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202Y1 - 자동차의 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202Y1
KR200171202Y1 KR2019970029905U KR19970029905U KR200171202Y1 KR 200171202 Y1 KR200171202 Y1 KR 200171202Y1 KR 2019970029905 U KR2019970029905 U KR 2019970029905U KR 19970029905 U KR19970029905 U KR 19970029905U KR 200171202 Y1 KR200171202 Y1 KR 200171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cover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481U (ko
Inventor
박인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9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2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 자동차의 콘솔박스에 대해 개시한다. 이 콘솔박스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10)가 마련되는 콘솔본체(100)와, 상면이 개구되는 형상을 가지며 공간부(110) 내에 수용되고 그 외주면이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공간부(11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의 외주면과 공간부(110)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며 그 결합부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갭발생 방지수단과, 콘솔본체(100)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는 소정의 회전수단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콘솔본체(100)에 고정되는 커버(300)와, 콘솔본체(100)의 타측 내부에 마련되며 커버(300)의 개방시 그 개방속도를 조정시키는 커버개방속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콘솔박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콘솔박스를 나타낸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커버 개방시 그 커버의 축결합된 힌지부위가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커버의 개방속도가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콘솔박스에는 주로 컵 또는 카세트테이프 등의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콘솔박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본체(10)의 일측에 상면이 개구된 소정공간을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힌지축(30)에 의해 힌지운동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를 콘솔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20)의 하측으로 소정길이의 후크부(42)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42)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20)를 콘솔본체(10)에 밀착 고정시키는 래칫부(44)가 상기 하우징(50)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그외에도 상기 커버(20)는 그 개방이 용이하도록 상기 힌지축(30)의 외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도시안됨)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자동차의 콘솔박스는 상기 커버가 힌지축에 의해 일축상으로 콘솔본체의 공간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물품의 수납을 위한 커버의 개방시 공간부 내측에 마련된 힌지축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자동차의 콘솔박스는 그 커버의 개방시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속도가 빠르므로, 조작시 탑승객의 신체에 부딪혀 다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품의 수납시 커버의 회전으로 인해 개방되는 공간부 내부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콘솔박스를 제공한다.
둘째, 커버의 개방시 그 개방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콘솔박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박스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 자동차의 콘솔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솔본체 110 : 공간부
200 : 하우징 300 : 커버
410 : 콘솔보강재 420 : 끼움홈
430 : 탄성편 510 : 내부공간
520 : 힌지부재 530 : 힌지축
540 : 스프링부재 610 : 후크부
620 : 래칫부 710 : 기어부
720 : 댐핑부 810 : 끼움공
820 : 가이드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자동차의 콘솔박스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콘솔본체와, 이 콘솔본체 내에 수용되어 그 상측으로 노출되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와, 이 커버를 회전개폐할 수 있게 상기 콘솔본체에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이 회전지지수단에 지지된 커버의 개폐속도를 완충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커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이 힌지축 주위에 결합되어 커버를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탄력을 보유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솔본체에 수용되는 하우징이 이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수축 및 돌출하는 탄력을 보유하도록 형성된 탄성편을 가지고 있고, 강성이 큰 재질로 되어 상기 콘솔본체 내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탄성편을 끼워서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끼움홈을 가지는 콘솔보강재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에는 그 회전지지되는 부분의 반대편 선단부에 하측으로 후크부를 돌기시키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콘솔본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력에 대항하여 그 커버의 후크부를 걸어서 임의로 열리지 않게 고정하는 래칫부를 형성한다.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회전개폐시 상기 힌지축 주위를 회전하게 되는 기어부를 가지는 원호형의 힌지부재와, 이 원호형 힌지부재의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축을 가지고 있고 그 기어축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완충하는 댐핑부를 구비하여서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공간부의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갭발생 방지수단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갭발생 방지수단은 상기 콘솔본체의 가장자리에 소정 크기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 상기 끼움공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콘솔본체와 하우징의 결합시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자동차의 콘솔박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콘솔박스는, 도 1 내지 도 5 참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10)가 마련되는 콘솔본체(100)와, 상면이 개구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간부(110) 내에 수용되고 그 외주면이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상기 공간부(11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외주면과 공간부(110)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며 그 결합부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갭발생 방지수단과, 상기 콘솔본체(100)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는 소정의 회전수단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콘솔본체(100)에 고정되는 커버(300)와, 상기 콘솔본체(100)의 타측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커버(300)의 개방시 그 개방속도를 완속조정하여 완충하는 댐핑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음용수가 들어 있는 컵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그 내주면의 형상이 컵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공간부(110)의 내주면에 소정의 강성을 갖는 콘솔보강재(410)가 결합되고, 상기 콘솔보강재(410)의 내주면에 끼움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0)의 하측면에 상기 끼움홈(4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편(430)이 형성되어서, 하우징(200)과 콘솔본체(100)가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300)의 일단에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610)와, 상기 콘솔본체(100)에 상기 후크부(610)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후크부(610)를 선택적으로 파지시키는 래칫부(620)를 구비한다.
상기 갭발생 방지수단은 콘솔보강재(41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끼움공(81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하면에 상기 끼움공(810)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820)가 형성되어서, 상기 콘솔본체(100)와 하우징(200)의 결합시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51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00)의 양측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510)에 수용되어 힌지축(530)으로 축결합되는 힌지부재(520)와, 상기 힌지축(530)의 외주면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커버(300)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부재(540)를 구비한다.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일측 힌지부재(520)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치형을 갖는 기어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710)의 치형에 대응되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300)의 개방시 힌지부재(52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개방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핑부(7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720)는 상기 힌지부재(520)의 기어부(710)와 치합되는 기어축(722)과, 상기 기어축(722)의 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기어축(722)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오일이 내부에 충전된 본체(72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 자동차의 콘솔박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300)와 하우징(200)이 콘솔본체(100)에 결합되는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하우징(200)을 상측에서 콘솔본체(100)의 공간부(110)측으로 하강시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마련된 탄성편(430)이 상기 콘솔보강재(410) 내주면의 끼움홈(420)에 후크 결합됨과 아울러, 콘솔보강재(410)의 끼움공(810)에 하우징(200)의 전면부에 마련된 가이드돌기(820)가 끼움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하우징(200)과의 결합이 완료된 콘솔본체(100)는 상면이 개구되는 상태를 갖게 되고, 이 콘솔본체(100)의 상측으로 회전가능한 커버(300)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300)의 일측 하단부에 마련된 힌지부재(520)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공간(510)에서 힌지운동가능하도록 힌지축(530)에 의해 축결합되고, 이어서 상기 커버(300)의 개방시 소정의 복원탄성력을 갖도록 스프링부재(540)가 그 외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기 커버(300)는 그 일단 하측면에 마련된 후크부(610)가 상기 하우징(200)의 래칫부(620)에 파지되어 있으므로, 그 하우징(200)의 개구된 상면을 폐쇄시키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콘솔본체(100)의 표면과 수평으로 일치되도록하여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 콘솔박스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커버(300)의 후크부(610)를 하우징(200)의 래칫부(620)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커버(300)가 스프링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하우징(200)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300)의 힌지부재(52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공간(510)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힌지축(530)을 중심으로 힌지운동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의 개방시 커버(300)의 힌지부재(520) 및 힌지축(530)이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힌지운동되어 사용자의 눈에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해진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개방시 상기 커버(300)의 타측 하단부에 마련된 힌지부재(520)의 기어부(710)와 치합된 댐핑부(720)는 상기 기어부(710)와 연동되면서 회전되므로, 커버(300)의 개방속도를 감속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 자동차의 콘솔박스는 커버의 개방시 힌지운동되는 힌지부재와 힌지축이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고, 커버의 개방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조로 된 것인바, 이에 따르면, 외관이 미려해짐과 아울러 어린이의 조작시 커버의 개방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유용한 기능을 갖는다.

