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566A -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566A
KR20010029566A KR1020000007537A KR20000007537A KR20010029566A KR 20010029566 A KR20010029566 A KR 20010029566A KR 1020000007537 A KR1020000007537 A KR 1020000007537A KR 20000007537 A KR20000007537 A KR 20000007537A KR 20010029566 A KR20010029566 A KR 2001002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value
register
c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희
Original Assignee
남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철희 filed Critical 남철희
Priority to KR102000000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9566A/ko
Publication of KR2001002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2Card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카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주화투입방식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임의의 용도를 갖도록 한 다수의 카드를 이용하여 특별한 하드웨어의 조작 없이 관리자가 에러복구나 금액설정변경 등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은 부저와; 임의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비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레지스터군(群)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설정정보를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데이터 이외에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코드에 의해 각각 임의의 용도로 구분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와;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이고 기록하는 카드리더와; 이 카드리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장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이 카드시스템은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저장한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단순히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관리자가 에러복구나 금액설정변경 등의 작업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agnetic Card System for Video game machin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그네틱 카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화투입방식으로 사용되던 기존의 전자오락기(이하 오락기라 칭함)에 장착하여 카드와 주화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시스템은 임의의 액수가 저장된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여 주화의 투입이나 사용후 현금 결제 등의 번거로움 없이 게임기나 컴퓨터 또는 기타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나 관리자 모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시스템은 주화투입방식과 함께 사용할 수 없거나 너무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에러 발생시 이를 복구하거나 요금체계 등의 내부설정내용을 임의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메뉴얼에 맞추어 재설정 해야하는 등의 까다로운 하드웨어 조작이 필요하며 또한 정전에 대한 대비 등이 미비한 단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카드에 관련된 각종 에러나 순간 정전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고, 이 때마다 그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며, 각 기기마다 사용금액을 달리하며 요금체계의 변경도 수시로 요구되는 오락실 또는 게임방 등의 기기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주화투입방식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임의의 용도를 갖도록 한 다수의 카드를 이용하여 특별한 하드웨어의 조작 없이 관리자가 에러복구나 금액설정변경 등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이외에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저장하여 이 코드에 의해 각각 임의의 용도로 구분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와; 이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이고 기록하는 카드리더와; 이 카드리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 비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레지스터군(群)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설정정보를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여 카드리더와 연결되어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입력받아 그 용도를 구별하고, 구별된 용도에 따라서,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하여 메모리의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외부기기에서 발생시킨 주화 투입신호를 입력받거나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외부기기 사용신호를 출력하며 장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임의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하여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은 고유코드와 서로 다른 값의 분류코드와 데이터가 저장된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네틱 카드를 카드리더에 삽입하는 제1단계와; 이 제1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분류코드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고유코드의 값을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해당 고유코드 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이 제2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코드의 값이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해당 고유코드 값과 일치하는 경우, 읽어들인 분류코드의 값을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해당 분류코드 값과 비교하여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를 판단/분류하는 제3단계와; 이 제3단계에서 판단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에 따라 읽어들인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분류된 카드별로 각기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기본적 동작을 과정별로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 의 주화입력체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도 2 의 카드삽입에러체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도 2 의 도시된 카드리드및분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 는 사용자 카드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코인제).
도 6B 는 사용자 카드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시간제).
