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853Y1 -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853Y1
KR200171853Y1 KR2019990020428U KR19990020428U KR200171853Y1 KR 200171853 Y1 KR200171853 Y1 KR 200171853Y1 KR 2019990020428 U KR2019990020428 U KR 2019990020428U KR 19990020428 U KR19990020428 U KR 19990020428U KR 200171853 Y1 KR200171853 Y1 KR 200171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 reader
magnetic card
magnetic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희
Original Assignee
남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철희 filed Critical 남철희
Priority to KR2019990020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8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2Card ver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틱 카드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화투입방식으로 사용되던 기존의 전자오락기에 장착하여 카드와 주화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저와; 임의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비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레지스터군(群)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설정정보를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데이터 이외에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코드에 의해 각각 임의의 용도로 구분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와;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이고 기록하는 카드리더와; 상기 카드리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장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기존의 주화투입방식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리자가 에러복구나 금액설정변경등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오락기 전용 카드인식장치이다.

Description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Magnetic Card Recorder for Video game system}
본 고안은 마그네틱 카드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화투입방식으로 사용되던 기존의 전자오락기(이하 오락기라 칭함)에 장착하여 카드와 주화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카드인식장치는 주화투입방식과 함께 사용할 수 없거나, 너무 고가이며, 에러발생시 이를 복구하는 과정이나 내부설정내용을 임의로 변경하는 과정이 까다로우며 정전에 대한 대비 등이 미비한 단점등이 있었다.
따라서, 순간 정전이 발생하거나 각종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며, 각 기기마다 사용금액을 달리하는 오락기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주화투입방식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리자가 에러복구나 금액설정변경등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오락기 전용 카드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기본적 동작을 과정별로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 의 주화입력체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도 2 의 카드삽입에러체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도 2 의 도시된 카드리드및분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 는 사용자 카드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코인제).
도 6B 는 사용자 카드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시간제).
도 7 은 분류코드확인및분류 과정과 분류된카드별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0. 마이크로 프로세서 91. 메모리
92. 표시부 93. 부저
94. 기능버튼 95. 인터페이스 회로
96. 카드리더 97. 오락기 콘트롤러
98. 주화투입감지장치 99. 마그네틱 카드
100. 외부장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내부 구성요소들간의 유기적인 동작은 이하 도 2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의 하단에 도시된 점선부분은 외부장비 즉, 전자오락기(100)를 나타낸 것이며 편의상 본 고안의 동작 설명에 필요한 오락기 콘트롤러(97)와 주화투입 감지장치(98)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90)와;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리드(READ),라이트(WRITE)하는 카드리더(96)와; 상기 카드리더(96)와 마이크로 프로세서(90)를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회로(I/F)(95)와; 필요한 정보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메모리(91)와; 임의의 사용자 시호를 발생시키는 기능버튼(94)과; 본 고안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외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92) 및 부저(93)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설명부호 99로 표현된 것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 카드(99)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잔액, 총액, 설정단위금액, 설정단위시간, 에러체크및모드 레지스터(도시 생략) 및 고유코드와 분류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 레지스터(도시 생략)등을 포함하며, 정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도 지워지지 않도록 비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틱 카드(99)는 그 기능별로 네 가지로 구분하여 사용되며, 각 카드의 분류방법 및 용도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상기 마그네틱 카드(99)는 사용자 카드, 마스터 카드, 데이터 카드, 확인용 카드로 구분하여 사용되며, 사용자 카드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며 일정 금액(이하 '잔액'이라 함)이 기록되어 있고, 나머지 카드들은 관리용으로 사용된다. 마스터 카드는 기본 설정단위금액을 수정하는데 사용되며, 데이터 카드는 매상 집계용, 확인용 카드는 에러 확인 및 수정에 사용된다.
상기 각 카드에는 고유코드와 분류코드,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카드리더(96)를 통해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90)로 읽어 들인다. 마이크로 프로세서(90)는 읽어들인 고유코드를 미리 상기 메모리(91)에 저장되어있던 정보와 비교하여 진위카드 여부를 판별한다. 그 후, 분류코드를 비교하여 삽입된 카드가 어떤 용도의 카드인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읽어들인 데이터를 분류된 카드별로 처리한다. 즉, 사용자 카드의 경우는 데이터에 저장된 정보를 잔액으로 처리하며, 마스터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설정 금액 수정에 사용하는 등으로 처리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카드 인식장치의 동작 특성을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 동작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면 도 2 와 같다. 우선 초기화과정을 거친 후, 주화입력체크(10)과정을 거쳐 주화 입력이 있을 시에는 기존의 오락기와 같이 곧바로 오락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카드삽입에러체크(20)과정은 카드가 삽입되면 수행되는 과정으로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카드삽입에러체크(20)과정이 끝나면 삽입된 카드(99)의 정보를 읽어들여 분류하는 카드리드및분류(30)과정을 진행하며, 상기 과정에 이어서 분류된 카드에 따라 본 고안이 다음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화입력체크(10)과정을 여타 카드삽입 이후의 처리과정보다 우선해서 위치하도록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동작을 부분적으로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주화입력체크(10)는 본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항상 체크하여 주화입력이 발생하면 언제라도 이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있다.