Claims (7)

  1.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마련되는 콘솔본체와, 상기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그 외주면이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상기 공간부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며 상면이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콘솔본체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는 소정의 회전수단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콘솔본체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콘솔본체의 타측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커버의 개방시 그 개방속도를 조정시키는 커버개방속도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공간부의 내주면에 소정의 강성을 갖는 콘솔보강재가 결합되고, 상기 콘솔보강재의 내주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편이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힌지축으로 축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의 일단에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콘솔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후크부를 선택적으로 파지시키는 래칫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개방속도 제어수단은 상기 일측 힌지부재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치형을 갖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의 치형에 대응되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개방시 힌지부재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개방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핑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공간부의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갭발생 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갭발생 방지수단은 상기 콘솔본체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 상기 끼움공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콘솔본체와 하우징의 결합시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콘솔박스.
KR2019970029905U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콘솔박스 KR200171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905U KR200171202Y1 (ko)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콘솔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905U KR200171202Y1 (ko)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콘솔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1U KR19990016481U (ko) 1999-05-25
KR200171202Y1 true KR200171202Y1 (ko) 2000-04-01

Family

ID=1951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905U KR200171202Y1 (ko) 1997-10-28 1997-10-28 자동차의 콘솔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2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1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954A (en) Glove box assembly including glove box that is positionable in a partially open position
US5775761A (en) Holder for small articles provided in a ceiling of an automobile
JP4125589B2 (ja) 小物入れ
KR200171202Y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JPH0648237A (ja) 多目的機能を備えた回転式カップホルダ
JP4239285B2 (ja) ドアトリム用ポケット
KR100422718B1 (ko) 글러브 박스 댐핑장치
KR100195521B1 (ko) 자동차의 리어콘솔 개폐장치
JPH10297338A (ja) カップホルダー付きアームレスト
JPH0242526Y2 (ko)
JP3581902B2 (ja) ヒンジ支持構造
KR20050042741A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KR19990031908U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04148995A (ja) グラブボックス
KR100569371B1 (ko) 자동차용 콘솔의 구조
KR100469789B1 (ko) 김치냉장고의 보조선반
JPS62227836A (ja) 自動車のコンソ−ルボツクス
JP2003063295A (ja) アームレスト機能を備えた車両用ドアポケット
JPS6146729A (ja) 車両用収納容器
JP2507036Y2 (ja) 車両用ボックスの開閉構造
JP3198349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H0139252Y2 (ko)
KR0139425Y1 (ko) 자동차의 룸 미러에 부설된 안경보관함
KR19990017887U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노이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