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21U - 케이블 수용관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수용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21U
KR19990008221U KR2019980023245U KR19980023245U KR19990008221U KR 19990008221 U KR19990008221 U KR 19990008221U KR 2019980023245 U KR2019980023245 U KR 2019980023245U KR 19980023245 U KR19980023245 U KR 19980023245U KR 19990008221 U KR19990008221 U KR 199900082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receiving
protective tube
receiv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익
고병기
Original Assignee
고병기
김종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김종익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2019980023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221U/ko
Publication of KR19990008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21U/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관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용관(10)과 상기 수용관(10)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막(14)으로 구성되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용관들이 폭 방향으로 말려져 상기 보호관에 일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케이블을 폭 방향으로 일체로 성형하여 보호관에 삽입함으로써 수용관을 동시에 그리고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보호관의 내부로 배선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관에 배선되는 수용관의 배열 위치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수용관의 배치 밀도를 높일 수 있어 보호관의 공간효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관 장치의 보호관 내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 캡과 캡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구성에 의해 보호관과 본 고안의 장치와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므로, 배치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보호관의 내부 환경에 맞게 수용관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조절될 수 있어서 포설할 때 마찰력의 감소와 더불어 자연스러운 자리잡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수용관 장치
본 고안은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관 여러 개를 일체로 형성하여 동시에 그리고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통신용 또는 전력용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선(wire) 또는 광 섬유 등이 합성수지 등으로 절연재로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은 누전을 방지하고, 통신 보안을 유지하고, 외부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며, 사람의 접촉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지하에 매설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압력 등 외압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먼저 직경이 큰 보호관에 직경이 비교적 작은 수용관을 삽입하고, 이 수용관에 케이블을 삽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때 수용관으로는 폴리에틸렌, 보호관의 재질은 피브이씨(Polyvinyl chloride resin) 또는 FC관(발포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일정한 강도와 절연성 및 내구성을 갖는 것이라면 합성수지재의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매설 공사는 이와 같이 케이블과 수용관 및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배선작업으로 그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대략 길이 6미터 정도의 원통형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한 후, 그곳에 수용관을 삽입한다. 이 때 수용관은 대략 3 내지 4개 정도를 하나의 보호관에 삽입하게 되는 데, 수용관을 보호관에 넣는 과정에서 보호관과 수용관 사이에 매우 큰 마찰 저항이 작용하므로 자동차 또는 선단견인기 등을 이용하여 강한 견인력을 가하여 보호관의 일측으로부터 수용관을 잡아당겨 보호관의 타측으로 끌어내야 한다.
그러므로, 수용관을 잡아당길 수 있는 로프를 먼저 보호관의 타측으로부터 삽입해야 하며, 이 로프를 넣기 위해 먼저 와이어를 삽입하여 로프를 끌어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 매설 과정은 먼저 케이블을 매설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여 땅을 판 다음 직경이 큰 보호관을 배치하고, 흙으로 묻은 다음 와이어를 넣어 로프를 잡아당기고, 이 로프에 수용관을 고정하여 자동차 또는 선단견인기 등으로 수용관을 견인하여 직경이 큰 보호관 내부에 수용관 3내지 4개를 배치한 후 최종적으로 피복된 케이블을 다시 삽입하는 다단계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를 매설하는데 소요되는 공사비가 보호관 및 수용관 자체의 가격에 비해 수 배 내지 수십 배에 달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수용관이 보호관 내부에서 꼬여서 상호간에 배치가 바뀌어 수용관의 입구와 출구를 보호관의 양측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더욱이, 수용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큰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보호관 내부에서 수용관 사이에 비교적 여유 있는 공간을 유지해야 하므로 하나의 보호관 내부에 수용관을 고밀도로 배치할 수 없어 공간 효율의 활용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케이블 매설 공사의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즉, 하나의 보호관에 포설할 수 있는 수용관 및 케이블의 수가 적기 때문에, 5내지 6개의 케이블 포설이 필요한 경우에 2개의 보호관과 그에 따르는 수용관 및 케이블을 포설하여야 하므로 낭비적 요소가 많았다.
