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70Y1 -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70Y1
KR200165670Y1 KR2019970031941U KR19970031941U KR200165670Y1 KR 200165670 Y1 KR200165670 Y1 KR 200165670Y1 KR 2019970031941 U KR2019970031941 U KR 2019970031941U KR 19970031941 U KR19970031941 U KR 19970031941U KR 200165670 Y1 KR200165670 Y1 KR 200165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room
window
living room
wall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661U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201997003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7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40Frames with parts removable to admit the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아파트, 일반주택 및 오피스텔 등의 주거시설에 설치되는 거실과 침실사이의 벽과 창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거시설의 거실이나 침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을 개방할 시에 실내의 일측면이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사용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실내의 공기 순환을 촉진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벽체(4)와 벽(5)으로서 침실(1), 거실(2) 및 발코니(3)를 구성하여 침실창(6)과 거실창(7)을 각각 설치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5)의 전방측에는 침실창(6)과 거실창(7)이 왕복할 수 있는 개방부(8)를 형성하여 밀폐수단(9)으로서 마감처리하므로서 침실창(6)이나 거실창(7)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여 좁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본 고안은 각종 아파트, 일반주택 및 오피스텔 등의 주거시설에 설치되는 거실과 침실사이의 벽과 창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거시설의 거실이나 침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을 개방할 시에 실내의 일측면이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사용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실내의 공기 순환을 촉진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일반주택 및 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의 경우는 환기나 통풍 또는 난방을 목적으로 창문을 설치하여 미닫이 형식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의 경우는 거실이나 침실을 구획하는 벽과 벽체의 사이에 침실창과 거실창을 각각 설치하여 환기나 통풍이 필요할 경우 창문을 개폐하게 되고, 이러한 기존의 창문을 개폐할 시에는 중간의 벽을 기준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즉 침실과 거실을 개별적으로 개방하는 침실창과 거실창의 구조를 살펴보면 침실창이 설치되는 레일(도시 생략함)에는 미닫이 타입의 침실창이 설치되고, 인접한 거실에도 역시 동일구조의 레일상에 거실창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창문은 침실과 거실에 각각 정해진 범위내에서만 개폐가 가능하게 되므로 즉, 하나의 창이 차지하고 있는 폭만큼은 개방이 되지 아니하여 개방이 되는 부위가 극히 제한적이며, 이로 인해 발코니를 출입할 시나 비교적 큰 물건을 이동할 경우는 출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이동이 부자연스럽고, 공간의 활용도가 매우 저조한 단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발코니의 높이를 침실과 거실의 높이와 일치되게 한 후에 이의 바닥면에는 실내와 같이 난방관을 시공하여 사용을 하는 추세이며, 침실과 거실의 발코니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수단으로서 침실창이나 거실창을 레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을 하므로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침실창과 거실창을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로울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 취급이 난이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피가 너무 커서 보관이 어려운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파트, 일반주택 및 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의 침실창과 거실창이 설치되는 벽의 전면을 개방한 상태로서 침실과 거실의 발코니측에 하나의 문틀과 레일을 일직선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어느 한쪽방의 일측면을 완전 개방할 시에는 한쪽으로 완전히 밀어서 개방을 하게 되면 창이 없는 것과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게하여 발코니를 침실이나 거실의 일부와 같이 넓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한 증대하여 침실과 거실 또는 발코니를 방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의 경우에 비해 창문으로 개방할 수 있는 폭이 넓게 되므로 환기나 통풍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게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창문을 개방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도1에 대한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도4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실 1A : 다른침실
2 : 거실 3 : 발코니
4 : 벽체 5 : 벽
6 : 침실창 6A : 다른침실창
7 : 거실창 8 : 개방부
9 : 밀폐수단 10 : 박스
