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2613U - 무인반송차 - Google Patents

무인반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2613U
KR19980012613U KR2019960026183U KR19960026183U KR19980012613U KR 19980012613 U KR19980012613 U KR 19980012613U KR 2019960026183 U KR2019960026183 U KR 2019960026183U KR 19960026183 U KR19960026183 U KR 19960026183U KR 19980012613 U KR19980012613 U KR 19980012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unmanned
rotary table
driving
driv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6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2613U/ko
Publication of KR19980012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61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8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non-mechanical, e.g. following a line or other known markers
    • B62D1/283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non-mechanical, e.g. following a line or other known markers for unmann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무인반송차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고안의 무인반송차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과, 이 구동원의 출력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구동풀리와, 이 구동풀리와 연결된 감속기와, 구동풀리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테이블 및 이 회전테이블의 저면에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된 1쌍의 휠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향장치를 구비한 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 조향장치에 의해 임의의 각도 방향으로 주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全)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하여 최단거리의 주행에 의한 이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반송차
본 고안은 무인반송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全)방향으로의 주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를 구비한 무인반송차에 관한 것이다.
무인반송차(AGV; Auto Guided Vehicle)는 의미 그대로 무인화에 의한 부품의 이송 및 공급 등을 위한 이송수단으로서, 소위 무인화공장 또는 보다 협소한 개념의 자동화된 생산라인에서 부품 등의 이송물을 각 공정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생산완료된 제품의 입고를 위한 이송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반송차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송작업 등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생산라인의 작업영역내의 바닥에 트랙형으로 매설된 가이드 테이프(1)를 따라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행을 하는 종래의 무인반송차(10)는,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A 및 B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화살표 a 및 b와 같이 횡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의 직접 이동이 불가하여 가이드 테이프(1)의 트랙을 돌아서 A 및 B의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최단거리로의 주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송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영역이 좋아 가이드 테이프(1)의 트랙폭이 좁게 매설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트랙의 곡선부(c)(c')에서 무인반송차의 회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인반송차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임의의 각도 방향으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조향장치를 구비한 무인반송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인반송차가 주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인반송차의 조향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주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송물10..차체
11..리프트12..패널
13..구동모터14..풀리
15..벨트16..스플라인축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의 무인반송차는, 바디 프레임과, 이 바디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캐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 임의의 각도로 주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제1의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구동풀리에 결합된 회전테이블 및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에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된 1쌍의 휠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원은 엔코더가 결합된 다이렉트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2의 무인반송차는, 바디 프레임과, 바디 프레임의 저면에 결함된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된 복수의 캐스트를 포함하여 가이드 테이프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된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임의의 각도로 주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와, 상기 가이드 테이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제2의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제1의 무인반송차의 조향장치와 도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은 액튜에이터와, 이 액튜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된 브라켓부재와, 이 브라켓부재의 저면에 마련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차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00)의 저면에 베이스 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트(111)가 마련된어 있는 통상적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임의의 각도로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장치(200)가 마련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도 4는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조향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조향장치(200)는 상기 베이스 프렘임(110)에 설치된 구동(220)과, 이 구동(220)의 출력축과 벨트(223)에 의해 연결된 구동풀리(230)와, 이 구동풀리(230)와 연결된 감속기(232)와, 상기 구동풀리(230)의 하부에 수평상태로 결합된 회전테이블(210)과, 상기 회전테이블(210)의 저면에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된 1쌍의 휠모터(240)(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원(220)은 엔코더(222)가 결합된 다이렉트 모터(221)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에서 부호 231은 상기 구동풀리(230)에 고정된 회전축으로서, 상기 회전테이블(210)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의 조향장치(200)에 의하여, 무인반송차의 제어기(미도시)가 주행하고자 하는 형태로 다이렉트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상기 벨트(223)및 구동풀리(23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회전테이블(210)과 휠모터(240)(250)가 회전된다. 이때의 회전 각도는 상기 다이렉트 모터(221)에 결합된 엔코더(222)의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주행 상태에 따른 조향장치의 동작예를 평면적으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a)도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이고, (b)도는 횡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그리고(c)도는 사선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무인반송차는 상기 조향장치(200)의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全)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A 및 B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화살표 a 및 b와 같이 횡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의 직접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단거리로의 주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능률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무인반송차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예에 따른 무인반송차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가이드 테이프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300)은 실린더(310)와, 이 실린더(310)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된 브라켓부재(320)와, 이 브라켓부재(320)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프 센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 부호 311 및 312는 실린더 (310)의 감지수단(330)은 적어도 둘 이상을 승강 스트로크 조정을 위한 감지센서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차는 상기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330)에 의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매설된 가이드 테이프를 따라 주행이 가능한 동시에,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A 및 B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330)을 상승시킨 후 상기 조향장치(200)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살표 a 및 b와 같이 횡방향 또는 사선방향 등, 전(全)방향으로의 직접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함 무인반송차는 임의의 각도 방향으로 주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의 작용에 의해 최단거리로의 주행이 가능하여 이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바디 프레임과, 바디 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된 복수의 캐스트를 포함하는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임의의 각도로 주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구동풀리에 결합된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에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된 1쌍의 휠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엔코더가 결합된 다이렉트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5. 바디 프레임과, 이 바디 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된 복수의 캐스트를 포함하여 가이드 테이프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된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임의의 각도록 주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된 조향장치와, 상기 가이드 테이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구동풀리에 결합된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에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된 1쌍의 휠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엔코더가 결합된 다이렉트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테이프 감지수단은 액튜에이터와 이 액튜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된 브라켓부재와, 이 브라켓부재의 저면에 마련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차.
KR2019960026183U 1996-08-27 1996-08-27 무인반송차 KR199800126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183U KR19980012613U (ko) 1996-08-27 1996-08-27 무인반송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183U KR19980012613U (ko) 1996-08-27 1996-08-27 무인반송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613U true KR19980012613U (ko) 1998-06-05