또한, 보호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케이블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의 꼬임 현상과 상호간에 눌림 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 손상의 원인이 되고 포설 후에 케이블의 수축 현상이 일어나 길이가 짧아지는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호관 및 수용관의 매설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누수 및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보호관에 삽입되는 수용관을 고밀도로 배치하여 보호관의 공간 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관을 동시에 그리고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호관에 배선되는 케이블의 배열 위치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구별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보호관에 고밀도로 수용관을 배치함으로써 보호관 내부의 공간 사용을 효율을 극대화하여 보다 많은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의 단면도,
도 1b 내지 1g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케이블 수용관이 보호관 내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a 내지 3d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안내 캡이 장착되어 보호관 내부에 수용관을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호관 10: 케이블 수용관 장치
12: 수용관 14: 이음막
14a: 관통공 17: 중심로
18: 결합홈 19: 결합돌기
20: 안내 캡 24: 미세구멍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 보호관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용관(10)과 상기 수용관(10)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막(14)으로 구성되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용관들이 폭 방향으로 말려져 상기 보호관에 일체로 배치되며, 수용관 연결 상태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보호관 내부에서 수용관들이 보호관의 형태에 적절하게는 배치될 수 있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말려지기 쉽도록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블이 폭 방향으로 말려질 때 그 중심을 이루도록 케이블의 일측에는 중심관(중심로)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폭 방향으로 말려진 상기 케이블의 끝부분에는 안내 캡이 배치되며, 상기 안내 캡에는 호스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를 분사하는 미세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안내 캡 자체에 윤활제 저장부가 형성되어 안내 캡이 전진하면서 압축에 의한 압력으로 미세구멍을 통해 윤활제가 자동적으로 유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1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수용관(12)이 여러 개 복수로 이음막(14)에 의해 연결된다. 수용관(12)은 직경이 큰 보호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는 것으로, 매설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수와 보호관의 직경에 따라 2 내지 10개 정도 필요한 수로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5개의 수용관(12)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수용관(12)은 이음막(14)과 함께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서 보호관이나 수용관은 필요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수용관은 보호관의 규격에 맞게 그 크기와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수용관(12) 및 이음막(14)은 PVC, PE 또는 발포수지와 같이 적당한 강도와 내구성 등 필요한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성형 방법으로는 합성수지의 성형에 사용되는 사출 또는 압출 등 필요한 적당한 플라스틱 성형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수용관(12)과 일체로 성형되는 이음막(14)는 그 위치에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는 이음막(14)이 수용관의 중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도 1b는 하단부, 도 1c는 이음막이 바닥면을 형성하고 수용관이 그 위에 배치되는 관계로 형성된다. 또한 도 1d는 이음막이 하나의 수용관의 하단부와 인접한 수용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취한 것이며, 도 1e는 이음막이 수용관의 중단부를 연결하되 복수개의 수용관 전체로서 일정한 곡률을 가진 입체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수용관이 일체로 연결되어 성형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는 폭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말아서 하나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며, 이러한 형태로 보호관에 삽입된다. 특히 본 고안의 장치는 유연성을 갖는 이음막에 의해 연결된 수용관 장치는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보호관에 삽입되면서 보호관의 내부 환경에 맞게 움직일 수 있는 여유가 있어 자연스럽게 그 모양이 보호관 내부에서 정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입체 형상의 수용관 장치는 이를 둥글게 말 때 다른 형태보다 잘 말 수 있어 작업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 1f에서 14a는 수용관을 연결하는 이음막에 형성된 관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관통공(14a)는 이음막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관통공의 형상이 도면에는 원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별 모양 등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들 관통공(14a)에 의해서 연결막의 유연성이 더욱 증가되므로 수용관 장치를 말 때 그 작업이 더 용이해지며, 또한 이음막 형성에 소요되는 재료의 일부를 절약한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1g는 본 고안에 따른 수용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이음막(14)에는 상술한 관통공(14a)과는 달리 긴 홈이 형성되어 주름 물결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홈에 의해서 수용관 장치(10)가 폭 방향으로 잘 말려질 수 있다. 