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151A - 가변형 레일 창 - Google Patents

가변형 레일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151A
KR20220022151A KR1020200102987A KR20200102987A KR20220022151A KR 20220022151 A KR20220022151 A KR 20220022151A KR 1020200102987 A KR1020200102987 A KR 1020200102987A KR 20200102987 A KR20200102987 A KR 20200102987A KR 20220022151 A KR20220022151 A KR 20220022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frame
hook
central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344B1 (ko
Inventor
양진영
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riority to KR102020010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3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레일 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하나로 세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창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창짝 사이즈에 따라 내창용과 발코니용, 고풍압용(해안)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세대 내에서도 내창, 공틀창, 발코니창, 해안창, 분합창, 단창 등 다양한 창짝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을 증대시킨 가변형 레일 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레일 창{Variable rail window}
본 발명은 가변형 레일 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하나로 세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창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창짝 사이즈에 따라 내창용과 발코니용, 고풍압용(해안)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세대 내에서도 내창, 공틀창, 발코니창, 해안창, 분합창, 단창 등 다양한 창짝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을 증대시킨 가변형 레일 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 창이나 문을 말하는 것으로, 창호를 통해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창호는 제작에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 넓게는 목재 창호, 금속재 창호 및 플라스틱 창호 등으로 분류되며, 외곽 틀을 형성하는 창호용 프레임과 창호용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유리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창호용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그런데, 통상 한 세대내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창이 설치된다.
이를 테면, 분합창, 단창, 공틀창, 해안창, 이중창, 내창, 발코니창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창틀프레임의 폭 등 규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종류별로 모든 제품을 보유하기에는 많은 투자비가 발생하며, 자재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긴다.
한편, 창호의 레일의 경우에도 레일 은폐형, 무레일형, 평레일형 등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레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창짝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개발되고 있지 않다.
국내 등록실용 제20-0269692호(2002.03.13.)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국내 등록특허 제10-1877759호(2018.07.06.) 가변형 창호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프레임 하나로 세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창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창짝 사이즈에 따라 내창용과 발코니용, 고풍압용(해안)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세대 내에서도 내창, 공틀창, 발코니창, 해안창, 분합창, 단창 등 다양한 창짝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을 증대시킨 가변형 레일 창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틀프레임으로 사용되도록 프로파일 형태를 갖고 공용되는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폭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분할부(110); 상기 중앙분할부(110)를 기준으로 일측단에 형성되고 실내측을 향해 설치되는 내부턱(160); 상기 중앙분할부(110)를 기준으로 타측단에 형성되고 실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외부턱(170); 상기 중앙분할부(110)에서 내부턱(160)을 향한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걸림부(120,130); 상기 중앙분할부(110)에서 외부턱(170)을 향한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4걸림부(140,150); 상기 중앙분할부(110)의 양측면중 어느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중간물막이턱(210); 상기 제1,2걸림부(120,130) 또는 제3,4걸림부(140,15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설치홈(RH)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HK)가 돌출된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 상기 레일설치홈(RH)에 후크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상부레일(230) 또는 하부레일(240) 또는 측부레일(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레일 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하나로 세대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창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창짝 사이즈에 따라 내창용과 발코니용, 고풍압용(해안)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세대 내에서도 내창, 공틀창, 발코니창, 해안창, 분합창, 단창 등 다양한 창짝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가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레일 창의 베이스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다수의 부재들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레일 창의 가변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레일 창은 창틀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00)을 포함하는데, 창틀프레임은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측부프레임이 조립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측부프레임들이 베이스프레임(100)으로 만들어진다고 보면 된다.
