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463Y1 -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63Y1
KR200165463Y1 KR2019990014912U KR19990014912U KR200165463Y1 KR 200165463 Y1 KR200165463 Y1 KR 200165463Y1 KR 2019990014912 U KR2019990014912 U KR 2019990014912U KR 19990014912 U KR19990014912 U KR 19990014912U KR 200165463 Y1 KR200165463 Y1 KR 200165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ift shaft
bevel gears
driven beve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옥현
Original Assignee
장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옥현 filed Critical 장옥현
Priority to KR2019990014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ssentially with both gears that can be put out of gear and continuously-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8Gearings for reversal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18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 F16H57/0025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with gearing elements rigidly connected to a shaft, e.g. securing gears or pulleys by specially adapted splines, keys or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3Gearings with spur or beve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삼륜차량의 엔진측 출력을 제어하여 삼륜차량의 전,후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30)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여 후륜축(40)의 차동장치(4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30)의 출력단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 베벨기어(52)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52)에 각각 이맞물림되어 일직선상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와; 상기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의 회전중심선상을 삽통하여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종동 베벨기어(54A,54B)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시프트 샤프트(56)와; 상기 시프트 샤프트(56)를 시프팅 조작하여 시프트 샤프트(56)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시프트레버(58)를 포함한 기어하우징(60)을 구비하여; 상기 기어하우징(60)을 상기 엔진(30)측에 장착하고, 상기 시프트 샤프트(56)의 출력단을 유니버셜 조인트(70)를 매개로 상기 차동장치 (42)의 입력단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ENGINE POWER CONTROL DEVICE FOR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OF 3-WHEEL VEHICLE}
본 고안은 화물을 수송하거나, 장애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삼륜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삼륜차량의 엔진측 출력을 제어하여 삼륜차량의 전,후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륜차량은 적은 화물의 수송 및 장애인의 교통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삼륜차량은 하나의 전륜과 2개의 후륜을 갖고, 후륜을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주행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삼륜차량에서 오토바이의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장애인이 사용할 경우에는 신체적인 조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작성 및 안전성이 최우선시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삼륜차량은 엔진측에서 출력되는 회전방향이 일방향으로서 이의 역회전이 불가능하여 후진이 어려웠다. 따라서 후진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엔진을 중립의 위치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탑승자의 힘으로 차량을 수동으로 후진시키는 방법만이 유일하였다.
이 경우에 신체적으로 불리한 장애인의 후진 조작이 있을 경우 차량의 후진 제어가 어렵고, 안전사고에 노출된 위험이 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삼륜차량의 엔진측 출력을 제어하여 삼륜차량의 전,후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삼륜차량의 전,후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엔진(30)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여 후륜축(40)의 차동장치(4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30)의 출력단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 베벨기어(52)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52)에 각각 이맞물림되어 일직선상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와;
상기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의 회전중심선상을 삽통하여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종동 베벨기어(54A,54B)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시프트 샤프트(56)와;
상기 시프트 샤프트(56)를 시프팅 조작하여 시프트 샤프트(56)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시프트레버(58)를 포함한 기어하우징(60)을 구비하여;
상기 기어하우징(60)을 상기 엔진(30)측에 장착하고, 상기 시프트 샤프트 (56)의 출력단을 유니버셜 조인트(70)를 매개로 상기 차동장치(42)의 입력단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의 설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삼륜 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시프트 샤프트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엔진 40 : 후륜축
42 : 차동장치 52 : 구동베벨기어
54A,54B : 종동베벨기어 56 : 시프트 샤프트
58 : 시프트 레버 60 : 기어하우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의 설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삼륜 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의 단면도로서 시프트 샤프트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후진 제어장치(50)는 엔진(30)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여 후륜축(40)의 차동장치(42)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전,후진 제어장치(5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엔진(30)측에 장착되는 기어하우징(6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어하우징(60)내에는 상기 엔진(30)의 출력측 스플라인축(32a)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 베벨기어(52)가 설치되어 베어링 (92)에 회전자재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베벨기어(52)의 전방에는 구동 베벨기어(52)에 각각 이맞물림되어 일직선상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가 기어하우징(60)내의 베어링(94A,94B)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종동베벨기어(54A,54B)의 회전 중심선상에는 종동 베벨기어(54A,54B)의 회전중심선상을 삽통하여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종동 베벨기어(54A,54B)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시프트샤프트(56)가 양측의 니들베어링(96A, 96B)에 의해 기어하우징(6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프트샤프트(56)는 도 1에서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70)를 통해 차동장치(4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베벨기어(52)의 대향측에는 한쌍의 종동베벨기어(54A,54B)에 이맞물림된 아이들기어(62)가 기어하우징(60)의 축부(63)에 회전자재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샤프트(56)를 시프팅 조작하여 시프트 샤프트(56)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시프트레버(58)가 체결너트(83)의 조임력에 의해 시프트 샤프트(56)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시프트 레버(58)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체에 설치된 링크장치 (도시안됨)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엔진(30)의 출력 회전방향이 시계방향(A방향)일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가) 삼륜차량을 전진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시프트 레버(58)를 조작시켜(이때 변속기는 중립상태이다) 시프트 레버(58)에 연결된 시프트 샤프트(58)를 도 2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시프트 샤프트(56)의 스플라인 치형부(56a)가 우측의 종동 베벨기어(54A)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 삽입공(54-1)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좌측의 종동베벨기어(54B)와 시프트 샤프트(58)의 결합은 해제된다.
