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960Y1 -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960Y1
KR200181960Y1 KR2019960029524U KR19960029524U KR200181960Y1 KR 200181960 Y1 KR200181960 Y1 KR 200181960Y1 KR 2019960029524 U KR2019960029524 U KR 2019960029524U KR 19960029524 U KR19960029524 U KR 19960029524U KR 200181960 Y1 KR200181960 Y1 KR 200181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ole terminal
winding
molten lea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225U (ko
Inventor
최돈빈
변수룡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60029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9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B 기판에서 전원부 또는 전기적 부하가 큰 곳에 사용되는 폴단자에 그 전원선 또는 부하선을 간단하고도 강고하게 연결시켜 이탈되지 않도록 결선하는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는 코일(13a)이 상기 폴단자(26)에 권취되도록 코일권취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와;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고, 그 모터(21)의 중심축(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코일(13a)을 폴단자(26)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코일(13a)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코일(13a)을 지지하는 코일홀더(23); 및 폴단자(26)에 권취되는 코일(13a)을 납땜하도록 용융납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간단한 작업으로 PCB 기판의 폴단자 결선을 완료함으로써, 나선의 풀어짐이나 납땜에 의한 회로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생산 공수를 절감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본 고안은 PCB 기판의 폴(pole) 단자 결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B 기판에서 전원부 또는 전기적 부하가 큰 곳에 사용되는 폴단자에 그 전원선 또는 부하선을 간단하고도 강고하게 연결시켜 이탈되지 않도록 결선하는 PCB 기판의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 기판은 단층 또는 다층의 적층 회로를 말하는 것으로서, TV 등의 가전제품 뿐아니라 자동차,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전자제어가 필요한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사용되고 있는 필수품이다. 이러한 PCB는 많은 소자, 단자 등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회로를 구성하고 필요시 내·외부의 전선과도 연결되는바, 그 결선방법은 납땜하거나 전선을 감아두는 것이다.
제1도를 이용하여 종래의 결선 방법을 상술하면, PCB 기판(10)에서 전원부 또는 비교적 부하전류가 큰 곳에는 폴단자(11)(15)를 압입하고 결선한다. 폴단자는 플레이트 형식으로 된 폴단자(11)도 있고 원형단면의 봉 형식으로 된 폴단자(15)도 있다.
이때, 피복선(13)의 일단부에 피복을 벗긴 코일(13a)을 길게 인출하여 폴단자(11)의 중심을 통해 인출한 후 수회 감아두고, PCB 기판(10)의 하면(下面)에서 땜납(12)으로 처리하는데, 이러한 결선방식은 코일(13a)의 끝부분이 풀어져 다른 소자와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폴단자(11)의 코일(13a)부분에 다시 납땜 작업하기도 하는데, 이 또한 대량의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는 수작업에서는 미숙련공의 납땜작업으로 폴단자(11)(15)가 과열되어 PCB 기판(10)의 회로가 손상되거나 납이 흘러내려 타 회로와 단락 또는 누전되는 다른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PCB 기판의 폴단자와 결선시 코일이 풀어지지도 않고, 땜납을 사용시 과열에 의한 회로 손상도 없는 PCB 기판의 폴단자 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PCB 기판에 폴(pole)단자가 장착된 상태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코일 권취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CB 기판 11,15,26 : 폴(pole)단자
12 : 땜납 13 : 피복선
13a : 코일 21 : 모터
22 : 중심축 23 : 코일홀더
23a,24'a : 개공부 23b : 요홈
24 : 권취구 24' : 플레이트
24'b : 코일걸이 25 : 베어링
31 : 용융납호퍼 32 : 파이프
33 : 밸브 34 : 열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PCB 기판의 폴단자에 코일을 권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일이 폴단자에 권취되도록 코일권취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모터의 중심축에 장착되고, 그 모터의 중심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코일을 폴단자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코일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홀더; 및 폴단자에 권취되는 코일을 납땜하도록 용융납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권취부는 폴단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코일을 권취하도록 그 폴단자와 접촉되지 않는 소정의 폭으로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하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상단부의 중앙에는 모터의 중심축에 장착되도록 개공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그 코일을 고정하여 걸도록 코일걸이가 폴단자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권취구이다.
