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39Y1 -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39Y1
KR200172639Y1 KR2019970036881U KR19970036881U KR200172639Y1 KR 200172639 Y1 KR200172639 Y1 KR 200172639Y1 KR 2019970036881 U KR2019970036881 U KR 2019970036881U KR 19970036881 U KR19970036881 U KR 19970036881U KR 200172639 Y1 KR200172639 Y1 KR 200172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od
starting
engine
ke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412U (ko
Inventor
박병곤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36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동이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키스위치의 시동위치(ST)로 키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시동모터 등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소정부에 설치된 키홀더(10)에 내장되고 삽입되는 키(70)의 조작에 의해 그 오프위치(OFF)에서 이그니션위치(IG) 또는 시동위치(ST)로 스위칭동작이 수행되는 키스위치(20)와, 그 키스위치(20)가 시동위치(ST)로 스위칭됨에 따라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30)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어 작동되면 그 시동된 상태를 감지하는 엔진시동감지부(40)와, 상기 엔진시동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엔진시동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키(70)가 키스위치(20)의 이그니션위치(IG)에서 시동위치(ST)로 재조작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작동되는 재시동방지장치(6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동이 걸려 있는 차량에 다시 키 조작을 하게 되어 시동모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키홀더에 키를 삽입하여 회동시키게 되면 시동모터가 작동되어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고, 엔진의 크랭크축이 회전됨에 따라 엔진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점화동작이 수행되어 엔진이 계속적으로 가동되어서 그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시동 및 점화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의 운전석의 소정부에 설치된 키홀더에 소정의 키가 삽입되어 키조작되는 상태에 따라 그 오프위치(OFF)에서 이그니션위치(IG) 또는 시동위치(ST)로 스위칭동작이 수행되는 키스위치와, 그 키스위치가 시동위치(ST)로 스위칭됨에 따라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스위칭되는 릴레이스위치, 그 릴레이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시동모터,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회전동작에 따라 크랭크축이 회전되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캠포지션센서(Cam position sensor)를 통해서 엔진회전수검출신호나 크랭크각도검출신호신호를 출력하는 엔진유니트, 그 엔진유니트로 부터의 엔진회전수검출신호나 크랭크각도검출검출신호를 입력받고서 운전상황에 따른 점화시기를 결정하여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엔진제어모듈, 상기 엔진제어모듈로 부터의 점화신호를 입력받고서 그 내부의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가 도통되어 점화를 위한 전류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유니트 및, 그 점화유니트의 점화동작에 따라 그 2차측에서 약 3만볼트(Volt)정도의 고압이 발생되어 이를 점화플러그측으로 인가하는 점화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시동장치는 키홀더에 키를 삽입하고 그 키를 돌려 오프위치(OFF)에서 키스위치를 이그니션위치(IG)로 돌린 다음, 다시 시동위치(ST)로 잠시 스위칭시키게 되면 시동이 걸리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키를 돌리던 가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이그니션위치(IG)로 키가 원위치됨과 동시에 엔진의 시동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미숙한 운전자나 어린이들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키를 다시 시동위치(ST)로 돌리는 경우가 있고, 최근과 같이 자동차 생산기술의 발달로 엔진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자동차에서는 운전자들이 시동이 걸린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고 키스위치를 제조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키를 오조작하게 되면 고가의 시동모터와 같은 부품들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동이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키스위치의 시동위치(ST)로 키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시동모터 등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운전석의 소정부에 설치된 키홀더에 내장되고 삽입되는 키의 조작에 의해 그 오프위치(OFF)에서 이그니션위치(IG) 또는 시동위치(ST)로 스위칭동작이 수행되는 키스위치와, 그 키스위치가 시동위치(ST)로 스위칭됨에 따라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어 작동되면 그 시동된 상태를 감지하는 엔진시동감지부와, 상기 