또한 수용관 장치(10)를 둥글게 만 후에,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관 장치(10)의 일측에 결합 돌기(19)를 형성하고 타측에 그 결합 돌기(19)에 끼워 맞춤되는 결합 홈(18)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 홈과 돌기는 수용관(12)과 함께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수용관의 어느 부위에도 임의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수용관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수용관 장치를 말아서 보호관에 삽입하는 경우에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중심로(17)를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로(17)를 형성하기 위해서 수용관의 어느 한쪽 끝에 관이 연결되어 제공된다. 도 2a는 중심로(17)가 수용관의 우측 일단에 결합되어 제공된 것으로, 이 중심로(17)로부터 시작해서 복수 개의 수용관(12)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10)를 말고 이를 다시 케이블 보호관(1)에 삽입한 형태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제공된 중심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윤활제의 공급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로 자체를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관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케이블 수용관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배치 밀도가 한층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본 고안의 수용관 장치에서 양단에 결합 돌기(19)와 결합 홈(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관과 수용관을 연결하는 이음막(14)이 수용관의 중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또한 도3a의 형태에서 이음막(14)이 수용관(12)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형태를 취한 것이고, 도 3c는 이음막(14)이 수용관을 양쪽 방향에서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도 3d는 전체적으로 한 방향의 대각선으로 이음막(14)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이음막은 수용관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으며 그 길이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수용관 장치를 말 때 수용관 상호간에 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본 고안의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관을 말아서 원형을 형성한 후에는 케이블 보호관(1)에 삽입하여야 한다. 종래에 수용관을 하나 하나 보호관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로프로 수용관의 끝을 고정한 후 이를 자동차 또는 선단견인기 등의 힘으로 견인하는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수용관을 한꺼번에 배치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수용관을 2 내지 4개를 견인하는 방법과는 달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수용관 장치는 보호관의 한 쪽 끝으로부터 밀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작업이 종래의 견인 작업에 비해 용이하고 간편하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 장치를 보호관의 일측으로부터 삽입하며, 진입하는 장치의 끝 부분에 길을 안내하는 안내 캡(20)이 제공된다. 안내 캡(20)은 보호관(1)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캡(20)에는 호스(H)와 연결되는 메인통로(22)와, 이 메인통로(22)에서 분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미세구멍(24)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통로(22)는 케이블(10)의 중심로(17)를 관통하는 호스(H)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윤활유를 공급받으며, 미세구멍(24)은 메인통로(22)에 유입된 윤활유를 보호관(1)의 내벽에 분사하여 케이블(10)이 보호관(1)을 따라 자연스럽게 진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안내 캡과 윤활제 공급 형태와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 캡(20)은 선단부와 후방부로 구분되어 선단부는 원추형을 형성하고 후방부는 윤활제 저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단부는 통로(22)를 통해 윤활제(26)가 이동하여 미세구멍(24)을 통해 윤활제를 유출하며, 후방부는 저장부로서 윤활제(26)를 저장한다. 저장부의 주변은 주름에 형성되어 수용관 장치가 보호관으로 진입하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저장부가 수축되며 그 수축력에 따라 윤활제(26)가 선단부로 이동하여 미세구멍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호스에 의하지 아니하고 안내 캡(20)의 이동에 따라 저장된 윤활제가 자연스럽게 유출되어 수용관 장치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10)을 보호관(1)에 배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략 길이 6미터 정도의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한 후, 보호관(1)의 일측으로부터 본 고안의 장치(10)을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폭 방향으로 말려진 수용관 장치(10)을 계속 가압한다. 여기서 새로운 보호관을 매설한 후 본 고안의 장치를 배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보호관에 본 고안의 장치를 삽입하는 것도 물론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를 보호관에 삽입할 때, 케이블(10)의 전면에는 안내 캡(20)이 배치되며, 이 안내 캡(20)의 미세구멍(24)에서는 윤활제가 분사되므로 케이블 장치(10)은 보호관(10)과의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10)의 일측이 보호관(1)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면 배선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윤활제로는 통상의 그리스나 우지 등 수용관이나 수용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둘 사이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장치가 말린 상태에서 보호관과 접촉하는 부위에 테프론 코팅 등 윤활 코팅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은 다수의 케이블 수용관을 폭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수용관을 동시에 그리고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보호관의 내부로 배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용관은 일체로 성형되므로 보호관의 내부에서 꼬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보호관에 배선되는 수용관의 배열 