도 7 은 분류코드확인및분류 과정과 분류된카드별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0. 마이크로 프로세서 91. 메모리
92. 표시부 93. 부저
94. 기능버튼 95. 인터페이스 회로
96. 카드리더 97. 오락기 콘트롤러
98. 주화투입감지장치 99. 마그네틱 카드
100. 외부장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내부 구성요소들간의 유기적인 동작은 이하 도 2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의 하단에 도시된 점선부분은 외부장비 즉, 전자오락기(100)를 나타낸 것이며 편의상 본 발명의 동작 설명에 필요한 오락기 콘트롤러(97)와 주화투입 감지장치(98)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90)와;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리드(READ),라이트(WRITE)하는 카드리더(96)와; 상기 카드리더(96)와 마이크로 프로세서(90)를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회로(I/F)(95)와; 필요한 정보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메모리(91)와; 임의의 사용자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버튼(94)과; 본 발명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외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92) 및 부저(93)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설명부호 99로 표현된 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 카드(99)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잔액, 총액, 설정단위금액, 설정단위시간, 에러체크및모드 레지스터들(도시 생략) 및 고유코드와 분류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 레지스터(도시 생략)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정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도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도록 비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틱 카드(99)는 그 기능별로 다수의 각기 다른 종류의 카드로 구분하여 사용되며, 각 카드의 분류방법 및 용도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상기 마그네틱 카드(99)는 "사용자 카드", "마스터 카드", "데이터 카드", "확인용 카드"로 구분하여 사용되며, 이 중, 사용자 카드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며 일정 금액(이하 '잔액'이라 함)이 기록되어 있고, 나머지 카드들은 관리용으로 사용된다. 마스터 카드는 기본 설정단위금액을 수정하는데 사용되며, 데이터 카드는 매상 집계용, 확인용 카드는 에러 확인 및 수정에 각각 사용된다.
상기 각 카드에는 고유코드와 분류코드,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카드리더(96)를 통해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90)로 읽어 들인다. 마이크로 프로세서(90)는 읽어들인 고유코드를 미리 상기 메모리(91)에 저장되어있던 정보와 비교하여 진위카드 여부를 판별한다. 즉, 게임방에 경우 한 게임방에서 발행/사용되는 카드에는 모두 동일한 고유코드를 사용하게되며 이를 확인하여 각 업소에서 사용되는 진위카드의 여부를 확인하게된다. 그리고 각 카드는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코드가 저장되어 있어 이 분류코드를 비교하여 삽입된 카드가 어떤 용도의 카드인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읽어들인 데이터를 분류된 카드별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삽입된 카드가 분류코드 확인과정을 통해 사용자 카드로 판정된 경우는 데이터에 저장된 정보를 잔액으로 처리하며, 마스터 카드로 판정된 경우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 금액 수정에 이용하는 등으로 처리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용 카드 인식장치의 동작 특성을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 동작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면 도 2 와 같다. 우선 초기화과정을 거친 후, 주화입력체크(10)과정을 거쳐 주화 입력이 있을 시에는 기존의 오락기와 같이 곧바로 오락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카드삽입에러체크(20)과정은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으로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카드삽입에러체크(20)과정이 끝나면 삽입된 카드(99)의 정보를 읽어들여 분류하는 카드리드및분류(30)과정을 진행하며, 상기 과정에 이어서 분류된 카드에 따라 본 발명이 다음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화입력체크(10)과정을 여타 카드삽입 이후의 처리과정보다 우선해서 위치하도록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동작을 부분적으로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주화입력체크(10)는 본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항상 체크하여 주화입력이 발생하면 언제라도 이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도 3 은 상기한 주화입력체크(10)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주화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11). 이 과정은 오락기(100)에 장착된 주화투입 감지장치(98)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90)로 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 신호의 발생을 마이크로 프로세서(90)에서 카운팅하며(12), 이는 예를 들어, 단가 200원(설정단위금액의 예)의 게임기에 100원 짜리 주화를 투입할 경우 주화 두 개가 투입될 경우(13) 주화입력 카운터를 클리어 시키고 장비사용신호를 1회 발생시키는 과정(14)으로 이어진다. 이 때, 총액 레지스터(도시 생략: 총액R)에는 200원의 설정단위금액이 누적된 값이 기록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90)에서 발생시킨 상기 장비사용신호는 외부장치 즉, 오락기의 오락기 콘트롤러(97)로 보내져 게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3 에 점선으로 표시된 궤환루프는 상술한 주화입력체크(10)과정이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항상 대기하고 있는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이며, 도 2 에 도시된 상기 과정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시스템 전체가 다운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마그네틱 카드(99)를 사용할 경우는 도 4 에 도시된 카드삽입에러체크(20)과정에서와 같이, 먼저 카드리더(96)를 통해 카드삽입 여부를 확인(21)한다. 이 과정에서는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92)를 통해 "카드"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동작하고 계속해서 카드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귀환하도록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궤환루프가 의미하는 바는 상기 카드삽입확인 단계(21)는 항상 대기하고 있는 상태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동작중일 때 언제라도 카드가 삽입되면 다음 단계의 동작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언급할 '종료'라 함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다음 단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삽입된 카드를 완전히 인출하면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카드삽입확인 단계(21)의 초기로 귀환함을 의미한다.
