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041Y1 -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041Y1
KR200173041Y1 KR2019950046728U KR19950046728U KR200173041Y1 KR 200173041 Y1 KR200173041 Y1 KR 200173041Y1 KR 2019950046728 U KR2019950046728 U KR 2019950046728U KR 19950046728 U KR19950046728 U KR 19950046728U KR 200173041 Y1 KR200173041 Y1 KR 200173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bent portion
flange
tai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379U (ko
Inventor
김상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6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041Y1/ko
Publication of KR970037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0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패널의 수평플랜지 하면에 루프 아웃터레일의 아웃터 절곡부가 스폿용접으로 융착되고, 루프 아웃터레일의 플랜지와 아웃터 연장부 일끝에는 다수개의 박스단면을 갖도록 루프 인너레일의 플랜지 및 인너 연장부가 융착되며, 루프 인너레일에는 박스단면이 상호 연결되도록 아웃터 절곡부와 소정의 갭을 갖도록 비트가 형성됨으로써, 테일 게이트 개폐시 충격 또는 충돌에 따라 루프패널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폐단면의 연결로 인해 충격력이 최대한 흡수될 뿐만 아니라, 웨더 스트립이 테일 게이트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기밀 및 수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본 고안은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패널의 내측에 구비되는 루프 아웃터 및 인너패널의 사이에 다수개의 비드부를 형성하고, 그 비드부에 따라 형성되는 폐단면구간을 연결시킴으로써, 테일 케이스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시킴은 물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리어부의 테일 게이트 측단이 밀착되는 종래의 루프패널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루프패널(10)의 일단부에 수평플랜지(10a)가 절곡 형성되고, 이 수평플랜지(10a)에는 루프 아웃터패널(12)에 형성된 아웃터 절곡부(14)면이 융착되며, 이 아웃터 절곡부(14)에는 아웃터 연장부(14a)가 연장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루프 아웃터패널(12)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2a)에는 헤드라이닝 및 룸램프가 장칙되는 루프 인너패널(16)의 플랜지부(16a)가 연결 형성되고, 아웃터 절곡부(14)에는 루프패널(10)의 수평플랜지(10a)와 함게 스폿용접으로 융착되어 도시된 바와같이 폐단면(A)을 갖도록 하는 인너 절곡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인너 절곡부(18)에서 연장되면서 아웃터 연장부(14A)와 일끝이 융착되어 또 다른 폐단면(B)을 갖는 인너 연장부(18a)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아웃터 및 인너 연장부(14a)(18a)의 융착부에는 빗물 및 외부공기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웨더 스트립(20)이 장착되고, 이 웨더 스트립(20)에는 리어 윈드 쉴드 글래스가 설치된 테일 게이트(22)내측면이 밀착되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루프패널은, 루프패널(10)의 수평플랜지(10a)와 루프 아웃터패널(12)과 루프 인너패널(16)에 각각 형성된 아웃터 및 인너 절곡부(14)(18)를 스폿용접으로 융착시킨 다음, 아웃터 연장부(14a)와 인너연장부(18a)일끝을 융착한 후 웨더 스트립(2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테일게이트(22)를 닫으면, 테일게이트(22) 내측면이 웨더 스트립(20)에 밀착됨에 따라 웨더 스트립(20)의 형상이 변경되면서 빗물 또는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22)를 열고 닫을때 발생된 충격 또는 충돌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수평플랜지(10a)와 아웃터 및 인너 절곡부(14)(18)의 융착부위에서 흡수하여 루프패널의 변형을 방지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테일 게이트 개폐시 발생된 충격력을 수평플랜지와 아웃터 및 인너 절곡부의 융착부위에서 흡수시켰기 때문에 테일게이트의 빈번한 개폐시 융착부위의 강성이 감소됨에 따라 충격력이 루프패널에 전달되어 변형이 발생됨은 물론 웨더 스트립이 테일게이트 내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해 기밀 및 수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루프 아웃터 및 인너패널에 포밍(forming)형상의 비드부를 복수개로 형성하고, 그에 따른 폐단면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테일 게이트 개폐시 충격 또는 충돌에 따라 루프패널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폐단면의 연결로 인해 충격력이 최대한 흡수될 뿐만 아니라, 웨더 스트립이 테일게이트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기밀 및 수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자동차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프패널 10a : 수평플랜지
12 : 루프 아웃터패널 16(40) : 루프 인너패널
12a(16a,40a) : 플랜지 14 : 아웃터 절곡부
18(42) : 인너절곡부 14a : 아웃터 연장부
18a(42a) : 인너 연장부 20 : 웨더스트립
22 : 테일게이트 43 : 비트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루프패널의 수평플랜지와 루프 아웃터 및 인너패널에 각각 형성된 아웃터 절곡부와 인너 절곡부가 함께 융착되어 테일 게이트 개폐시 루프패널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랜지 하면에 루프 아웃터패널의 아웃터 절곡부가 스폿용접으로 융착되되, 상기 루프 아웃터패널의 아웃터 절곡부와 인너패널의 인너 절곡부가 상호 분리되어 상기 루프 아웃터패널과 인너패널의 사이에 마련되는 폐단면구간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서 테일 게이트 개폐시 발생된 충격 또는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시킴과 동시에 루프패널의 강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소정의 갭을 갖는 비드부가 상기 분리되는 절곡부에 각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성 보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루프패널(10)에 절곡 형성된 수평플랜지(10a) 하면에는 플랜지(12a)가 형성된 루프 아웃터패널(12)의 아웃터 절곡부(14)가 스폿용접으로 융착되고, 아웃터 절곡부(14)에는 아웃터 연장부(14a)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루프 아웃터패널(12)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12a)에는 루프 인너패널(20)의 플랜지(40a)가 맞대응하게 융착된다.
