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262Y1 - 무인반송차 - Google Patents

무인반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262Y1
KR200166262Y1 KR2019970003220U KR19970003220U KR200166262Y1 KR 200166262 Y1 KR200166262 Y1 KR 200166262Y1 KR 2019970003220 U KR2019970003220 U KR 2019970003220U KR 19970003220 U KR19970003220 U KR 19970003220U KR 200166262 Y1 KR200166262 Y1 KR 200166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driving
rotating member
power cable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65U (ko
Inventor
이성현
한용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3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2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인반송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반송차의 주행장치의 방향 전환을 시키기 위해 조향 장치를 구동하는 경우 주행 장치의 주행용 모터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조향 장치가 작동되도록 한 무인반송차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하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평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회전 원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원판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 원판 하부면에 설치되는 주행용 모터를 구비한 주행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상에 전원 케이블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될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무인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전환할 때 상기 회전 원판과 상기 전원 케이블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반송차
본 고안은 무인반송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반송차의 주행장치의 방향 전환을 시키기 위해 조향 장치를 구동하는 경우 주행 장치의 주행용 모터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조향 장치가 작동되도록한 무인반송차에 관한 것이다.
무인반송차는 무인화에 의한 부품등의 이송 및 공급등을 하기 위한 이송 수단으로서, 소위 무인화 공장 또는 보다 협소한 개념의 자동화된 생산 라인에서 부품등의 이송물을 각 공정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생산 완료된 제품의 입고를 위한 이송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반송차는 정해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생산라인의 작업 영역내의 바닥에 매설된 마그네틱 테이프를 따라 전,후진 및 횡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는바, 일반적인 무인반송차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반송차는 베이스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미도시)과, 이 하우징 상부측에 설치되어 부품등의 이송물을 취부하여 다른 장소로 위치 이동시키는 작업 로봇(미도시)과, 베이스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 장치(100)와, 베이스 프레임(200) 하부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주행 장치(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체(400)와, 필요시 주행 장치(100)의 주행 방향을 임의로 변경하기 위한 조향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향 장치(300)는 무인반송차가 전,후진 방향외에 횡방향등의 다른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주행 장치(100) 전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향 장치(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200) 상부에 설치되는 조향용 모터(310)와, 조향용 모터(31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조향용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320)와, 베이스 프레임(200)의 중앙 상하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 부재(323)와, 회전 부재(323) 상부에 설치되어 감속기(320)의 출력축의 회전력을 벨트(321)등에 의해 회전 부재(323)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322)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원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향용 모터(310)을 포함한 감속기(320), 벨트(321), 풀리(322) 및 회전 부재(323)은 회전 원판(3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이고, 회전부재(323)는 회전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주행장치(100)는 회전 원판(340) 하부면에 고정 부재(341)을 매개로 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구동륜(120)과, 이 구동륜(120)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륜이 회전 작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주행용 모터(130)와, 베이스 프레임(200) 하부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무인 반송차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구동륜(120)의 회전시 무인반송차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캐스터(430)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100)의 구동륜(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용 모터(130), 주행장치(100)를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향용 모터(310) 및 작업 로봇등은 메인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상기 메인 제어기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설치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주행용 모터(130), 조향용 모터(310) 및 작업 로봇에 각각 전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조향용 모터(310) 및 작업 로봇은 베이스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서 메인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행용 모터(130)는 베이스 프레임(200) 및 회전 원판(340) 상하면이 관통 형성된 관통공(210),(342)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200) 상부측에 설치된 메인 제어기에 전원 케이블(500)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 전원 케이블(500)의 연결 상태는 회전 원판(340)이 회전 가능한 길이로 배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무인반송차의 주행용 모터로의 전원 케이블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무인반송차의 주행을 전,후진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승강체(400)를 하강 작동시켜 주행 장치(100)의 구동륜(120) 및 캐스터(430)가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무인반송차 차체를 들어 올린다.
이후, 조향 장치(300)의 조향용 모터(310)를 구동시켜 회전 원판(340)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 원판(340)이 회전되면, 주행 장치(100)는 무인반송차가 횡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그 구동륜(120)이 배치된다.
여기서, 메인 제어기와 주행 장치(100)의 주행용 모터(130)를 상호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500)이 베이스 프레임(200) 및 회전 원판(340)의 관통공(210)(34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원판(340)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때 베이스 프레임(200)의 관통공(342)과 회전 원판(340)의 관통공(210)이 상호 다른 위치에 있게 되어 전원 케이블(500)이 어느 정도 팽팽해지도록 긴장하게 된다.
한편, 무인반송차의 주행을 횡방향에서 전,후진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경우에는 회전 원판(340)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때 베이스 프레임(200)의 관통공(342)과 회전 원판(340)의 관통공(210)의 위치가 상호 일치되거나 근접하게 되어 팽팽하게 긴장되었던 전원 케이블(500)의 상태는 느슨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무인반송차의 주행용 모터로의 전원 케이블 연결장치에 의하면, 메인 제어기의 오작동등으로 인해 조향 장치의 조향용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즉 주행 장치의 구동륜의 배치가 횡방향 또는 전, 후진 방향등 설치된 방향으로 되도록 하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회전 원판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지나치게 회전하게 되어 메인 제어기로부터 주행용 모터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메인 제어기와 주행 장치의 주행용 모터를 상호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이 베이스 프레임 및 회전 원판상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원판의 회전시 전원 케이블에 의해 회전 원판의 회전 운동이 방해를 받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인반송차의 주행 장치의 방향 전환을 시키기 위해 조향 장치를 구동하는 경우 조향 장치가 주행 장치의 주행용 모터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조향 장치가 작동되도록 한 무인반송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무인반송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전원 케이블이 주행용 모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제1도의 무인반송차의 정면도.
제3도는 전원 케이블이 주행용 모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행 장치 120 : 구동륜
130 : 주행용 모터 200 : 베이스 프레임
300 : 조향 장치 310 : 조향용 모터
340 : 회전 원판 430 : 캐스터
323 : 회전 부재 324 : 관통공
600 : 전원 케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하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평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회전 원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원판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 원판 하부면에 설치되는 주행용 모터를 구비한 주행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상에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될수 있도록 상기 주행용 모터에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인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전활할 때 상기 회전 원판과 상기 전원 케이블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기술에서 사용되었던 구성부재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제3도는 전원 케이블이 주행용 모터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는 베이스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미도시)과, 이 하우징 상부측에 설치되어 부품등의 이송물을 취부하여 다른 장소로 위치 이동시키는 작업 로봇(미도시)과, 베이스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 장치(100)와, 베이스 프레임(200) 하부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주행 장치(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승강체(400)와 필요시 주행 장치(100)의 주행 방향을 임으로 변경하기 위한 조향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주행 장치(100)의 구동륜(120)을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설치 구성을 변경한 것에 그 차이점이 있다.
조향 장치(300)를 구성하는 회전 원판(340)이 회전되도록 전달 역할을 하는 회전부재(323)에는 상, 하 관통되는 관통공(32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24) 내부를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200) 상부측에 설치된 메인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주행용 모터(130)에 전원 케이블(600)이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전원 케이블(600)은 회전 부재(323)에 형성된 관통공(324) 내부를 통하여 주행용 모터(1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회전 부재(32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전원 케이블(600)이 설치되는 것이면 관계가 없다.
전원 케이블(600)이 회전 부재(32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은 무인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향 장치(300)의 종래에서 기술한 구동부, 즉 조향용 모터(310)의 구동으로 회전 원판(340)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 원판(340)이 전원 케이블(600)이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인반송차의 주행을 전,후진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승강체(400)를 하강 작동시켜 주행 장치(100)의 구동륜(120) 및 캐스터(400)가 지면에서 이탈되도록 무인반송차 차체를 들어 올린다.
이후, 조향 장치(300)의 조향용 모터(310)를 구동시켜 회전 원판(340)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 원판(340)이 회전되면, 주행 장치(100)는 무인반송차가 횡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 장치의 구동륜(120)이 배치된다.
이때, 메인 제어기와 주행 장치(100)의 주행용 모터(130)를 상호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600)이 조향 장치(300)의 회전 부재(323)의 관통공(324)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 부재(32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향용 모터(310)의 구동으로 회전 원판(340)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 원판(340)이 전원 케이블(600)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구조에 따르면, 메인 제어기와 주행 장치의 주행용 모터를 상호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이 베이스 프레임 및 회전 원판상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원판의 회전시 전원 케이블도 회전 원판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됨으로 전원 케이블에 의한 회전 원판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제어기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조향 장치의 조향용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즉 주행장치의 구동륜의 배치가 횡방향 또는 전,후진 방향등 설치된 방향으로 되도록 하는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회전 원판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지나치게 회전하게 되어 메인 제어로기부터 주행용 모터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하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수평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회전 원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원판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 원판 하부면에 설치되어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회전 원판 하부면의 주행용 모터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구비한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관통공 내부를 통하여 상기 주행용 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반송차.
KR2019970003220U 1997-02-27 1997-02-27 무인반송차 KR200166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220U KR200166262Y1 (ko) 1997-02-27 1997-02-27 무인반송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220U KR200166262Y1 (ko) 1997-02-27 1997-02-27 무인반송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65U KR19980058765U (ko) 1998-10-26
KR200166262Y1 true KR200166262Y1 (ko) 2000-01-15