위치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구별할 수 있고, 또한 이음막의 유연성으로 인해 보호관 내부에서 그 형상에 맞게 수용관들이 자연스럽게 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용관 장치에 따라서 보호관에 삽입되는 수용관의 개수를 최대로 구성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수용관의 배치 밀도를 높이고 보호관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보호관에 배치되는 본 고안의 수용관 장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케이블을 무리한 힘으로 견인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배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에 가해지는 강한 견인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의 눌림 현상이나 손상이 없으며, 또한 배치 후 수축됨에 따라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관의 내벽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수용관 장치가 진입할 때 보호관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므로 배선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케이블 보호관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용관(10)과 상기 수용관(10)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막(14)으로 구성되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용관들이 폭 방향으로 말려져 상기 보호관에 일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치(10)는 말려지기 쉽도록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곡률을 갖도록 입체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 장치(10)는 폭 방향으로 말려질 때 그 중심을 이루도록 수용관의 한 쪽 끝에 중심로(17)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 장치(10)의 상기 수용관 장치(10)를 폭 방향으로 말았을 때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수용관 장치의 일측에 결합 돌기(19)가 형성되고 타측에 그 결합 돌기(19)와 결합하는 결합 홈(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 장치(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폭 방향으로 말려진 상기 케이블 장치(10)의 끝 부분에 안내 캡(2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캡(20)에는 호스(H)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를 유출하는 미세구멍(24)들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캡(20)은 윤활제를 유출하는 미세구멍(24)과 윤활제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지며, 안내 캡의 전진에 따라 저장부의 윤활제가 미세구멍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막(14)에 관통공(14a) 또는 주름 홈(14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관 장치.
KR2019980023245U 1998-11-26 1998-11-26 케이블 수용관 장치 KR199900082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245U KR19990008221U (ko) 1998-11-26 1998-11-26 케이블 수용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245U KR19990008221U (ko) 1998-11-26 1998-11-26 케이블 수용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21U true KR19990008221U (ko) 1999-02-25

Family

ID=6950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245U KR19990008221U (ko) 1998-11-26 1998-11-26 케이블 수용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22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751B1 (ko) * 1999-06-30 2002-10-12 변무원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751B1 (ko) * 1999-06-30 2002-10-12 변무원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7864A (en) Tubular apparatus for transmission cable
US6774311B1 (e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CA1243965A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using an inner duct
JP2567757B2 (ja) 管内への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これの布設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配線・配管用の管
JP4236841B2 (ja) 導管を複数の隔室に分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5087153A (en) Internally spiraled duct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959242B1 (ko)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
US4741593A (en) Multiple channel duct manifold system for fiber optic cables
EP1690979A2 (en) Umbilical without lay up angle
WO2002013345A1 (fr) Procede et structure pour poser des cables de telecommunications dans des conduites souterraines et elements utilises pour effectuer la pose
US6390139B1 (en) Conduit pipe for telecommunication cable
EP0188531B2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using an inner duct
KR19990008221U (ko) 케이블 수용관 장치
KR200177777Y1 (ko) 케이블용 관 장치
KR19990022083U (ko) 케이블보호관
US5713700A (en) Method of providing subterranean cable systems
KR19990011686U (ko) 일체형 케이블 보호관
KR20010091327A (ko)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CN116505455B (zh) 一种线缆管道
JP2002097711A (ja) 排水管補修装置及び排水管補修方法
JP2598206Y2 (ja) 管・ケ−ブル収納材
KR20000004710U (ko) 광케이블 매설관
JP3858130B2 (ja) 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及び端末キャップ
KR200256917Y1 (ko)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
JPH099444A (ja) 管路内ケーブル敷設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