wool)에 철판을 타공 접착한 제안이 안출된 바도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내흡수성, 내유성 및 내후성 저하로 인하여 소음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에 의하면 흡음 또는 방음재로 시공함에 있어서 이미 특정의 형상으로 가공되어 이루어지므로 시공 상황에 따라서 재 가공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유리 섬유 등은 특히 폐암을 유발하는 등,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단열재인 동시에 유리 섬유 자체가 무기물로서 중량이 무거워 시공이 어려우며 경량화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 등에는 사용을 꺼리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수십겹으로 적층되고 니들 펀칭되어 이루어진 합성 섬유를 단일재료로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므로 이질적인 재료 요소간의 접합에 따른 어려움이 배제되고 제조가 단순 용이한 흡음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적층된 합성 섬유에 의하여 복원력이 뛰어나고 경량 구조 및 가요성을 갖으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한 흡음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를 마련하고, 원료인 합성 섬유를 잘게 부수는 개섬과정과, 상기 융점이 상이한 섬유를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혼합된 원료를 곱게 펴서 시트 형태로 형성하는 개면과정과, 개면된 시트를 소요의 두께와 길이로 적층하는 성형과정과, 상기 성형된 적층체에 포함된 저융점 합성섬유가 용융되어 접합을 이루도록 열풍을 가하는 열 가공과정과, 열 가공된 적층체의 흡음 요철과 소요의 두께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성형된 형태를 정착시키도록 냉풍으로 냉각시키는 냉각과정과, 냉각된 적층체를 소요의 형태로 재단하여 포장하는 과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흡음 단열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음 단열재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음 단열재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 11 : 하부 시트
13 : 상부 시트 15 : 접착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사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흡음 단열재는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를 혼합하여 개면한 시트를 적층하여 가열 합지한 시트(10)와 이 시트의 상부 표면에 요돌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20)을 가압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엠보싱(20)은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가 열풍 가열에 의하여 합지될 때 가압 성형하여 이룬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 의하면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를 혼합, 개면하여 적정 두께를 갖는 하부 시트(11)를 형성하고, 요돌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20)을 가압 성형하여 상부 시트(13)를 마련하여, 상, 하부 시트(13,11)를 접착층(15)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흡음 단열재에 사용되는 합성섬유는 부직포이며 부직포 시트를 수겹 내지 수십겹 적층하여 가열 합지하고 이 합지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소정의 필요 두께로 형성하여 내장재로 이용하거나 방음재로 시공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고안은 단일재료로 이루어져 이질재간의 접합 등에 따른 제조의 어려움이 없고, 흡음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엠보싱이 표면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접합에 의하여 제조됨으로 흡음 효율이 뛰어나며 복원력과 인장 강도가 높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작용을 이룬다.
상기 합성 섬유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부직포는 저융점 합성섬유와 고융점 합성 섬유로 구분되어 마련되며 소요의 두께가 형성되도록 적층하여 가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저 융점 합성 섬유가 용융되어 고융점 합성 섬유와 긴밀하게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적층체는 그 밀도가 매우 조밀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흡음률, 복원력 및 인장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일의 적층체의 표면에 엠보싱 처리된 요돌조가 반복적으로 무수히 성형되는 요철 표면 성형단계에 의하여 흡음재로 기능할 때 흡음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며 더우기 이러한 표면의 가공을 단일의 적층체 표면에 직접 행하므로 공정이 간소화 된다.
여기서 상기 적층체는 융점이 상이하여 열 가공 과정을 거친 후 요돌조가 형성된 가압 로울러 또는 가압판으로 가압하므로 표면 두께 조절과 동시에 표면의 엠보싱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경량 합성 섬유인 부직포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와 단위 밀도를 유지하여 흡음, 방음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표면에 엠보싱을 일체로 형성하여 흡음, 방음의 효과가 있고, 단일재질로 제조하므로 이질적인 재료 요소간의 접합에 따른 어려움이 배제되고 제조가 단순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적층된 합성 섬유는 복원력이 뛰어나고 경량 구조 및 가요성을 갖으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따르면 상기 흡음 단열재를 이루는 적층체는 환경 오염의 우려가 없는 환경 친화적인 재료로만 이루어지므로 인체와 환경에 유용하며 이러한 효과에 따라서 상기 적층체는 건출물에 사용되는 고유의 방음재로서 뿐만아니라 다른 용도로의 전용도 가능하다.
예컨데 침구용 매트에 쿠션재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런한 쿠션으로의 기능은 적층체가 수십겹의 부직포로서 이루어짐에 의하여 가능한 것인데 특히 상부 표면에 형성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엠보싱에 의하여 쿠션재로서 바람직하게 기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용은 본 고안의 청구 범위 기술에 의하여 단순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건의 권리 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Claims (2)

