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411Y1 -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411Y1
KR200176411Y1 KR2019970044215U KR19970044215U KR200176411Y1 KR 200176411 Y1 KR200176411 Y1 KR 200176411Y1 KR 2019970044215 U KR2019970044215 U KR 2019970044215U KR 19970044215 U KR19970044215 U KR 19970044215U KR 200176411 Y1 KR200176411 Y1 KR 200176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helf
brace
hol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496U (ko
Inventor
양승룡
Original Assignee
양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룡 filed Critical 양승룡
Priority to KR2019970044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41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4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16Interlocking or wedging elements making up pieces of furniture without additional fasten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을 위한 물품을 올려놓거나 상품을 진열하는 선반 기둥의 상,하단에 끼워서 천정과 바닥사이에 기둥을 간단히 설치하며, 길이가 짧은 두 개의 기둥 연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반 기둥의 고정구는 압지판의 축공에 끼운 나사축상에 고정너트와 조절너트를 차례로 끼운 후 나사축 선단을 기둥의 상,하단에 씌운 덮개의 중심공에 각각 끼운 상태로 기둥을 세운 다음에 조절너트의 회전조작에 의해 압지판이 천정과 바닥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므로, 선반을 설치할 때에는 고정구의 조립과 기둥에 덮개를 씌우는 등의 준비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설치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길이가 짧은 두개의 기둥 연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공(12)이 뚫린 플랜지부(22) 및 경사부와 이어진 작은 직경의 삽입부(32)로 이루어진 버팀구(2)와, 횡공(13)이 뚫린 단관(23) 및 경사부와 이어진 삽입부(33)로 이루어진 삽지구(3)와의 각 삽입부(32),(33)를 서로 결합하여 버팀구(2) 위쪽에서 펀치(5)로 압착하여 삽입부(33) 선단이 벌어지는 상태로 버팀구(2)의 경사부 내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본 고안은 보관을 위한 물품을 올려놓거나 상품을 진열하는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의 상,하단에 끼워서 천정과 바닥사이에 기둥을 간단히 설치하며 길이가 짧은 두 기둥의 연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선반 기둥의 고정구로서는 압지판의 축공에 나사축을 끼운 후 나사축상에 고정너트와 조절너트를 차례로 끼워서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한 고정구의 나사축 선단을 기둥의 상,하단에 씌운 덮개의 중심공에 각각 끼운 다음에 압지판이 천정과 바닥을 향하게 기둥을 세우고 나사축상의 조절너트의 회전 조작에 따른 길이의 신축으로 압지판이 천정과 바닥에 밀착되어 기둥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구의 조립과 기둥의 상하,단에 덮개를 씌우는 등의 준비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부품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설치비용이 높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길이가 짧은 두 기둥의 연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는, 버팀구와 삽지구의 삽입부를 서로 끼워서 일체형으로 압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이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이며, 이같은 구성에 따라 당초의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의 사시도.
제2a, b, c도는 고정구의 제작과정의 공정도.
제3a, b도는 고정구의 실시상태의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2 : 버팀구
3 : 삽지구 12 : 고정공
13 : 횡공 22 : 플랜지부
23 : 단관 32,33 : 삽입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1)는 버팀구(2)와 삽지구(3)로 구성된다.
버팀구(2)는 천정 내지는 바닥에 밀착한 후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공(12)을 뚫은 플랜지부(22) 및 경사부와 이어진 작은 직경으로서 기둥(4)의 상,하단에 끼워지는 삽입부(32)로 이루어진다.
삽지구(3)는 기둥(4)의 외경에 손쉽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횡공(13)을 뚫은 단관(23) 및 경사부와 이어진 삽입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지구(3)상의 삽입부(33)의 외경은 버팀구(2)상의 삽입부(32)의 내경에 억지 끼움이 가능한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버팀구(2)와 삽지구(3)는 도 2의 (a)(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팀구(2)의 삽입부(32)와 삽지구(3)의 삽입부(33)를 서로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고, 버팀구(2)의 위쪽에서 펀치(5)로 압착하면 삽지구(3)의 삽입부(33) 선단이 벌어지는 상태로 버팀구(2)의 경사부 내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의 고정구(1)가 완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천정, 20은 바닥을 표시한 것이다.
이어서,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를 사용한 선반를 지지하는 기둥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 실내의 설치위치를 선정하여 천정(10)과 바닥(20)간의 높이에 맞는 길이로 기둥(4)을 절단하고, 기둥(4)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구(1)의 삽지구(3)측 단관(23)을 끼운 다음에 기둥(4)을 자세를 수직으로 맞춘다.
이 상태에서 기둥(4)의 상,하에 위치하는 고정구(1)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버팀구(2)측의 플랜지부(22)의 고정공(12)에 못을 박아 튼튼하게 고정시킨 후, 단관(23)의 횡공(13)에 각각 나사를 조여서 기둥(4)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도 3의 (a)와 같은 모습의 선반 지지용 기둥이 설치된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길이가 짧은 두 개의 기둥(1)을 이어서 사용할 때는 두 개의 기둥(1)의 상,하단에 각각 끼운 고정구(1)의 버팀구(2)측 플랜지부(22)를 고정공(12)이 일치하도록 맞대고 고정공(12)을 통해 보울트-너트를 조여서 연결한 후 상기한 설치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길이가 짧은 두 기둥의 연결용으로도 사용을 가능케 한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고정공(12)이 뚫린 플랜지부(22) 및 경사부와 이어진 작은 직경의 삽입부(32)로 이루어진 버팀구(2)와, 횡공(13)이 뚫린 단관(23) 및 경사부와 이어진 삽입부(33)로 이루어진 삽지구(3)와의 각 삽입부(32),(33)를 서로 결합하여 버팀구(2) 위쪽에서 펀치(5)로 압착하여 삽입부(33) 선단이 벌어지는 상태로 버팀구(2)의 경사부 내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KR2019970044215U 1997-12-31 1997-12-31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KR200176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215U KR200176411Y1 (ko) 1997-12-31 1997-12-31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215U KR200176411Y1 (ko) 1997-12-31 1997-12-31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96U KR19990031496U (ko) 1999-07-26
KR200176411Y1 true KR200176411Y1 (ko) 2000-04-15

Family

ID=1952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215U KR200176411Y1 (ko) 1997-12-31 1997-12-31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4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96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6411Y1 (ko) 선반의 기둥지지용 고정구
KR100763606B1 (ko) 천장부재 고정용 행거
JP5271434B1 (ja) 屋根上構造物取付金具
JPS6337387Y2 (ko)
JP3119534B2 (ja) 結合構造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3549325B2 (ja) 屋根上作業用防護柵の構築工法
KR0112829Y1 (ko) 조립식 진열대
KR200163502Y1 (ko)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한 지주관
JPS6215390Y2 (ko)
JP2009263923A (ja) 低床用金属床束
JPS6039395Y2 (ja) 手摺用取り付け金具
JP4098138B2 (ja) 支柱用支持金具
JP3034570U (ja) 手摺用支柱の取付装置
JPH0321404Y2 (ko)
JPS6332241Y2 (ko)
JPH022832Y2 (ko)
JPH0750516Y2 (ja) ジャッキベースを使用した支柱の立設固定装置
JP4022407B2 (ja) パネル部材の連結具
JPS6128841Y2 (ko)
JP2883309B2 (ja) 床パネル取付構造
JPH06330557A (ja) 根太と支持部材の連結用ボルトの取付構造
KR200329537Y1 (ko) 엘형육각앙카볼트를 이용한 조립 장치
KR200172378Y1 (ko) 건축용 천정판 고정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JPH0353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