그리고, 상기 루프 인너패널(40)에는 아웃터 절곡부(14)면과 대응하는 인너 절곡부(42)가 형성되며, 그 대응하는 아웃터 절곡부(14)와 인너 절곡부(42)의 사이에는 소정의 갭(GAP)이 형성되도록 포밍형상의 비드부(4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너 절곡부(42)에 연장되는 인너 연장부(42a)가 상기 아웃터 연장부(14a)의 일끝단과 서로 융착되어 고정되므로서, 상기 루프 아웃터패널(12)과 인너패널(40)에 따른 폐단면(A,B)구간을 도시된 바와같이 형성하게 된다.
또한, 아웃터 및 인너 연장부(14a)(42a)의 융착부에는 테일게이트(2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웨더 스트립(20)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는, 루프 아웃터패널(12)의 플랜지(12a)와 아웃터 연장부(14a)의 일에 루프 인너패널(40)의 연장부(42a)를 각각 융착시킨 후, 루프 아웃터패널(12)의 아웃터 절곡부(14)상면에 루프패널(10)에 형성된 수평플랜지(10a)를 융착시킨다. 이때, 상기 루프 인너패널(40)과 루프 아웃터 패널(12)의 각각의 절곡부(14)(12)사이에는 소정의 갭을 갖도록 하는 비드부(43)가 마련됨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은 폐단면구간(A,B)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열려진 테일 게이들을 닫으면 테일 게이트(22) 내측면에 웨더 스트립(20)이 밀착되어 빗물 및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테일 게이트(22)을 닫을 때 또는 리어부의 충돌시 발생된 충격력은 폐단면구간에 의해 최대한 흡수됨과 동시에 루프 인너패널(40)에 형성된 비드부(43)에 의해 루프패널(10)의 강성이 보강되어 자체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에 의하면, 루프 아웃터 및 인너패널 포밍(forming)형상의 비드부를 복수개 마련함으로서, 그에 다른 폐단면을 상호 연결시켜 테일 게이트 개폐시 충격 또는 충돌에 따라 루프패널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폐단면의 연결로 인해 충격력이 최대한 흡수될 뿐만 아니라, 웨더스트립이 테일 게이트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기밀 및 수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루프패널의 수평플랜지와 루프 아웃터 및 인너패널에 각각 형성된 아웃터 절곡부와 인너 절곡부가 함께 융착되어 테일 게이트 개폐시 루프패널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랜지 하면에 루프 아웃터패널의 아웃터 절곡부가 스폿용접으로 융착되되, 상기 루프 아웃터패널의 아웃터 절곡부와 인너패널의 인너 절곡부가 상호 분리되어 상기 루프 아웃터패널과 인너패널의 사이에 마련되는 폐단면구간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서 테일 게이트 개폐시 발생된 충격 또는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시킴과 동시에 루프패널의 강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소정의 갭을 갖는 비드부가 상기 분리되는 절곡부에 각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KR2019950046728U 1995-12-23 1995-12-23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KR200173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728U KR200173041Y1 (ko) 1995-12-23 1995-12-23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728U KR200173041Y1 (ko) 1995-12-23 1995-12-23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379U KR970037379U (ko) 1997-07-26
KR200173041Y1 true KR200173041Y1 (ko) 2000-04-01

Family

ID=1943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728U KR200173041Y1 (ko) 1995-12-23 1995-12-23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0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379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93798A (en) Occupant-protecting vehicle body upper structure
US4355843A (en) Pillar construction for motor vehicle
JP2001146141A (ja) フロントピラーの衝撃吸収構造
CN109305224B (zh) 车辆侧部结构
US6340203B2 (en) Front pillar for a vehicle
KR200173041Y1 (ko) 루프패널의 강성 보강구조
JPS5881867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4431161B2 (ja)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KR100573453B1 (ko) 자동차용 후면 루프프레임 장치
JP4296983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365595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366392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20220082546A (ko) 차량의 프런트 도어리스 구조
KR100521927B1 (ko) 테일 게이트 상단 코너부의 강성 보강구조
KR0135445B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플로어의 연결구조
CN116395035A (zh) 后部车身结构
KR200155890Y1 (ko) 차량의 센터 필러 결합구조
KR100422837B1 (ko) 고강성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KR100197270B1 (ko) 테일 게이트의 댐퍼 결합구조
KR0127083B1 (ko) 자동차 전면부의 차체구조
KR970005413Y1 (ko) 차체의 상부 취부구조
KR100197872B1 (ko) 자동차용 실사이드
KR200149817Y1 (ko)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19980030231A (ko) 자동차 도어의 풍절음 차단구조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