Family

ID=5397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183U KR19980012613U (ko) 1996-08-27 1996-08-27 무인반송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261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527B1 (ko) * 2013-03-12 2014-1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운반차량
CN108622822A (zh) * 2018-07-08 2018-10-09 苏州快捷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叉取背负式无人搬运车
KR20190109134A (ko)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화에이텍 무인운반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527B1 (ko) * 2013-03-12 2014-1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운반차량
KR20190109134A (ko)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화에이텍 무인운반차
CN108622822A (zh) * 2018-07-08 2018-10-09 苏州快捷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叉取背负式无人搬运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8932B1 (en) Vehicle body assembly station
JPH1134946A (ja) 自動車の車体溶接ライン
KR19980012613U (ko) 무인반송차
JP3524695B2 (ja) 荷物積載時の位置決め装置
JPH07215695A (ja) フォークリフト形無人搬送車の走行制御装置
CN113802903B (zh) 一种基于agv小车转运车辆的停取方法
JPH09305225A (ja) 無人搬送車の走行方法
ATE182122T1 (de) Stapelhubantrieb für eine bogenverarbeitende maschine
JP2000330635A (ja) 無人搬送車
JPH07229305A (ja) コンクリート均し装置
JP2000271825A5 (ko)
KR100333922B1 (ko) 자동차의 샤시 프레임 센터링 장치
TWI811921B (zh) 間歇式熱處理裝置
JP3314968B2 (ja) 板状部材位置決め装置
JPH06234407A (ja) 車両搬送設備
JP5204005B2 (ja) ワークの形状認識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組立ライン、並びにワークの形状認識方法
JPH09110398A (ja) 無人搬送車の誘導ガイド方式
JPH0995235A (ja) 台車走行システム
JP2516186Y2 (ja) ボデー移載装置
JPH1039925A (ja) 磁気誘導式運搬車
KR200166262Y1 (ko) 무인반송차
JP3022274B2 (ja) リニア搬送車の停止制御装置
JPH0725448A (ja) 無人搬送車
JPH0130675B2 (ko)
KR100471212B1 (ko) 자동화 작업 보조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