엔진시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엔진시동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키가 키스위치의 이그니션위치(IG)에서 시동위치(ST)로 재조작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작동되는 재시동방지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상기 재시동방지장치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로드가 전진 이동되고 전기신호가 차단되면 내설된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되게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진 이동되는 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키홀더의 상측 외주면 상에 천공된 로드삽입공과, 상기 로드삽입공으로 삽입된 로드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키스위치의 이그니션위치(IG)와 시동위치(ST) 사이에 해당되는 외주면 상에 요입 형성된 로드고정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 끝단에는 상기 로드에 의한 상기 키스위치의 고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 형상의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의 일측면 돌설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가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조작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홀더, 20:시동스위치,
30:시동모터, 40:엔진시동감지부,
50:제어부, 60:재시동방지장치,
62:솔레노이드, 62a:로드,
62b:탄성부재, 64:로드삽입공,
66:로드고정홈, 68:가압부재,
68a:가이드링, 68b:고정핀,
70: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조작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의 소정부에 설치된 키홀더(10)에 내장되고 소정의 키(70)가 삽입되어 키조작되는 상태에 따라 그 오프위치(OFF)에서 이그니션위치(IG) 또는 시동위치(ST)로 스위칭동작이 수행되는 키스위치(20)와, 그 키스위치(20)가 시동위치(ST)로 스위칭됨에 따라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30)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어 작동되면 그 시동된 상태를 감지하는 엔진시동감지부(40)와, 상기 엔진시동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엔진시동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50)과, 상기 제어부(5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키홀더(10)에 삽입된 키가 키스위치(20)의 이그니션위치(IG)에서 시동위치(ST)로 재조작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작동되는 재시동방지장치(6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재시동방지장치(60)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로드(62a)가 전진 이동되고 전기신호가 차단되면 내설된 탄성부재(62b)에 의해 원위치되게 작동되는 솔레노이드(62)와, 상기 솔레노이드(62)의 전진 이동되는 로드(62a)가 삽입되도록 상기 키홀더(10)의 상측 외주면 상에 천공된 로드삽입공(64)과, 상기 로드삽입공(64)으로 삽입된 로드(62a)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키스위치(20)의 이그니션위치(IG)와 시동위치(ST) 사이에 해당되는 외주면 상에 요입 형성된 로드고정홈(66)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엔진시동감지부(40)는 상기 시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으로부터 엔진회전수검출신호나 크랭크각도검출신호를 감지 생성하는 캠포지션센서(Cam position sensor)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60)의 로드(62a) 끝단에는 상기 로드(62a)에 의한 상기 키스위치(20)의 고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로드(62a)의 전진 이동시에 키홀더(10)의 상단 외주면 상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부재(62b)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가이드링(68a)과, 상기 가이드링(68a)의 일측면 중심에 돌설되고 상기 로드삽입공(64)을 통해 삽입되어 로드고정홈(66)에 고정되는 고정핀(68b)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부재(68)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홀더(10)에 키(70)를 삽입하고 그 키(70)를 돌려 오프위치(OFF)에서 키스위치(20)를 이그니션위치(IG)로 돌린 다음, 다시 시동위치(ST)로 잠시 돌려서 스위칭시키게 되면 시동모터(30)가 구동되어 엔진시동이 걸리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키(70)를 돌리던 가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이그니션위치(IG)로 키가 원위치됨과 동시에 엔진의 시동상태가 유지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시동이 걸리게 되면 엔진시동감지부(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엔진시동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인가된 엔진시동감지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솔레노이드(62)에 전기신호를 입력하게 되어 로드(62a)가 전진 이동되어 로드삽입공(64)에 삽입됨과 동시에 키스위치(20)의 이그니션위치(IG)와 시동위치(ST) 사이의 로드고정홈(66)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미숙한 운전자나 어린이들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키를 다시 시동위치(ST)로 돌리거나 엔진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자동차의 