11 : 난방관 12 : 밸브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벽체(4)와 벽(5)으로서 침실(1), 거실(2) 및 발코니(3)를 구성하여 침실(1)과 거실(2)의 바깥측 레일(도시 생략함)에는 개별적으로 침실창(6)과 거실창(7)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벽(5)의 전방측에는 침실창(6)과 거실창(7)이 왕복할 수 있는 개방부(8)를 형성하여 이에는 패킹 등 밀폐수단(9)으로서 마감처리하여 침실창(6)이나 거실창(7)을 일측으로 완전히 밀어붙일 수 있어 실내의 일측면이 완전 개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도3 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침실(1), 거실(2) 및 다른침실(1A)에 각각 침실창(6), 거실창(7) 및 다른 침실창(6A)을 3단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각 벽(5)의 전방측에 개방부(8)를 형성하여 밀폐수단(9) 등으로 마감 처리하므로서 일측으로 침실창(6), 거실창(7) 및 다른 침실창(6A)을 완전히 밀어붙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도4 및 도7 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한 것으로, 이는 침실(1)의 침실창(6)은 일반적인 구조로 하고, 거실창틀을 침실(1)의 외벽까지 연장하여 거실(2)을 발코니(3)까지 활용하고자 할 경우 거실창(7)을 침실(1) 외벽으로 밀어사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 중 도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향후 발코니(3)에 난방이 필요할 시 난방관(11)을 연결하는 박스(10)를 발코니(3)의 출입위치 일측에 설치하므로서 별도의 공사없이 밸브(12)에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아파트, 일반주택 및 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의 침실(1)과 거실(2)에 설치되는 침실창(6)과 거실창(7)을 어느 한쪽으로 완전히 개폐할 수 있게 벽(5)의 전방측에 개방부(8)를 형성하므로서 사용도중 침실(1)이나 거실(2)을 발코니(3)와 선택적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경우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실창(6)을 거실창(7)측으로 밀면 레일을 따라 거실(2)측으로 이동이 되어 거실창(7)을 동시에 밀면서 거실(2)의 우측벽면으로 이동이 된다.
즉 본 고안은 침실(1), 거실(2) 및 발코니(3)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한 것인 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을 하게 되면 침실(1)과 발코니(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므로 환기나 통풍이 양호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방법과는 반대로 거실(2)의 거실창(7)을 침실(1)측으로 밀면 상기 거실창(7)은 침실(1)측으로 밀리면서 이와 동시에 침실창(6)을 밀게되어 침실창(6)과 거실창(7)이 한곳으로 이동이 되므로 거실(2)과 발코니(3)가 완전히 통합되어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환기나 통풍이 양호하게 된다.
본 고안은 양측의 벽체(4)는 일반적인 주택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중간측의 벽(5)은 전방측에 개방부(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침실(1)이나 거실(2)을 선택적으로 개방을 하므로서 발코니(3)와 통합이 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상기 개방부(8)에는 침실(1)과 거실(2) 사이의 밀폐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패킹 등으로 된 밀폐수만(9)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각각의 침실(1)과 거실(2)을 발코니(3)와 선택적으로 통합을 하므로서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간단하게 본 고안을 시공할 수 있게 되어 그 기대되는 실효성이 우수한 이점이 부가된다.
도면 중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는 침실(1), 거실(2) 및 다른침실(1A)에 침실창(6), 거실창(7) 및 다른 침실창(6A)을 각각 3단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각 벽(5)의 전방측에 개방부(8)를 형성하여 밀폐수단(9) 등으로 마감처리하므로서 일측으로 침실창(6), 다른침실창(6A) 및 거실창(7)을 완전히 밀어붙일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 경우 역시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양측의 침실(1)(1A)을 발코니(3)와 통하게 할 시에는 각 침실창(6)(6A)을 거실(2)측으로 밀면 각 침실(1)(1A)을 발코니(3)와 같은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거실(2)과 일측의 침실(1)을 개방할 시에는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면 침실창(6)과 거실창(7)은 타측의 다른침실창(6A)을 밀면서 동일하게 이동이 되어 개방하고자하는 창문을 개방할 수가 있고, 이때 각 벽(5)의 전방측에는 개방부(8)가 각각 형성되어 패킹 등의 밀폐수단(9)에 의해 마감처리되어 있으므로 각 침실창(6)(6A)과 거실창(7)을 닫을 경우는 양호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 중 도4 및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이는 침실(1)의 침실창(6)은 일반적인 구조로 하고, 거실창틀을 침실(1)의 외벽까지 연장하여 거실(2)을 발코니(3)까지 활용코져 할 경우 거실창(7)을 침실(1)의 외벽으로 밀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 경우 역시 본 고안의 기본적인 작동과 효과는 동일하고, 다만 침실(1)의 침실창(6)은 일반적인 창문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이의 외측에 문틀과 레일을 거실창(7)과 동일 레일상에 설치하므로서 침실(1)은 일반적인 침실(1)과 동일하게 사용하고, 거실(2)과 발코니(3)를 넓게 사용할 경우는 거실창(7)을 침실창(6)측으로 밀면 상기 거실(2)과 발코니(3)는 상호 개방이 된 상태가 되므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좁은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된다.
