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777Y1 - 케이블용 관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777Y1
KR200177777Y1 KR2019990024024U KR19990024024U KR200177777Y1 KR 200177777 Y1 KR200177777 Y1 KR 200177777Y1 KR 2019990024024 U KR2019990024024 U KR 2019990024024U KR 19990024024 U KR19990024024 U KR 19990024024U KR 200177777 Y1 KR200177777 Y1 KR 200177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ube
receiving
pipe
protecti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기
김종익
Original Assignee
고병기
김종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02817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22083U/ko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김종익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2019990024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호관이나 수용관 속에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블 보호관을 구비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케이블용 관 장치에 있다. 그리고 수용관들의 끝부분에는 이 수용관들의 중심을 관통함과 동시에 양단이 결속되며 일측이 각각의 수용관 내부로부터 고리부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는 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견인 와이어의 고리부가 견인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보호관으로의 배관이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블 보호관의 외면에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용 관 장치{Pipe Apparatus for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용 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관이나 수용관 속에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케이블용 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전력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선이 사용된다. 이들 전선은 공중, 지상, 지하 또는 해저에 가설되며, 전선 각각은 일반적으로 여러가닥의 전선을 수지 또는 종이와 같은 절연재로 피복되어 절연성이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의 가설에 있어서는 누전 및 외력 등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고 사람이나 동물의 접촉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성 및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한편, 케이블을 지하에 매립시킬 때에는 길이 6M정도의 직경이 큰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한 후, 이 보호관 속에 케이블 등을 직접 삽입하거나, 보호관 내부에 직경이 작은 복수의 수용관을 삽입시킨 후, 다시 이 수용관 속에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보호관이나 수용관의 재질로는 피브이씨(polyvinyl ch loride resin)나 발포 도관(form conduit)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즉, 케이블의 매설공사에서 보호관 내부로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삽입하여 견인기나 차량으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보호관과 케이블 또는 수용관은 매우 큰 마찰저항을 받기 때문에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본 고안자 등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23245 호는 수용관을 상호간에 연결시켜 보호관에 삽입하며 특히,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캡과 윤활유를 공급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자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22972 호는 보호관의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구멍이 다수 형성되도록 일체로 성형된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보호관내에 수용관의 포설 작업을 생략하고 케이블의 배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관 속에 케이블이나 수용관을 삽입하는 과정은 여전히 큰 마찰력 때문에 작업성이 낮으며, 뒤틀리거나 변형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큰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케이블이나 수용관의 길이가 늘어나며, 일정 시간이 지난후에 다시 수축되면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용 관 장치는 보호관의 접속점이 많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곳에서 누수현상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호관의 운반이 어려웁고, 매설 방향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보호관은 큰 직경과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구부러지기 어렵게 구성되는 바, 매설의 위치 및 그 진로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대략 6M정도의 직선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음점이 많아서 누수현상이 많고 자재의 수축성에 다른 접속점의 고정이 어려웠으며, 드럼에 감겨져 운반되는 케이블이나 수용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매설되는 케이블의 진행 방향이 조금이라도 변경되는 곳에서는 상기 보호관을 절단하고, 별도의 연결관으로 그 절단부를 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설작업이 용이해지는 케이블용 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고밀도로 매설하여 관로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케이블용 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설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케이블용 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관을 신축변형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운반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매설 진로가 변경되는 곳에서도 별도의 연결관의 접속없이 진로 변경이 가능한 케이블용 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관 속에 수용관을 보다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배관할 수도 있으며, 당초부터 수용관을 배관시켜서 매설할 수 있는 케이블용 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에서 보호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에서 수용관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에서 수용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와 7b와 7c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에 견인 와이어 및 보조 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로프와 견인 와이어에 의해 수용관이 보호관으로 배관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에서 보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호관 12: 돌기
14: 홈 20: 수용관
22: 돌기 24: 이음막
30: 견인 와이어 32: 고리부
40: 보조 견인 와이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블 보호관을 구비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케이블용 관 장치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수용관들의 끝부분에는 이 수용관들의 중심을 관통함과 동시에 양단이 결속되며 일측이 각각의 수용관 내부로부터 고리부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는 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견인 와이어의 고리부가 견인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 보호관으로의 배관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케이블 보호관의 외면에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호관(10)은 비교적 직경이 큰 관으로서, 복수개의 수용관(20)이 수용된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보호관(10)은 직경이 큰 케이블(C)을 그대로 수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보호관(10)의 내주면에는 도 1과 도 2b에서와 같이 복수의 돌기(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돌기(12)는 보호관(10) 속에 수용관(20)을 삽입할 때 보호관(10)의 내주면과 수용관(20)의 외주면(또는 케이블의 외주면) 사이에 접촉면적을 작게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수용관(20) 또는 케이블(C)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여 수용관(또는 케이블)의 견인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돌기(12)는 보호관(10)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일부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3곳 내지 5곳에 동일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12)는 반원형이나 물결 모양, 사각형 및 마름모형, 산형 등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a에서와 같이 보호관(1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4)들은 보호관(10)을 유연하게 하여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관(10)을 일정한 형태로 감겨지게 하여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케이블(C)의 진행 방향이 바뀌더라도 이에 적절하게 상기 보호관(10)을 구부러지게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홈(14)은 보호관(10)의 수축작용도 방지하여 수용관(20) 및 케이블(C)을 보호한다. 