또한, 코일홀더는 모터의 중심축에 장착되도록 상부중앙에 베어링을 내장하는 소정의 개공부와, 하부끝단에 코일을 지지하도록 요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용융납공급부는 용융된 납을 담는 용융납호퍼와; 그 용융납이 폴단자에 권취되는 코일에 부착되도록 용융납호퍼저면에 배관연결되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통해 용융납이 공급되는 동안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파이프에 장착되는 소정의 열선; 및 파이프의 소정의 지점에 설치되고,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납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밸브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코일 권취장치의 정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코일 권취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의해 코일(13a)은 제1도와 같이 길게 형성하여 폴단자(26)에 감을 필요가 없다. 전동코일 권취장치는 코일권취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와, 그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고, 그 모터(21)의 중심축(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코일(13a)을 폴단자(26)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코일(13a)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코일(13a)을 지지하는 코일홀더(23) 및 폴단자(26)에 권취되는 코일(13a)을 납땜하도록 하는 용융납공급부로 구성된다.
제3도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권취부는 폴단자(26)와 접촉되지 않는 소정의 폭으로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하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상단부의 중앙에는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도록 개공부(24'a)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코일(13a)을 고정하여 걸도록 코일걸이(24'b)가 폴단자(26)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24')를 구비하는 권취구(24)이고, 또한 코일홀더(23)는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도록 상부 중앙에 베어링(25)을 내장하는 소정의 개공부(23a)와 하부끝단에 코일(13a)을 지지하도록 요홈(23b)이 형성된다.
또한, 용융납공급부는 용융된 납을 담는 용융납호퍼(31)와, 그 용융납이 폴단자(26)에 권취되는 코일(13a)에 부착되도록 용융납호퍼(31)저면에 배관연결되는 파이프(32)와; 파이프(32)를 통해 용융납이 공급되는 동안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파이프(32)에 장착되는 소정의 열선(34); 및 파이프(32)의 소정의 지점에 설치되고, 파이프(32)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납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밸브(33)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피복선(13)으로부터 길게 인출한 코일(13a)을 폴단자(26)의 중심을 통해 권취구(24)의 플레이트(24')의 하단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코일걸이(24'b)에 고정한다. 그 다음에 PCB 기판(10)상의 폴단자(26)에 전동코일 권취장치를 장착한 후 전원을 모터(21)에 인가하여 그 모터(21)를 구동시킴으로써 중심축(22)을 회전시킨다. 그 중심축(22)의 회전력에 따라 그 중심축(22)에 장착되어 있는 권취구(24)가 폴단자(26)주위를 회전하면서 코일(13a)을 강고히 감으면서 권취하게 된다. 이때, 권취구(24)와는 독립적으로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어 있는 코일홀더(23)는 그 중심축(22)의 회전에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않고 고정되어 코일(13a)이 폴단자(26)에 권취되는 동안 그 하부끝단에 형성되는 요홈에 의해 그 코일(13a)이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지지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결선이 이루어진다.