Family

ID=1949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220U KR200166262Y1 (ko) 1997-02-27 1997-02-27 무인반송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2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65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262Y1 (ko) 무인반송차
JPH11171010A (ja) 無人運搬車
CN109562797B (zh) 行驶体
JPS61285129A (ja) 全方向移動車
US5388657A (en) Lifting mechanism for no-man vehicle
CN210505429U (zh) 叉车
KR19980058764U (ko) 무인반송차
KR200163899Y1 (ko)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KR200151340Y1 (ko) 무인차
KR200161952Y1 (ko) 무인 운반차
JP3202346B2 (ja) 搬送装置
KR102533515B1 (ko) 조향 회전 방지 기능의 캐스터를 구비한 agv의 제어방법
JPH09286564A (ja) ロール物運搬車
JP2004224161A (ja) 搬送車
CN218055344U (zh) 舵轮和agv小车
JP3731701B2 (ja) 物品収納設備
KR200299969Y1 (ko)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설비의 주행 제어 및 감지 장치
JP4219508B2 (ja) 搬送車システム
JP2567508B2 (ja) 芝刈り用の作業車の旋回装置
JP2844164B2 (ja) 機械式駐車装置用走行台車
JPH054004Y2 (ko)
KR950006676B1 (ko) 무인운반차의 방향전환(steering)장치
JPH10194114A (ja) 搬送車
KR20010048486A (ko) 로봇용 이동장치
JP4220948B2 (ja) 無軌道式の自動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