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952Y1 - 타이밍 풀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타이밍 풀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952Y1
KR200166952Y1 KR2019960068063U KR19960068063U KR200166952Y1 KR 200166952 Y1 KR200166952 Y1 KR 200166952Y1 KR 2019960068063 U KR2019960068063 U KR 2019960068063U KR 19960068063 U KR19960068063 U KR 19960068063U KR 200166952 Y1 KR200166952 Y1 KR 200166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pulleys
timing pulley
p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864U (ko
Inventor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8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95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8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3/00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3/10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 F16H13/12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by magnetic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DOHC 엔진에서 크랭크 축과 연결된 타이밍 벨트(Timing Belt)에 의해 회전되어 흡·배기밸브 구동용 캠축을 회전시키는 2개의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진 타이밍 풀리 조립체로, 특히, N극과 S극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영구자석이 각각 설치되어, 이들 자석간의 인력 및 반발력으로 캠축을 균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타이밍 풀리 조립체이다.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1,2)에는 N극과 S극이 엇갈리는 원주방향으로 엇갈리는 다수의 영구 자석(7a,7b)이 각각 설치되고, 이들 타이밍 풀리(1,2)들은 서로에 대하여 N극과 S극이 가지는 위상차 만큼의 위상차를 가지므로써 회전에 따라 최근접한 부분에서 항상 동일한 전극이 마주 보게 된다.
따라서, 각 타이밍 풀리(1,2)는 항상 서로에게 영구자석의 반발력을 작용시켜 서로에게 회전력을 준다. 이에 따라 각 타이밍 풀리(1,2)는 회전변동량이 거의 없이 회전되므로, 구동시 이 풀리(1,2)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저감된다.

Description

타이밍 풀리 조립체
본 고안은 자동차의 DOHC 엔진에서 크랭크 축과 연결된 타이밍 벨트(Timing Belt)에 의해 회전되어 흡·배기밸브 구동용 캠축을 회전시키는 2개의 타이밍 풀리로 이루어진 타이밍 풀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풀리에 N극과 S극이 엇갈리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이 각각 설치되어, 이들 자석간의 인력 및 반발력으로 캠축을 균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타이밍 풀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엔진 연소실의 밸브 개폐 기구인 캠축이 실린더 헤드 위에 배치되는 DOHC형 자동차의 엔진에는 크랭크 축(Crank Shaft)로부터 타이밍 벨트나 타이밍 체인(Timing Chain)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 2개의 캠축(Cam Shaft)을 회전시키는 타이밍 풀리 조립체가 설치된다.
첨부된 도면의 제1도는 종래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캠 구동장치가 설치된 DOHC형 자동차 엔진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풀리 조립체는 각 캠축의 단부에 결합된 2개의 타이밍 풀리(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하부에 설치된 크랭크 축의 구동풀리(3)와 타이밍 벨트(4)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타이밍 벨트(4)에는 오일 펌프를 구동시키는 펌프 풀리(5) 및 벨트(4)에 장력을 걸어주는 텐션 풀리(6) 등이 함께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엔진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크랭크 축(미도시)의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4)를 통하여 타이밍 풀리(1,2)에 전달되어 캠축(미도시)이 회전되면서 흡·배기 밸브가 개폐된다.
그러나, 앞서의 예로든 종래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는 행정에 따른 크랭크 축의 회전변동을 그대로 받아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속도의 변화로 인한 부하가 발생되어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가 가진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각 풀리에 극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이 영구자석의 인력과 반발력으로 타이밍 풀리의 회전을 고르게 하므로써 회전 변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타이밍 풀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캠 구동장치가 설치된 DOHC형 자동차 엔진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캠 구동장치가 설치된 DOHC형 자동차 엔진의 측면도.
제3(a)도는 초기 캠의 회전에 따른 회전변동량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제3(b)도는 본 고안의 영구자석의 발생시키는 회전변동량의 크기 및 변화를 보인 그래프.
제3(c)도는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의 타이밍 풀리의 회전변동량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타이밍 풀리 3 : 구동풀리
4 : 타이밍 벨트 5 : 펌프 풀리
6 : 텐션 풀리 7a : N극 영구 자석
7b : S극 영구 자석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의 예로든 종래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는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설명하였음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의 제2도는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캠 구동장치가 설치된 DOHC형 자동차 엔진의 측면도이고, 제3(a)도는 초기 캠의 회전에 따른 회전변동량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그리고 제3(b)도는 본 고안의 영구자석의 발생시키는 회전변동량의 크기 및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며, 제3(c)도는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의 타이밍 풀리의 회전변동량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가 설치되는 캠 구동장치는 크랭크 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3)와, 이 구동풀리(3)로부터 타이밍 벨트(4)로 연결되는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이밍 벨트(4)에는 장력을 걸어주는 텐션 풀리(6)와 오일 펌프 구동용 펌프 풀리(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크랭크 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구동력이 타이밍 벨트(4)를 통하여 타이밍 풀리(1,2)에 전달되어 캠축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 조립체는 크랭크 축의 구동풀리(3)에 타이밍 벨트(4)로 연결되는 2개의 타이밍 풀리(1,2)로 이며, 이들 타이밍 풀리(1,2)에는 양극이 원주방향으로 엇갈리게 십자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영구 자석((7a,7b)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두 타이밍 풀리(1,2)의 자석들은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어서 회전에 따라 서로에게 항상 반발력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밍 풀리(1,2)에는 제3(a)도와 같이 회전에 따라 회전변동이 생기는데, 내장된 영구 자석(7a,7b)들이 제3(b)도와 같은 회전변동력을 작용시켜, 타이밍 풀리(1,2)의 회전변동량을 제3(c)도와 같은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타이밍 풀리(1,2)는 영구 자석(7a,7b)의 자력에 의하여 회전 변동량이 크게 축소되므로, 회전변동량의 변화로 타이밍 풀리(1,2)에서 발생되었던 소음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각 타이밍 풀리에 설치된 영구 자석의 반발력에 의하여 타이밍 풀리의 속도가 균일하게 되므로, 타이밍 벨트의 회전 변동량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었던 소음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