즉, 보호관(10)을 지하에 매설하였을 때에 상기 홈(14)들의 사이로 흙이나 시멘트 등이 메워져 배관작업 과정에서 이완된 보호관(10)의 수축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호관(10) 내부에 배관되어 있는 수용관(20) 및 케이블(C)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홈(14)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상으로 보호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보호관(10)을 따라 연이어지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 형상은 반원형이나 물결형으로 형성하거나 사각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 보호관(10)의 강도를 저하하지 않는 형상이라면 어느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관(10) 속에 개재되는 수용관(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22)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돌기(22)들은 상기 수용관(20)을 보호관(10) 속에 수용시키거나 수용관(20)속에 케이블(C)을 수용시킬 때 보호관(10)과 수용관(20) 사이 및 수용관(20)과 케이블(C) 사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돌기(22)는 수용관(20)의 내주면과 외주면 각각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지게 형성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용관(20)의 외주면에 돌기(22)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보호관(10)의 내주면에 돌기(12)가 형성되지 않아야 하며, 보호관(10)의 내주면에 돌기(12)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수용관(20)의 외주면에 돌기(22)가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즉, 보호관(10)의 내주면과 수용관(20)의 외주면중 어느 한 곳에만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보호관(10)의 내주면과 수용관(20)의 외주면에 동시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오히려 접촉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돌기(22)는 수용관(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함께 형성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돌기(22)는 수용관(20)의 내주면과 외주면중 한쪽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22)는 수용관(20)의 내주면과 외주면 각각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지게 형성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수용관(20)은 도 6에서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이음막(24)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음막(24)의 위치는 수용관(20)의 상하 또는 중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음막(24)에는 구멍 또는 가늘고 긴 홈 등을 형성하여 보다 유연한 변형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수용관(20)은 폭방향으로 말려진 상태로 견인 와이어(30)에 의해 보호관(10)에 삽입된다.
즉, 본 출원인이 제안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23245호에는 폭방향으로 말려진 수용관(20)의 전방에 원추형 캡을 설치하고, 이 캡에 윤활유를 분사시키면서 동시에 후방에서 가압하여 상기 수용관(20)을 보호관(10)속에 배치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보호관(10)과 수용관(20)에 형성된 돌기(12,22)로 인하여 마찰저항이 최대한 감소된 상태이므로 원추형 캡과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에 의한 견인 만으로도 수용관(20)을 보호관(10) 속에 배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견인 와이어(30)는 도 7a 와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용관(20)의 끝부분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그 양단이 견고히 결속되고, 일측이 각각의 수용관(20)의 내부로부터 고리부(32)를 형성하면서 돌출된다. 그리고 수용관(20)의 견인강도를 보다 증강시키기 위해 각각의 수용관(20)에 상기 견인 와이어(30)와 직교하면서 관통하며, 상기 견인 와이어(30)의 고리부(32)와 함께 견인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보조 견인 와이어(40)들을 설치하기도 한다. 여기서, 도 7c에서와 같이 보조 견인 와이어(40)를 설치하지 않고 견인 와이어(30)만 설치한 상태에서 견인 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수용관(20)을 폭방향으로 말아 상기 각각의 고리부(32)를 보호관(10)의 반대쪽에서 투입한 로프(R)에 한꺼번에 걸어 견인함으로써 수용관(20)의 배관작업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케이블용 관 장치에 의한 케이블의 가설 방법을 도 8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에 또는 일정한 형태로 감겨져 있는 보호관(10)을 지하에 매설한다. 이때, 상기 보호관(10)은 신축변형이 가능하므로 케이블(C)의 진로가 소정 각도로 변경되더라도 이에 알맞게 구부려서 매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 수용관(20)의 끝부분에 이 수용관(20)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 와이어(30)를 설치하고, 보호관(10)의 반대쪽에서는 로프(R)를 삽입하여 그 끝부분이 보호관(10)의 입구로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R)의 일단에 견인 와이어(30)의 고리부(32)들을 걸어 고정시키고 보호관(10)의 반대쪽에서 견인기를 이용하여 수용관(20)을 견인하며, 상기 수용관(20)의 일측이 보호관(1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면 수용관(20)의 배관작업은 완료되며, 결국 수용관(20)에 배선되는 케이블(C)은 지하에 매설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용관(20)을 견인할 때 보호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12)는 수용관(20)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보호관(10)과 수용관(3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 면적을 최대한 줄여주게 된다. 따라서, 수용관(20)은 작은 견인력에 의해서도 원활하게 견인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9에는 일체형 케이블용 관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일체형 케이블 보호관 장치는 별도의 수용관 없이 케이블(C)을 보호관에 직접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보호관(50)에는 케이블(C)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구멍(52)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수용구멍(52)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기(54)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돌기(54)는 수용구멍(52) 속에 케이블(C)을 수용시킬 때 수용구멍(52)과 케이블(C)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 저항을 줄여주는 것으로, 수용구멍(5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지게 형성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수용구멍(52)은 5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3개 또는 4개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관(5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5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55)들은 보호관(50)을 유연하게 하여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홈(55)은 보호관(50)을 따라 연이어지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상으로 보호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그 형상은 반원형이나 물결형으로 형성하거나 사각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 어느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일체형 케이블용 관 장치에 의한 케이블의 가설 방법 및 효과는 수용관(20)을 구비하는 상기 케이블용 관 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관 장치에 의하면, 보호관의 내주면 및 수용관의 내주면과 외주면 각각에 보호관, 수용관 및 수용관, 케이블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 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견인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수용관과 케이블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케이블이나 수용관의 안정성을 재고한다.