도 3 은 상기한 주화입력체크(10)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주화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11). 이 과정은 오락기(100)에 장착된 주화투입 감지장치(98)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90)로 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 신호의 발생을 마이크로 프로세서(90)에서 카운팅하며(12), 이는 예를 들어, 단가 200원(설정단위금액의 예)의 게임기에 100원 짜리 주화를 투입할 경우 주화 두 개가 투입될 경우(13) 주화입력 카운터를 클리어 시키고 장비사용신호를 1회 발생시키는 과정(14)으로 이어진다. 마이크로 프로세서(90)에서 발생시킨 상기 장비사용신호는 외부장치 즉, 오락기의 오락기 콘트롤러(97)로 보내져 게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3 에 점선으로 표시된 궤환루프는 상술한 주화입력체크(10)과정이 본 고안의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항상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이며, 도 2 에 도시된 상기 과정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시스템 전체가 다운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마그네틱 카드(99)를 사용할 경우는 도 4 에 도시된 카드삽입에러체크(20)과정에서와 같이, 먼저 카드리더(96)를 통해 카드삽입 여부를 확인(21)한다. 이 과정에서는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92)를 통해 '카드'라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계속해서 카드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귀환하도록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궤환루프가 의미하는 바는 상기 카드삽입확인 단계(21)는 항상 대기하고 있는 상태로서 본 고안의 시스템이 동작중일 때 언제라도 카드가 삽입되면 다음 단계의 동작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언급할 '종료'라 함은 본 고안의 시스템이 다음 단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삽입된 카드를 완전히 인출하면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카드삽입확인 단계(21)의 초기로 귀환함을 의미한다.
카드삽입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부(92)를 통해 'E-In'의 삽입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된 경우는 도 5 에 도시된 카드리드및분류(30)과정을 진행한다.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된 경우, 먼저 카드리더(96)에 의해 카드에 기록되어있는 고유코드와 분류코드 및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되어있는 정보와 삽입된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코드를 비교하는 고유코드 확인과정(32)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고유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부정카드로 판정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는다(33). 상기 과정에서 고유코드가 일치한 경우는 다시 분류코드를 비교하여 상기된 네 가지 카드중 하나로 판정하여 각 카드별로 다음 동작이 진행된다.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카드가 사용자 카드일 경우 도 6A 에 도시된 과정을 진행한다. 우선 읽어들인 카드의 데이터 값을 잔액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91)에 구비된 잔액용 레지스터(도시 생략)에 기록한다. 이 때, 상기 잔액을 표시부(92)를 통하여 출력한다(61). 이 후, 본 고안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의 외부에 형성된 기능버튼(94)이 눌려지면(6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설정단위금액과 잔액을 비교하여(63) 잔액이 설정단위금액보다 작을 경우 부저(93)를 통한 경보음과 함께 동작을 종료한다.
잔액이 단위설정금액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잔액에서 단위설정금액을 감하여 이를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64) 또, 표시부(92)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동작한다(65). 그리고, 카드리더(96)를 통하여 삽입된 사용자 카드의 데이터를 감액된 잔액으로 재 기록하도록 한다(66). 그 후, 장비사용신호를 1회 발생시켜 오락기 콘트롤러(67)로 보낸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는 오락기를 사용할 수 있게되며(68), 게임이 종료하면(69) 다시 기능버튼 대기상태(62)로 되돌아가 잔액이 충분히 남아있는 경우라면 상기 기능버튼(94)을 재차 누름으로써 계속 오락기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삽입된 사용자 카드를 인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오락기 사용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때도 역시 본 고안의 시스템은 카드삽입확인 단계(21)로 귀환한다.
이상은 게임당 일정 요금을 적용하는 코인제 모드에서의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도 6B 는 사용시간당 일정 요금을 적용하는 시간제 모드로 작동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그 동작은 아래와 같다.