운전자들이 시동이 걸린 상태를 감지하고 못하고 키(70)를 재조작하게 되더라도 키스위치(20)가 로드(62a)에 고정되어 회동되지 않으므로 키의 오조작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상태에서는 재시동방지장치에 의해 키스위치가 회동되지 않으므로 엔진의 재시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동모터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운전석의 소정부에 설치된 키홀더(10)에 내장되고 삽입되는 키(70)의 조작에 의해 그 오프위치(OFF)에서 이그니션위치(IG) 또는 시동위치(ST)로 스위칭동작이 수행되는 키스위치(20)와, 그 키스위치(20)가 시동위치(ST)로 스위칭됨에 따라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30)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어 작동되면 그 시동된 상태를 감지하는 엔진시동감지부(40)와;
    상기 엔진시동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어 인가되는 엔진시동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키(70)가 키스위치(20)의 이그니션위치(IG)에서 시동위치(ST)로 재조작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작동되는 재시동방지장치(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동방지장치(60)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로드(62a)가 전진 이동되고 전기신호가 차단되면 내설된 탄성부재(62b)에 의해 원위치되게 설치되는 솔레노이드(62)와;
    상기 솔레노이드(62)의 전진 이동되는 로드(62a)가 삽입되도록 상기 키홀더(10)의 상측 외주면 상에 천공된 로드삽입공(64)과;
    상기 로드삽입공(64)으로 삽입된 로드(62a)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키스위치(20)의 이그니션위치(IG)와 시동위치(ST) 사이에 해당되는 외주면 상에 요입 형성된 로드고정홈(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60)의 로드(62a) 끝단에는 상기 로드(62a)에 의한 상기 키스위치(20)의 고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 형상의 가이드링(68a)과, 상기 가이드링(68a)의 일측면 돌설되는 고정핀(68b)으로 구성된 가압부재(6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KR2019970036881U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KR200172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881U KR200172639Y1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881U KR200172639Y1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12U KR19990024412U (ko) 1999-07-05
KR200172639Y1 true KR200172639Y1 (ko) 2000-03-02

Family

ID=1951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881U KR200172639Y1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59A (ko) * 1998-09-12 2000-04-15 에릭 발리베 차량 엔진 시동장치
KR100349767B1 (ko) * 2000-09-20 2002-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재시동 방지 장치
KR20050015679A (ko) * 2003-08-07 2005-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키 인터락 시스템
KR100892473B1 (ko) * 2006-10-31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마트키 시동장치
CN106783282A (zh) * 2016-12-13 2017-05-31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简易高速动车组司机主控钥匙防误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12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6698B2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JP2005063773A (ja) 操作スイッチ及び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停止システム
KR200172639Y1 (ko) 자동차의 키 오조작 방지장치
US8044531B2 (en) Engine starting device
KR200483578Y1 (ko) 차량 급발진사고 방지 장치
KR100586524B1 (ko) 자동차용 키인터록 시스템
ES217718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rrancar un vehiculo automovil.
KR200167134Y1 (ko) 엔진 시동시 라디오 오프 방지장치
KR200162085Y1 (ko)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용 기동모터의 자동전원 차단장치
JPH07112811B2 (ja) 車輌の盗難防止装置
KR0114434Y1 (ko)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키 어셈블리
KR100349767B1 (ko) 자동차용 재시동 방지 장치
KR0128346Y1 (ko) 자동차의 점화회로
KR200146972Y1 (ko) 시동시 'd'단 인식 방지 장치
JP4199587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19980066901U (ko) 차량용 조향키 실린더 구조
KR0162749B1 (ko) 차량의 점화제어장치
KR100192913B1 (ko) 자동차의 키스위치 리턴 시스템
KR0124134Y1 (ko)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자동오프 장치
KR0137242B1 (ko) 자동차용 키이 탈거 감지스위치
JP2004176627A (ja) エンジン始動・停止制御システム
KR100812458B1 (ko) 차량의 시동 장치
KR19980054722U (ko) 자동차의 지문감지에 의한 시동제어장치
JP3060902U (ja) 押しボタン式自動車エンジン始動回路の改良
KR100187634B1 (ko) 자동차 시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