또한, 보호관 및 수용관 속에 케이블을 고밀도로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가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관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보호관을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매설 진로가 바뀌는 곳에서도 자유롭게 그 진로 변경이 가능하고 접속점을 없애주는 잇점이 있다.
또한, 견인 와이어와 보조 견인 와이어를 수용관에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이를 견인함으로써, 수용관을 보다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배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체형 보호관을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현장 가설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다.

Claims (10)

  1.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블 보호관을 구비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은 내주면과 외주면의 모두에 복수의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용관이 이음막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들의 끝부분에는 이 수용관들의 중심을 관통함과 동시에 양단이 결속되며 일측이 각각의 수용관 내부로부터 고리부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는 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며, 이 견인 와이어의 고리부가 견인되는 것에 의해 보호관으로의 배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의 견인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각각의 수용관에는 상기 견인 와이어와 직교하도록 관통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고리부와 함께 견인될 수 있는 보조 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은 케이블 보호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케이블 보호관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의 외면에는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환상으로 형성되며, 보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의 홈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관 장치.
KR2019990024024U 1999-02-24 1999-11-04 케이블용 관 장치 KR200177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24U KR200177777Y1 (ko) 1999-02-24 1999-11-04 케이블용 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817 1999-02-24
KR2019990002817U KR19990022083U (ko) 1999-02-24 1999-02-24 케이블보호관
KR2019990024024U KR200177777Y1 (ko) 1999-02-24 1999-11-04 케이블용 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777Y1 true KR200177777Y1 (ko) 2000-04-15

Family

ID=2663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024U KR200177777Y1 (ko) 1999-02-24 1999-11-04 케이블용 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7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337B1 (ko) * 2016-04-28 2018-01-25 (주)엠에스코리아 복합 배관재 조립방법
KR101960531B1 (ko) * 2018-09-17 2019-03-20 (주)케이피테크놀로지 공기압 포설용 파이버 튜브 결합체를 용이하게 감기 위한 보조도구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337B1 (ko) * 2016-04-28 2018-01-25 (주)엠에스코리아 복합 배관재 조립방법
KR101960531B1 (ko) * 2018-09-17 2019-03-20 (주)케이피테크놀로지 공기압 포설용 파이버 튜브 결합체를 용이하게 감기 위한 보조도구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4311B1 (e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CA1146936A (en) Tube pulling and lubricating system
US5036891A (en) Conduit bundle for in-ground cabling
US7604435B2 (en) Umbilical without lay up angle
US4741593A (en) Multiple channel duct manifold system for fiber optic cables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KR200177777Y1 (ko) 케이블용 관 장치
KR200203499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19990011686U (ko) 일체형 케이블 보호관
KR100258547B1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00362205B1 (ko) 포설용 케이블
KR19990022083U (ko) 케이블보호관
JP6590751B2 (ja) 直接埋設用ケーブル
KR19990008221U (ko) 케이블 수용관 장치
JP4468539B2 (ja) ケーブル入線管路内へのロッド挿入治具
JP2598206Y2 (ja) 管・ケ−ブル収納材
JPH11234833A (ja) 通管用治具とそれを用いた通管方法
KR940003806Y1 (ko) 케이블의 이동방지용 관구플럭
JP202119601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291828A (ja) 管路構造
JP2002181248A (ja) 地中埋設保護管
JP3858130B2 (ja) 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及び端末キャップ
JPS61142912A (ja) 複合ケ−ブルの接続方法
JP2000059940A (ja) 管配設方法及び管ユニット
JPH075108U (ja) 波付管用引留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