카드삽입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부(92)를 통해 "E-In"의 삽입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된 경우는 도 5 에 도시된 카드리드및분류(30)과정을 진행한다.
카드가 올바르게 삽입된 경우, 먼저 카드리더(96)에 의해 카드에 기록되어있는 고유코드와 분류코드 및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되어있는 정보와 삽입된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코드를 비교하는 고유코드 확인과정(32)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고유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부정카드로 판정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하지 않는다(33).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 고유코드가 일치한 경우는 다시 분류코드를 비교하여 상기된 네 가지 카드중 하나로 판정하여 각 카드별로 분류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시키는 분류코드확인및분류(40)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카드가 사용자 카드일 경우 도 6A 에 도시된 과정을 진행한다. 우선 읽어들인 카드의 데이터 값을 잔액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91)에 구비된 잔액용 레지스터(도시 생략: 잔액R)에 기록한다. 이 때, 상기 잔액을 표시부(92)를 통하여 출력한다(61).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카드시스템의 외부에 형성된 기능버튼(94)이 눌려지면(6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설정단위금액과 잔액을 비교하여(63) 잔액이 설정단위금액보다 작을 경우 부저(93)를 통한 경보음과 함께 동작을 종료한다.
잔액이 단위설정금액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기능버튼(94)이 눌려지면(6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잔액에서 단위설정금액을 감하여 이를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64) 또, 이 감산된 액수를 표시부(92)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동작한다(65). 그리고, 카드리더(96)를 통하여 삽입된 사용자 카드의 데이터를 감액된 잔액으로 재 기록하도록 동작한다(66). 그 후, 장비사용신호를 1회 발생시켜 오락기 콘트롤러(67)로 보낸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는 오락기를 사용할 수 있게되며(68), 게임이 종료하면(69) 다시 기능버튼 대기상태(62)로 되돌아가 잔액이 충분히 남아있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기능버튼(94)을 재차 누름으로써 주화를 더 투입한 것과 동일하게 계속해서 오락기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물론 삽입된 사용자 카드를 인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오락기 사용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때도 역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카드삽입확인 단계(21)로 귀환한다.
이상은 게임당 일정 요금을 적용하는 코인제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는 통상 주화 투입량에 비례하여 기기의 사용 횟수를 제한하는 오락실 등의 오락기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동작모드이며, 이하 사용시간당 일정 비용을 지불하는 일반적인 게임방의 컴퓨터 등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동작모드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B 는 사용시간당 일정 요금을 적용하는 시간제 모드로 작동될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카드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시간제 모드일 경우 사용자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된 카드삽입에러체크(20)와 카드리드및분류(30)과정을 동일하게 거친 후, 읽어들인 잔액을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71). 그런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설정단위금액과 잔액을 비교하여(72), 잔액이 설정단위금액보다 작을 경우 장비사용신호를 'L'로 출력하고 과정을 종료한다(여기서 장비사용신호는 오락기 콘트롤러(97)로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로서, 게임방의 컴퓨터의 경우라면 통상적으로 모니터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 인가되는 전원 신호 등에 해당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레벨이 'H'일 때 인에이블 되고 'L'일 때 디스에이블 되는 구성임). 잔액이 설정단위금액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잔액에서 설정단위금액을 감하여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73) 이를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며(74), 카드리더(96)를 통하여 삽입된 사용자 카드의 데이터를 감액된 잔액으로 재기록(75)하도록 한 뒤, 장비 사용신호를 'H'로 출력하여(76) 오락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77). 이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오락기가 계속 사용 중인가를 체크하여(78) 사용중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90) 내부의 타이머(도시 생략)를 동작시켜(79) 시스템 사용시간을 단위설정시간과 일치할 때까지 계속 증가시키고, 일치하면(80) 시스템 사용시간을 클리어 시키고(81) 상기된 단위설정금액과 잔액을 비교하는 단계(72)로 귀환하도록 동작하여, 사용자는 잔액이 남아있는 동안은 계속해서 외부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두 모드의 동작시에 잔액 레지스터의 값을 감액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그 감액된 값만큼 총액 레지스터의 값을 누적시켜 이후 매출 집계에 이용하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시스템은 시간제 모드와 코인제 모드를 관리자의 임의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며, 모드 선택의 방법은 후술한다.