시간제 모드일 경우 사용자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된 카드삽입에러체크(20)와 카드리드및분류(30)과정을 동일하게 거친 후, 읽어들인 잔액을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이를 표시부(71)를 통해 출력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설정단위금액과 잔액을 비교하여(72), 잔액이 설정단위금액보다 작을 경우 장비사용신호를 'L'로 출력하고 과정을 종료한다(여기서 장비사용신호는 오락기 콘트롤러(97)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로서, 상기 신호레벨이 'H'일 때 인에이블되고 'L'일 때 디스에이블되는 구성임). 잔액이 설정단위금액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잔액에서 설정단위금액을 감하여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73) 이를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며(74), 카드리더(96)를 통하여 삽입된 사용자 카드의 데이터를 감액된 잔액으로 재기록(75)하도록 한 뒤, 장비 사용신호를 'H'로 출력하여(76) 오락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77). 이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오락기가 계속 사용 중인가를 체크하여(78) 사용중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90) 내부의 타이머(도시 생략)를 동작시켜(79) 시스템 사용시간을 단위설정시간과 일치할 때까지 계속 증가시키고, 일치하면(80) 시스템 사용시간을 클리어 시키고(81) 상기된 단위설정금액과 잔액을 비교하는 단계(72)로 귀환하도록 동작하여, 사용자는 잔액이 남아있는 동안은 계속해서 외부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 은 분류코드확인및분류(40)과정과 분류된 카드별 동작(50)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읽어들인 분류코드를 비교하여 마스터 카드가 삽입된 경우는 표시부(92)를 통해 상기 분류코드를 출력하고(51), 이 후, 마스터 카드의 데이터를 근거하여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내용을 변경하고, 이를 표시부(92)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마스터 카드의 데이터에는 시간제 또는 코인제 모드를 의미하는 1비트 정보와 설정단위금액을 의미하는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다수의 마스터 카드에 서로 다른 모드와 설정단위금액을 각각 기록하여 상기 마스터 카드를 삽입하므로써, 손쉽게 사용요금 및 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카드가 삽입된 경우,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금액을 표시부(92)를 통하여 출력(53)한 후, 다시 표시부(92)를 통해 총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수입총액을 출력한다(54). 따라서, 관리자는 데이터 카드를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주화와 카드로 인한 총 수입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마친 후에는 다시 총액 레지스터를 클리어하고(54) 과정을 종료한다.
확인용 카드가 삽입된 경우, 표시부(92)는 에러종류를 의미하는 임의의 메시지와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잔액을 번갈아 가며 출력한다(55). 상기와 같은 동작은 정전이나 잔액 미기록 인출 등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그에 해당하는 1비트 정보를 상기 에러체크및모드 레지스터에 기록하도록 하여 확인용 카드가 삽입된 경우, 상기 에러체크및모드 레지스터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다음 단계로, 삽입된 확인용 카드를 인출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카드를 삽입하면(56)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잔액을 삽입된 사용자 카드에 재 기록한다(57). 상기와 같은 기능으로 관리자는 사용자 카드 잔액에 관계된 각종 에러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코드 구분을 통해 임의의 용도를 갖도록 한 다수의 카드와 비활성 메모리를 구비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므로써, 각종 에러 발생의 체크와 복구, 매상의 집계, 이용금액설정 변경 등의 관리작업을 상기 임의의 카드를 삽입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어 관리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기존의 주화투입방식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므로써, 기존 주화투입방식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불편 없이, 현금 대신 카드를 사용하므로 써 기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용이나 관리, 영업적인 측면의 장점을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데이터 이외에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코드에 의해 각각 임의의 용도로 구분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와;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이고 기록하는 카드리더와;
    상기 카드리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 비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레지스터군(群)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설정정보를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드리더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입력받아 그 용도를 구별하고, 구별된 용도에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외부기기에서 발생시킨 주화 투입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외부기기 사용신호를 출력하며 장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임의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KR2019990020428U 1999-09-21 1999-09-21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KR200171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28U KR200171853Y1 (ko) 1999-09-21 1999-09-21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28U KR200171853Y1 (ko) 1999-09-21 1999-09-21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537A Division KR20010029566A (ko) 2000-02-17 2000-02-17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853Y1 true KR200171853Y1 (ko) 2000-03-15

Family

ID=1958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428U KR200171853Y1 (ko) 1999-09-21 1999-09-21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8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212B1 (ko) 패스워어드를 변경할 수 있는 ic 카아드
US4855578A (en) Portable storage medium processing system
JPH11505049A (ja) カード・インターフェース
EP0122040A1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vending software
KR200171853Y1 (ko)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KR20010029566A (ko)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S6159592A (ja) 貨幣処理装置
JP2513571B2 (ja) カ―ド処理装置
JP2645876B2 (ja) カード式自動販売機
JP2688589B2 (ja) 情報カード処理装置
JP7244082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KR200191468Y1 (ko) 유기기구용 ic 카드 코인 시스템
JPH0418061Y2 (ko)
JP2002066108A (ja) 遊技設備の遊技用記憶媒体の収納枚数管理装置
JP2934304B2 (ja) カード式乗車券による運賃精算装置
KR100293573B1 (ko) 마그네틱 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 기구의 사용 내용 정산 방법
JP2967629B2 (ja) カードディスペンサ
JPH0713987A (ja) 磁気カード読取り装置におけるデータ読取り方法
JP3925786B2 (ja) 電子投票システム
JPH046990B2 (ko)
JP2864334B2 (ja) カード及びカードリーダ
JP2000279627A (ja) 遊技場における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JPH11265473A (ja) 遊技場における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JPH0343889A (ja) 自動販売機
EP2141666A1 (en) Face panel assembly with an RFID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