따라서 엔진(30)의 출력은 구동베벨기어(52)로 전달되고, 구동베벨기어(52)가 시계방향(A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구동베벨기어(52)에 이맞물림된 우측의 종동베벨기어(54A)에 결합된 시프트 샤프트(56)가 종동베벨기어(54A)에 의해 구동베벨기어(52)와 같은 시계방향(X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타측의 종동베벨기어(54B)도 구동베벨기어(52)에 이맞물림하여 역회전하지만 시프트 샤프트(56)와는 동력전달이 끊어진 상태이므로 시프트 샤프트(56)의 회전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58)를 조작하여 시프트 샤프트(56)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엔진(30)의 출력 회전방향과 시프트 샤프트(56)의 회전방향이 동일하여 삼륜차량은 전진한다.
(나) 삼륜차량을 후진시키고자 할 경우
변속 위치를 중립으로 한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58)를 조작시켜 시프트 샤프트(56)를 도 2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시프트 샤프트(56)가 우측의 종동베벨기어(54A)로부터 분리되고 좌측의 종동베벨기어(54B)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변속을 하게 되면 구동베벨기어(52)와 한쌍의 종동베벨기어 (54A,54B)가 동시에 회전하고, 이때 좌측의 종동베벨기어(54B)의 회전방향은 우측의 종동베벨기어(5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Y방향이다.
따라서 시프트 샤프트(56)는 이와 결합된 종동베벨기어(54B)의 회전력 방향을 전달받아 결국, 엔진(30)의 출력방향(시계방향)과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차동장치(42)측 입력단에 전달하게 되어 차량의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프트 레버(58)의 간단한 조작으로 시프트 샤프트(56)를 어느 쪽의 종동베벨기어(54A 또는 54B)에 결합시킴에 따라 전,후진을 제어할 수 있어, 삼륜 차량의 후진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삼륜 차량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소형의 4륜 차량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특히 장애자가 이용할시 전,후진 조작이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엔진(30)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여 후륜축(40)의 차동장치(4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30)의 출력단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 베벨기어(52)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52)에 각각 이맞물림되어 일직선상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와;
    상기 한쌍의 종동 베벨기어(54A,54B)의 회전중심선상을 삽통하여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종동 베벨기어(54A,54B)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플라인 결합되는 시프트 샤프트(56)와;
    상기 시프트 샤프트(56)를 시프팅 조작하여 시프트 샤프트(56)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시프트레버(58)를 포함한 기어하우징(60)을 구비하여;
    상기 기어하우징(60)을 상기 엔진(30)측에 장착하고, 상기 시프트 샤프트 (56)의 출력단을 유니버셜 조인트(70)를 매개로 상기 차동장치(42)의 입력단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KR2019990014912U 1999-07-24 1999-07-24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KR200165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912U KR200165463Y1 (ko) 1999-07-24 1999-07-24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912U KR200165463Y1 (ko) 1999-07-24 1999-07-24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463Y1 true KR200165463Y1 (ko) 2000-02-15

Family

ID=1958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912U KR200165463Y1 (ko) 1999-07-24 1999-07-24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915B1 (en) Driving force transmitting device for vehicle
EP1238890B1 (en) Crawler vehicle transmission-steering assembly.
JPS61175125A (ja) 二輪・四輪駆動切換装置
US5380255A (en) Transfer case for part time front wheel drive in a four wheel drive motor vehicle
US5168956A (en) Transfer device for four wheel drive motor vehicle
US7255194B2 (en) Steering system for a zero-steer vehicle
KR200165463Y1 (ko)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US20060169514A1 (en) Axle arrangement for a vehicle
US4693333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s
JPH0450185Y2 (ko)
KR890003360Y1 (ko) 전방향 추진차량 차동장치
JPH01240350A (ja) 車輌の制動装置
JP2542811B2 (ja) 動力伝達装置における逆転機構
KR100483161B1 (ko) 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100586848B1 (ko) 보행형 관리기용 조향 클러치장치
JP3097632B2 (ja) 作業車輌の走行伝動装置
JPH09177942A (ja) 4輪駆動車の動力伝達用センタ―デフ
JP2006103634A (ja) 作業車両
JP2546582Y2 (ja) トランスファの切換操作装置
JP2513763Y2 (ja) 四輪駆動車輌の前輪増速装置
KR920002211Y1 (ko) 중장비 차량의 조향장치
JPH0874950A (ja) トラクタの正逆転切替ギヤ装置
JPH0523968B2 (ko)
JPS62234732A (ja) 車両の前後輪への動力伝達切換装置
JPH0214928A (ja) 四輪駆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