즉, 기존에는 창의 종류별로 각각 서로 다른 폭과 프로파일 형상을 가졌지만,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프레임(100)을 공통으로 공용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공용하는 이 베이스프레임(100)에 부수되는 부자재를 끼워 맞추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창짝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가변형 창틀프레임인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레일부분마감캡(200), 중간물막이턱(210), 레일전체마감캡(220), 창짝 크기별로 적용 가능하도록 대,중,소로 이루어진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 그리고 상부레일(230), 하부레일(240), 측부레일(25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단창이나 공틀창 적용시에는 중간물막이턱(210)을 프레임 중간 물막이턱에 설치하고, 레일전체마감캡(220)을 내부 및 외부 중에 선택해서 후크를 베이스프레임(100)에 끼워 결속하고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중 어느 하나를 창짝 사이즈에 맞는 제품으로 베이스프레임(100)에 끼워 후크 고정한다.
또한, 상부레일(230), 하부레일(240), 측부레일(250)은 창짝 크기별로 적용된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중 어느 하나에 결속하여 사용한다.
다만, 측부에 측부레일(250) 설치가 필요없는 곳은 레일부분마감캡(200)을 끼워 마감하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은 프로파일 형태이다.
물론, 상기 레일부분마감캡(200), 중간물막이턱(210), 레일전체마감캡(220), 상부레일(230), 하부레일(240), 측부레일(250)도 프로파일 처럼 압출하여 성형 제조되므로, 일종의 프로파일로 봐도 무방하다.
한편, 이중창은 내,외부 창짝 사이즈에 따라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설치하고, 또한 중간물막이턱(210)은 창짝 크기별로 적용된 보조프레임중에서 가장 큰사이즈인 제3보조프레임(280)을 적용할 때만 설치하지 않고 나머지 제1,2보조프레임(260,270)을 적용할 때는 설치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레일전체마감캡(220)도 사용지 않으며, 상부레일(230), 하부레일(240), 측부레일(250)과 레일부분마감캡(200)은 단창 설치시와 동일하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한 개의 창틀프레임에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보조프레임을 끼워질 수 있게 후크 결합 형식으로 설계되며 레일이 없는 프레임으로서 창짝의 종류에 따라 레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보조프레임은 레일의 위치를 결정하는 보조프레임으로서 구조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는 설계가 적용된 보조프레임이다.
특히,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보조프레임을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과 효율성이 증대되며, 프레임 중간에 물막이 턱이 있으면 창짝 사이즈 적용에 따라 중간물막이턱을 추가로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일전체마감캡은 단창 및 공틀창을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프레임의 내부 및 외부에 적용 위치에 따라 공틀창이 되거나 혹은 단창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창틀프레임은 최적화 설계로 내,외부 레일이 결합되는 공간을 1(내부):1.15(외부)로 설계하여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보조프로파일을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레일은 측부, 상부, 하부로 구분하여 기능에 맞게 설계하여 창짝 크기별로 적용되는 보조프레임에 끼워 설치하며, 창짝이 없는 곳 측부에는 측부레일 설치하지 않고 레일부분마감캡을 적용하여 평평하게 마감하고, 레일이 필요하지 않는 곳에는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 경쟁력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100)의 폭 중앙에는 중앙분할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분할부(110)를 기준으로 일측단에는 내부턱(160)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외부턱(170)이 형성되고, 중앙분할부(110)에서 내부턱(160)을 향한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1,2걸림부(120,130)가 형성되며, 중앙분할부(110)에서 외부턱(170)을 향한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3,4걸림부(140,150)가 형성된다.
이때, 제1,2걸림부(120,130)와 제3,4걸림부(140,150)는 대칭되게 형성되며, 레일전체마감캡(220) 혹은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이 조립되어 창틀프레임, 즉 베이스프레임(100)의 형상을 가변시키게 된다.
그리고, 레일부분마감캡(200)의 일측에는 캡측방후크(202)가 돌출되어 조립시 후크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분할부(110)의 양측면에는 후크홈(112)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홈(112)에는 중간물막이턱(210)의 일측에서 돌출된 턱후크(212)가 후크결합되고, 상기 레일전체마감캡(220)의 경우에는 하면에 캡하방후크(222)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부레일(230)과 하부레일(240) 및 측부레일(250)에도 당연히 결합용 후크(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된다.
또한,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의 경우에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설치홈(RH)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HK)가 돌출된다.
이 경우, 상기 레일설치홈(RH)에는 상부레일(230), 하부레일(240), 측부레일(250) 중 어느 하나가 후크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고정후크(HK)는 상기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을 상기 제1,2걸림부(120,130) 또는 상기 제3,4걸림부(140,150)중 어느 하나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 가변예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는 단창으로 사용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외부턱(170)쪽인 제3,4걸림부(140,150)에 레일전체마감캡(220)을 끼워 단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감하고, 상기 레일전체마감캡(220)과 중앙분할부(110) 사이에는 중간물막이턱(210)을 끼워 마감하며, 상기 제1,2걸림부(120,130)에는 제1보조프레임(260)을 조립하고, 상기 제1보조프레임(260)의 레일설치홈(RH)에는 하부레일(240)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레일(240) 위에는 창짝(WF)을 안착시켜 단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는 공틀 및 분합창으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 준다.
다만, 사용하는 부재와 위치가 달라질 뿐이므로 도 3의 (a)의 예시에 근거하여 충분히 이해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4는 내,외창에 동등 사이즈의 창짝을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5는 외창과 내창의 폭이 서로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베이스프레임을 공용하되, 다양한 부자재를 조립하여 다양한 창짝이 사용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을 구현하기 때문에 그 효용성과 편리성, 자재 보관성, 제조비용 절감 등 여러가지 차원에서 매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것이어서 당해분야에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100: 베이스프레임
200: 레일부분마감캡
210: 중간물막이턱
220: 레일전체마감캡
230: 상부레일
240: 하부레일
250: 측부레일
260: 제1보조프레임
270: 제2보조프레임
280: 제3보조프레임