도 7 은 분류코드확인및분류(40)과정과 분류된 카드별 동작(50)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우선 읽어들인 분류코드를 비교하여, 마스터 카드가 삽입된 경우(41)에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출력하고(51), 이 후, 마스터 카드의 데이터를 근거하여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내용을 변경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삽입된 마스터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 값을 메모리의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에 저장시킨다. 이 때, 상기 마스터 카드의 데이터에는 시간제 또는 코인제 모드를 의미하는 1비트 정보와 설정단위금액을 의미하는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모드와 설정단위금액이 각각 기록된 다수의 마스터 카드를 준비하여 이 마스터 카드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삽입하므로써,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사용요금 및 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카드가 삽입된 경우(42)는,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금액을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53)한 후, 다시 표시부를 통해 총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수입총액을 출력하게된다(54). 따라서, 관리자는 데이터 카드를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주화와 카드로 인한 총 수입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마친 후에는 다시 총액 레지스터를 클리어하고(54) 과정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확인용 카드가 삽입된 경우는, 표시부는 에러종류를 의미하는 임의의 메시지와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잔액을 번갈아 가며 출력하게된다(55). 상기와 같은 동작은 정전이나 잔액 미기록 인출 등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그에 해당하는 1비트 정보를 상기 에러체크및모드 레지스터에 기록하도록 구성하여 확인용 카드가 삽입된 경우, 상기 에러체크및모드 레지스터의 값에 따른 해당 에러종류를 의미하는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다음 단계로, 삽입된 확인용 카드를 인출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카드를 다시 삽입하면(56),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된 잔액을 삽입된 사용자 카드에 재 기록하도록 동작한다(57). 상기와 같은 기능으로 관리자는 사용자 카드 잔액에 관계된 각종 에러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드 구분을 통해 임의의 용도를 갖도록 한 다수의 카드와 비활성 메모리를 구비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므로써, 각종 에러 발생의 체크와 복구, 매상의 집계, 이용금액설정 변경 등의 관리작업을 상기 임의의 카드를 삽입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어 관리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기존의 주화투입방식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므로써, 기존 주화투입방식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불편 없이, 현금 대신 카드를 사용하므로 써 기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용이나 관리, 영업적인 측면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데이터 이외에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코드에 의해 각각 임의의 용도로 구분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와;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이고 기록하는 카드리더와;
    상기 카드리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 비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레지스터군(群)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설정정보를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드리더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서로 다른 임의의 코드정보를 입력받아 그 용도를 구별하고, 구별된 용도에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외부기기에서 발생시킨 주화 투입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외부기기 사용신호를 출력하며 장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임의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2.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여 외부 장비의 사용을 제한적으로 승인하는 카드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유코드와 서로 다른 값의 분류코드와 데이터가 저장된 다수의 마그네틱 카드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네틱 카드를 카드리더에 삽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분류코드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고유코드의 값을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해당 고유코드 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코드의 값이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해당 고유코드 값과 일치하는 경우, 읽어들인 분류코드의 값을 코드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해당 분류코드 값과 비교하여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를 판단/분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판단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에 따라 읽어들인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분류된 카드별로 각기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가 마스터 카드로 판단/분류된 경우,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고유코드 값을 표시부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한 후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 값에 따라 