  1. DOHC 엔진의 두 개의 캠 축에 각각 설치되고, 크랭크 축과 타이밍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캠 축을 회전시키는 인접한 2개의 타이밍 풀리를 포함하는 타이밍 풀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풀리에는 N극과 S극이 엇갈리는 원주방향으로 엇갈리는 다수의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회전시 서로에 대하여 반발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최근접한 부분에서 항상 동일한 전극이 마주 볼 수 있게 N극과 S극의 위상차와 같은 위상차로 상기 각 캠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풀리 조립체.
KR2019960068063U 1996-12-31 1996-12-31 타이밍 풀리 조립체 KR200166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063U KR200166952Y1 (ko) 1996-12-31 1996-12-31 타이밍 풀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063U KR200166952Y1 (ko) 1996-12-31 1996-12-31 타이밍 풀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864U KR19980054864U (ko) 1998-10-07
KR200166952Y1 true KR200166952Y1 (ko) 2000-03-02

Family

ID=1948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063U KR200166952Y1 (ko) 1996-12-31 1996-12-31 타이밍 풀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9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864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89477A (ja) カム軸のトルク補償装置
KR920008916B1 (ko) Dohc엔진의 캠축 축받이구조
KR200166952Y1 (ko) 타이밍 풀리 조립체
JP3835379B2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US6318321B1 (en) Method of modifying motorcycle engine cam drive
CA2300784A1 (en) External drive double shaft overhead cam engine (dsohc)
JPS62258109A (ja) エンジンのタイミング駆動装置
JP4111850B2 (ja) ロッカーアームの位置決め構造
MXPA05007402A (es) Dispositivo para evitar la rotacion de eje de palanca oscilante.
WO2002081877A1 (fr) Decompress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a 4 courses
EP0343627B1 (en) Valve drive train for a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09823B1 (ko) 캠축용타이밍체인의스프로킷휠
KR20040029441A (ko) 내연 기관의 밸브 가동 장치에 있어서의 로커 암 샤프트의회전 정지 장치
KR0135532Y1 (ko) 브이형 내연기관의 캠 샤프트 구동구조
EP0661418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80076672A (ko)
JPH09236002A (ja) Dohc型エンジンのカムキャップ構造
KR100203877B1 (ko) 내연기관의 밸브 개폐시기 가변장치
KR0167928B1 (ko) 링크방식을 이용한 dohc형 캠 샤프트 구동장치
KR100275156B1 (ko) 엔진의 타이밍 벨트장착을 위한 캠샤프트구조
JP2896710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950005824B1 (ko) 내연 기관의 흡, 배기 밸브의 구동 장치
KR19980043586U (ko) 캠축구동장치
KR0140237Y1 (ko) 자동차의 타이밍 체인 구동장치
KR19980062825A (ko) 타이밍 밸트 장력 자동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