결선작업이 완료되면, 용융납공급부의 밸브(33)를 개방하여 용융납호퍼(31)내부에 담겨있는 용융납을 파이프(32)를 통해 결선된 코일(13a)에 부착시킴으로써 폴단자(26)에 강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용융납이 파이프(32)를 통해 결선된 코일(13a)에 공급되는 동안에 그 열이 냉각되어 파이프(32)내부에서 고형화되면 권취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그 파이프(32)에 설치되는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여 용융납이 공급되는 동안 열을 발생케하여 납땜이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작업자는 PCB 기판(10)의 다수의 다른 폴단자(26)에 반복적으로 코일(13a)을 권취함으로써 폴단자(21)의 권취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PCB 기판의 폴단자 권취를 간단한 작업으로 강고히 고정하면서 완료함으로써, 코일의 풀어짐이나 납땜에 의한 회로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생산공수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PCB 기판의 폴단자에 코일을 권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13a)이 상기 폴단자(26)에 권취되도록 코일권취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고, 그 모터(21)의 중심축(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13a)을 폴단자(26)에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의해 권취되는 상기 코일(13a)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코일(13a)을 지지하는 코일홀더(23); 및 상기 폴단자(26)에 권취되는 상기 코일(13a)을 납땜하도록 용융납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폴단자(26)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코일(13a)을 권취하도록 그 폴단자(26)와 접촉되지 않는 소정의 폭으로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하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상단부의 중앙에는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도록 개공부(24'a)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그 코일(13a)을 고정하여 걸도록 코일걸이(24'b)가 폴단자(26)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24')를 구비하는 권취구(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홀더(23)는 모터(21)의 중심축(22)에 장착되도록 상부중앙에 베어링(25)을 내장하는 소정의 개공부(23a)와, 하부끝단에 상기 코일(13a)을 지지하도록 요홈(23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납공급부는 용융된 납을 담는 용융납호퍼(31)와; 상기 용융납이 폴단자(26)에 권취되는 코일(13a)에 부착되도록 상기 용융납호퍼(31)저면에 배관연결되는 파이프(32)와; 상기 파이프(32)를 통해 상기 용융납이 공급되는 동안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파이프(32)에 장착되는 소정의 열선(34); 및 상기 파이프(32)의 소정의 지점에 설치되고, 그 파이프(32)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납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밸브(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단자에의 전동코일 권취장치.
KR2019960029524U 1996-09-17 1996-09-17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KR200181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524U KR200181960Y1 (ko) 1996-09-17 1996-09-17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524U KR200181960Y1 (ko) 1996-09-17 1996-09-17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225U KR19980016225U (ko) 1998-06-25
KR200181960Y1 true KR200181960Y1 (ko) 2000-06-01

Family

ID=1946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524U KR200181960Y1 (ko) 1996-09-17 1996-09-17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9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67B1 (ko) 2020-06-04 2022-01-14 주식회사 오성기전 무브러시 직류 모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225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562Y1 (ko) 브러시레스 모터
US5783881A (en) Brushless electric motor with heat sink and mounting arrangement thereof
JPH05199720A (ja) 電子整流子を備える直流モータの構造体
JPH0787696A (ja) モ−ルド電動機
KR200181960Y1 (ko) 폴단자에의 전동 코일 권취장치
US20020175575A1 (en) Motor, terminal assembly for the motor, and electrical apparatus having the motor
CN210957964U (zh) 一种电机定子绕组的接线结构及电机
JPS642411Y2 (ko)
CN110829671A (zh) 一种电机定子绕组的接线结构及接线方法
JPH0715320Y2 (ja) モ−ルドモ−タ
JP3572656B2 (ja) 電気線取付部材を備えた電動機
JP3227283U (ja) 軸流モーター
JPH10153621A (ja) 電力量計の電圧コイル端子構造
JPH0750858Y2 (ja) 電動機におけるロータ位置検出素子の取付装置
JP2609595B2 (ja) モータの製造方法
KR200207462Y1 (ko) 모터 결선용 회로기판 납땜부 구조
KR0137049Y1 (ko) 편평형 코어레스 모터용 구동코일
KR100239287B1 (ko) 전동기의 고정자
JP6714162B2 (ja) 電動機および換気扇
JP2703862B2 (ja) 表面実装型コイルの接続構造
JP2612233B2 (ja) ケース一体型温度ヒューズ
KR19990028676U (ko) 스테이터 권선 코일과 리드 와이어 결선장치
JPH066707Y2 (ja) モータ
JPH066950A (ja) 電動機の固定子巻線端末処理用端子台
JPS6240048A (ja) 無刷子電動機の固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