도면 중 도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발코니(3)에 난방이 필요할 시 난방관(11)을 연결하는 박스(10)를 설치하므로서 별도의 공사없이 밸브(12)에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는 발코니(3)의 바닥높이를 거실(2)이나 침실(1)의 바닥높이와 동일하게 높이면서 이에는 난방관(11)을 배관하여 별도로 개폐가 가능한 밸브(12)를 박스(10)의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거실(2)과 발코니(3)를 개별적으로 난방을 할 수가 있게 되어 발코니(3)를 침실(1)이나 거실(2)의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부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파트, 일반주택 및 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의 침실창과 거실창의 전면을 개방한 상태로서 침실과 거실의 발코니측에 문틀과 레일을 설치하여 어느 한쪽을 개방할 시에는 완전히 밀어서 개방을 하게 되면 창문이 없는 것과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게하여 발코니를 침실이나 거실의 일부와 같이 넓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한 증대하며, 기존의 경우에 비해 창문을 열때의 면적이 훨씬 넓게 되므로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환기나 통풍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는 등 건물용 창문의 설치구조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3)

  1. 벽체(4)와 벽(5)으로서 침실(1), 거실(2) 및 발코니(3)를 구성하여 침실창(6)과 거실창(7)을 설치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우측의 벽체(4)에서 좌측의 벽체(4)까지 하나의 문틀과 레일을 설치하여 침실창(6)과 거실창(7)이 왕복할 수 있는 개방부(8)를 형성하여 침실창(6)이나 거실창(7)을 한쪽으로 밀어 개폐할 경우 침실(1)과 발코니(3), 또는 거실(2)과 발코니(3)가 완전 개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침실(1), 거실(2) 및 다른침실(1A)에 침실창(6), 거실창(7)및 다른 침실창(6A)을 설치하되, 각 벽(5)의 전방측에 하나의 문틀을 설치하고, 이에는 개방부(8)를 형성하여 각 침실창(6)(6A)과 거실창(7)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침실(1)의 침실창(6)은 일반적인 구조로 하고, 거실창틀을 침실(1) 외벽까지 연장하여 거실(2)을 발코니(3)까지 활용코자할 시 거실창(7)을 침실(1)의 외벽으로 밀어 시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KR2019970031941U 1997-11-13 1997-11-13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KR200165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41U KR200165670Y1 (ko) 1997-11-13 1997-11-13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41U KR200165670Y1 (ko) 1997-11-13 1997-11-13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61U KR19990018661U (ko) 1999-06-05
KR200165670Y1 true KR200165670Y1 (ko) 2000-01-15

Family

ID=1951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941U KR200165670Y1 (ko) 1997-11-13 1997-11-13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61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5609B1 (en) Roof window system with improved transition means between a roof window and a ventilation assembly
CN104818936A (zh) 密封装置
RU2449104C2 (ru) Двухслойное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200165670Y1 (ko) 건물용 골조와 창문의 설치구조
JP5129968B2 (ja) 建物
JP3766454B2 (ja) カーポート付建物
JPS6330465B2 (ko)
JP2009138443A (ja) 集合住宅構造
JP2000234388A (ja) 住宅と建物ユニット
JP2015017394A (ja) 建物の間仕切り構造
KR101050131B1 (ko)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JP4668841B2 (ja) 集合住宅の住戸構造
DE19639128A1 (de) Lüftungswärmetauscher
JPH0444662B2 (ko)
KR101859800B1 (ko) 한옥식 발코니
JP2008214949A (ja) 住居
JP2006200295A (ja) 集合住宅
KR100357483B1 (ko) 접이식 분합문을 갖는 주택의 실내구조
JPH06347073A (ja) カーテンボックス組込み換気扇
JP5389330B2 (ja) 収納構造
JP2007132154A (ja) 建物
KR200373247Y1 (ko) 미서기 창호
JP3015686U (ja) 集合住宅
KR20220022151A (ko) 가변형 레일 창
JPH074143A (ja) 天窓一体型出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