  1. 여러층의 합성 섬유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흡음 단열재에 있어서,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를 혼합하여 개면한 시트를 적층하여 가열 합지한 시트(10)와, 상기 시트의 상부 표면에는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가 열풍 가열에 의하여 합지될 때 가압 성형한 요돌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단열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 단열재는 융점이 상이한 합성 섬유를 혼합, 개면하여 적정 두께를 갖는 하부 시트(11)를 형성하고,
    요돌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20)을 가압 성형하여 상부 시트(13)를 마련하여,
    상기 상, 하부 시트(13,11)를 접착층(15)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단열재.
KR2019990030508U 1999-12-30 1999-12-30 흡음 단열재 KR2001832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054A KR20010058698A (ko) 1999-12-30 1999-12-30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 단열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054A Division KR20010058698A (ko) 1999-12-30 1999-12-30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296Y1 true KR200183296Y1 (ko) 2000-05-15

Family

ID=196332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054A KR20010058698A (ko) 1999-12-30 1999-12-30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 단열재
KR2019990030508U KR200183296Y1 (ko) 1999-12-30 1999-12-30 흡음 단열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054A KR20010058698A (ko) 1999-12-30 1999-12-30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586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596B1 (ko) * 2001-04-10 2004-06-16 (주)유영산업 신발갑피 내부 보강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13B1 (ko) * 2000-05-17 2002-08-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774075B1 (ko) * 2000-05-25 2007-11-0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열융착 견면의 제조방법
KR20020039071A (ko) * 2000-11-20 2002-05-25 최광인 3차원 섬유구조의 폴리에스터 흡음재의 제조방법
KR100415534B1 (ko) * 2001-03-21 2004-01-16 김병태 솜 성형제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69201B1 (ko) * 2002-07-29 2006-04-10 가람테크(주) 복합섬유매트 및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020070413A (ko) * 2002-08-14 2002-09-09 주식회사 풍진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한 파이프 단열 보온재 및 그제조방법
KR100561275B1 (ko) * 2002-10-12 2006-03-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표면 열처리 견면
KR101239228B1 (ko) * 2010-09-14 2013-03-08 대한민국 목탄 분말을 포함하는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049030A (zh) * 2017-10-19 2018-05-18 常熟市中意无纺制造有限公司 一种外轮罩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061A (ja) * 1995-02-20 1996-09-03 Kobe Steel Ltd 繊維強化樹脂積層成形品およびその製法
KR100214170B1 (ko) * 1996-12-12 1999-08-02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기능성 부직포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260283B1 (ko) * 1997-10-24 2000-11-01 정몽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섬유로된방음재
KR100300762B1 (ko) * 1998-09-24 2001-10-27 지성구 난연성방음재및그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596B1 (ko) * 2001-04-10 2004-06-16 (주)유영산업 신발갑피 내부 보강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698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4340B1 (en) A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200183296Y1 (ko) 흡음 단열재
CN103069086A (zh) 声学板
WO1999063169A2 (en) Multi-purpose, aluminum foam-based soundproof panel
KR100627220B1 (ko) 건축물 층간 차음 및 단열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0665085B1 (ko) 복합방음판 및 그의 제조방법
CN2350456Y (zh) 一种隔音板
KR100266857B1 (ko) 다층의 차음 구조가 구비된 소음방지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JPH04351538A (ja) 緩衝材及びそれを用いて成る防音床材
KR20040055558A (ko) 성형이 용이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 시트의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시트, 및 차량 및 건축용 판재
KR20140094253A (ko) 폴리에스터 압착보드를 이용한 타공 흡음패널
KR101924479B1 (ko) 경량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1722874U (zh) 一种保温吸音装饰板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160104581A (ko)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1549U (ko) 건축용 마감재
KR200386960Y1 (ko) 복합방음판
KR102228816B1 (ko) 흡음 및 방음용 보드
CN215290925U (zh) 一种多向冲孔吸音铝板吊顶
EP2354356A1 (en) Preformed thermo-acoustic insulation panel
KR102632605B1 (ko) 흡음보드의 제조방법
KR200311505Y1 (ko) 차음, 방진성을 갖는 건축내장재
KR200340980Y1 (ko) 요철부가 양면에 형성된 방음재
CN211447307U (zh) 一种新型浮筑隔音减震垫
JPH1096274A (ja) 軽量断熱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