Claims (3)

  1. 창틀프레임으로 사용되도록 프로파일 형태를 갖고 공용되는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단창 혹은 이중창 혹은 공틀이나 분합창 혹은 발코니창을 구현하는 레일부분마감캡(200), 중간물막이턱(210), 레일전체마감캡(220), 상부레일(230), 하부레일(240), 측부레일(250),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레일 창.
  2. 창틀프레임으로 사용되도록 프로파일 형태를 갖고 공용되는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폭 중앙에 돌출 형성된 중앙분할부(110); 상기 중앙분할부(110)를 기준으로 일측단에 형성되고 실내측을 향해 설치되는 내부턱(160); 상기 중앙분할부(110)를 기준으로 타측단에 형성되고 실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외부턱(170); 상기 중앙분할부(110)에서 내부턱(160)을 향한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걸림부(120,130); 상기 중앙분할부(110)에서 외부턱(170)을 향한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4걸림부(140,150); 상기 중앙분할부(110)의 양측면중 어느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중간물막이턱(210); 상기 제1,2걸림부(120,130) 또는 제3,4걸림부(140,15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설치홈(RH)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HK)가 돌출된 제1,2,3보조프레임(260,270,280); 상기 레일설치홈(RH)에 후크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상부레일(230) 또는 하부레일(240) 또는 측부레일(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레일 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걸림부(120,130)와 제3,4걸림부(140,150)는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분할부(110)의 양측면에는 후크홈(112)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홈(112)에는 중간물막이턱(210)의 일측에서 돌출된 턱후크(212)가 후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레일 창.
KR1020200102987A 2020-08-18 2020-08-18 가변형 레일 창 KR102467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87A KR102467344B1 (ko) 2020-08-18 2020-08-18 가변형 레일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87A KR102467344B1 (ko) 2020-08-18 2020-08-18 가변형 레일 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151A true KR20220022151A (ko) 2022-02-25
KR102467344B1 KR102467344B1 (ko) 2022-11-14

Family

ID=804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987A KR102467344B1 (ko) 2020-08-18 2020-08-18 가변형 레일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3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92Y1 (ko) 2001-12-28 2002-03-22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KR20150077655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877759B1 (ko)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92Y1 (ko) 2001-12-28 2002-03-22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KR20150077655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877759B1 (ko)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344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1779A1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EP2923022B1 (en) Frame
US20070056701A1 (en) Weeping system for window screen corner keys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US20150284994A1 (en) Window including hinged security screen
KR101230032B1 (ko) 커튼월형 창호
KR20110009878U (ko) 분할식 창호
US8555573B2 (en) Window assembly
US8511012B2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20220022151A (ko) 가변형 레일 창
KR102506892B1 (ko)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JP2018105103A (ja) 戸車及び建具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US6301852B1 (en) Window glazing assembly
KR20060040036A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200360569Y1 (ko) 고정식 방범창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JP2018105105A (ja) 建具
KR20100137040A (ko) 단열창문
KR101038251B1 (ko) 창틀의 중간프레임 구조
KR102308815B1 (ko) 다중 기밀구조를 가진 창호 어셈블리
KR20090003626U (ko) 목복합창호
KR101917723B1 (ko)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