설정단위금액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단위금액을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설정변경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가 데이터 카드로 판단/분류된 경우, 설정단위금액을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한 후 누적된 수입총액을 표시부를 통하여 다시 출력하는 수입집계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가 확인용 카드로 판단/분류된 경우, 발생된 에러에 따른 임의의 문자 메시지와 잔액을 교대로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고 확인용 카드를 인출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사용자 카드에 잔액을 기록하는 에러확인 및 복구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의 종류가 사용자 카드로 판단/분류된 경우,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 값을 잔액으로 인식하여 설정단위금액보다 잔액이 큰 경우 외부장비의 사용을 승인하는 기기사용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기기사용단계는 삽입된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 값을 잔액 레지스터에 저장한 후,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인식 및 표시단계와;
    상기 인식 및 표시단계에서 저장된 잔액 레지스터의 값과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의 값의 대소를 비교하는 잔액확인단계와;
    상기 잔액확인단계에서 잔액 레지스터의 값이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의 값보다 작은 경우 "로우" 레벨 장비사용신호를 출력하는 사용불허단계와;
    상기 잔액확인단계에서 잔액 레지스터의 값이 설정단위금액 레지스터의 값보다 큰 경우 잔액에서 설정단위금액을 감한 값을 잔액 레지스터에 기록하고, 총액에 설정단위금액을 더한 값을 총액 레지스터에 기록한 후 잔액 레지스터의 값을 삽입된 사용자카드에 기록하고, "하이" 레벨 장비사용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승인단계와;
    상기 사용승인단계 이후 장비사용신호가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장비사용시간을 누적 카운트하는 카운트단계와;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카운트한 장비사용시간이 단위설정시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장비사용시간 체크단계와;
    상기 장비사용시간 체크단계에서 장비사용시간이 단위설정시간보다 적은 경우 상기 카운트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카운트 지속단계와;
    상기 장비사용시간 체크단계에서 장비사용시간이 단위설정시간과 동일한 경우 장비사용시간의 카운트 값을 클리어하고 상기 잔액확인단계의 과정을 진행하는 사용시간 클리어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게임기용 카드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00007537A 2000-02-17 2000-02-17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9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37A KR20010029566A (ko) 2000-02-17 2000-02-17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37A KR20010029566A (ko) 2000-02-17 2000-02-17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428U Division KR200171853Y1 (ko) 1999-09-21 1999-09-21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66A true KR20010029566A (ko) 2001-04-06

Family

ID=1964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537A KR20010029566A (ko) 2000-02-17 2000-02-17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95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94B1 (ko) * 2003-12-17 2006-12-28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서브시스템 장치를 마더보드에 바인딩하는 방법 및 구조물
KR101408935B1 (ko) * 2012-05-16 2014-06-17 주식회사 엔터 이용요금의 지급과 메달 또는 티켓의 수량을 기록하는 카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94B1 (ko) * 2003-12-17 2006-12-28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서브시스템 장치를 마더보드에 바인딩하는 방법 및 구조물
KR101408935B1 (ko) * 2012-05-16 2014-06-17 주식회사 엔터 이용요금의 지급과 메달 또는 티켓의 수량을 기록하는 카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6233A1 (en)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3501302A (ja) データ担持デバイス
EP0122040A1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vending software
KR20010029566A (ko) 게임기용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71853Y1 (ko)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EP0151761A2 (en) Electronic coin box, particularly for public telephone utilities
KR20010007856A (ko) 무인동전수집및저축장치
JP3130473B2 (ja) カードによる取引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S6159592A (ja) 貨幣処理装置
JP2647841B2 (ja) 物品貸与装置
JP7244082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JP4385763B2 (ja) Icカード用紙幣積増機およびicカード用紙幣積増方法
KR200190109Y1 (ko) 각종 기기에 부설된 코인 인식장치
JP2900441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処理装置
JP2939718B2 (ja) 磁気カード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1097499A (ja) 個人認証方法
JP2934304B2 (ja) カード式乗車券による運賃精算装置
JP2688589B2 (ja) 情報カード処理装置
JP2550536B2 (ja) カード精算機
JPS59208687A (ja) キヤツシユカ−ドの有効無効判別方式
JPH05111577A (ja) 景品管理システム
JPS6286491A (ja) 自動販売装置
JPS63155289A (ja) 自動販売機のデ−タ管理装置
JP2000030125A (ja) 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読書装置及び不正カード使用防止方法
JPH0279192A (ja) カードデータ処理装置付き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