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377Y1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377Y1
KR200164377Y1 KR2019990015168U KR19990015168U KR200164377Y1 KR 200164377 Y1 KR200164377 Y1 KR 200164377Y1 KR 2019990015168 U KR2019990015168 U KR 2019990015168U KR 19990015168 U KR19990015168 U KR 19990015168U KR 200164377 Y1 KR200164377 Y1 KR 200164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mera
background image
subject
camera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정
Original Assignee
정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정 filed Critical 정현정
Priority to KR2019990015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2Locating plates or cut fil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노광된 배경영상과 미노광 부분이 들어 있는 합성용 필름을 사용하여 합성사진을 촬영할 때 피사체가 정확하게 미노광 부분에 촬영되도록 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 카메라 시스템은 노광된 배경 영상과 미노광 부분을 갖고 있으며 표시점(25)을 갖는 필름(20)과 전술한 표시점(25)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16)을 갖는 카메라(10)로 구성되며, 필름(20)은 표시점(25)이 투시창(16)으로 투시되도록 카메라(10) 내에 장착됨. 본 고안에 의하면 피사체가 필름의 미노광 부분에 정확하게 촬영되게 됨.

Description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CAMERA SYSTEM FOR COMPOSITE PICTURE}
본 고안은 합성사진 제작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합성 필름에 들어 있는 잠재 영상이 사진 컷트 부위에 정확하게 일치되었는지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합성사진을 제작하는 방법은 이중 촬영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배경 부분을 미리 촬영하고 촬영된 부분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카메라는 촬영된 부분에 재촬영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고, 또한 실질적인 배경이 아닌 가상의 그래픽 영상과 같은 배경을 갖는 합성사진의 촬영에는 전술한 이중 촬영기법을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 촬영기법은 처음 촬영된 배경화면에 합성하고자하는 피사체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므로 배경 영상에 피사체의 영상이 중복되어 나타나므로 특수한 배경에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와 같은 이중 촬영기법에 의한 합성사진 제작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필름에 배경 영상을 촬영하거나 컴퓨터 그래픽으로 형성할 때 피사체가 들어갈 부분은 남겨 놓고 배경영상이 촬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35mm 롤 필름의 24 컷 모두에 피사체 촬영부분이 미노광 상태로되는 배경영상을 촬영하고, 이 필름의 미노광 피사체 촬영 부분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합성사진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사진의 각 컷트마다 미노광 피사체 촬영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만 배경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24컷 모두에 피사체 촬영 부분이 미노광 상태로 남아 있도록 배경영상을 촬영하고 스풀에 감아서 각개 컷의 미노광 부분에 피사체를 촬영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배경영상이 들어 있는 필름을 카메라에 재장착하여 합성사진 촬영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사체 영상이 이미 들어 있는 배경 부분을 제외한 미노광 부분에 정확하게 촬영되도록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종류에 따라 첫 컷이 찍히는 필름의 위치가 다를 수 있고, 동일한 카메라인 경우에도 필름의 선단부를 스풀에서 빼내는 길이에 따라 첫 컷이 촬영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피사체의 위치가 정확하게 전술한 미노광 부분에 일치되지 않게 된다.
필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된 고급형 카메라의 경우에는 필름에 표시점이 없더라도 필름의 선단부를 카메라 내의 일정 위치에 놓이도록 장착하면 필름이 자동으로 감기면서 첫 컷의 사진이 필름의 일정한 위치에 촬영되도록 되었다. 그러나 필름 위치 감지 센서가 없는 카메라의 경우에는 필름을 장착할 때 필름에 형성된 구멍에 카메라의 돌기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첫 컷의 사진이 촬영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첫 컷의 사진이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없도록 되었다. 통상의 사진을 촬영할 때는 전술한 첫 컷의 사진이 촬영되는 위치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배경 영상이 들어 있는 필름의 특정 위치에 피사체 사진을 합성시키는 경우에는 위치가 약간만 달라져도 완전한 합성 사진을 얻을 수 없으므로 첫 컷의 피사체 영상이 미리 들어 있는 배경 영상의 요구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원인의 한국특허 제205765호에는 전술한 합성사진 촬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름에 표시점을 형성하여 필름을 카메라에 장착할 때 전술한 표시점을 카메라 내측의 특정 부위에 일치시키므로서 첫 컷의 사진이 요구하는 부분에 촬영되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었다. 이 특허에서는 필름을 삽일할 때 요구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은 제시하고 있으나 카메라의 뒷 덮개를 닫고 첫 컷이 촬영되도록 필름을 이동시킨 다음 설치된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도록 되었다. 특히 암실에서 필름이 장착되는 대부분의 일회용 카메라의 경우에는 필름의 맨 뒤부터 촬영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암실에서 필름을 스풀에서 빼내어 카메라에 장착하고 카메라의 뒷 덮개를 닫도록 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일회용 카메라의 경우에는 필름을 특정위치에 맞도록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맞게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없게 되었다. 특히 일회용 카메라는 암실에서 필름이 장착하여 뒷 덮개를 닫을 때 필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탄성력 때문에 미세하게 필름이 움직이면서 맞추어 놓은 구멍에서 이탈하여 미리 설정된 컷의 위치와 다르게 장착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도 뒷 덮개에 투시창을 갖고 있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투시창은 카메라에 사용되는 필름의 종류, 예를 들면 필름 스풀에 기록된 필름의 명암 표시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필름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없도록 되었다.
따라서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특히 배경영상이 들어 있는 합성용 필름에 피사체를 합성하도록된 카메라에서는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수단과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합성용 필름을 카메라에 장착하고 뒷 덮개를 덮은 후 합성용 필름이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노광된 배경 영상이 들어 있고 배경 영상의 첫 컷 전방에 표시점이 형성된 필름과 뒷 덮개에 전술한 필름의 표시점이 보이도록 형성된 투시창을 갖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1은 검사창이 설치된 카메라의 단면 개략도,
도2는 합성용 필름의 단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3은 필름이 장착된 카메라의 뒷 뚜껑을 연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4는 카메라의 뒷 덮개를 덮었을 때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카메라 15...뒷 뚜껑 16...투시창 17...덮개
20...필름 21...촬영 부분 22...배경 영상 부분 23...미노광 부분
25... 표시점
본 고안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노광된 배경 영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배경 영상 중 첫 컷의 영상 전방에 표시점을 갖는 합성용 필름과, 전술한 합성용 필름이 내장되고 뒷 덮개에 전술한 필름의 표시점을 육안으로 투시하여 볼 수 있는 투시창을 갖고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합성 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35mm 롤 필름은 중앙에 화면이 찍히는 부위가 있고, 상부와 하부에는 톱니구멍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었으며 그 중간 부위에 영상이 촬영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표시점은 미세한 외부 광선이 들어가도 촬영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부분, 즉 영상이 촬영되지 아니하는 첫 컷의 영상이 들어가는 부위의 전방이나 상방 또는 하방의 톱니 구멍 사이에 형성하여야 한다. 바람직 한 것은 표시점이 필름에 형성된 상부 톱니 구멍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의 뒷 덮개에 전술한 필름에 형성된 표시점을 육안으로 볼수 있는 투시창을 갖고 있다. 이 투시창은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을 때 표시점이 보이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투시창은 투시창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오는 광량이 최소한도로 되도록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투시창에는 필름의 위치가 정확하게 확인된 다음, 투시창을 차단하는 덮개를 갖고 있다. 이 투시창 덮개는 카메라에 부착된 것일 수도 있고 카메라에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일회용 카메라와 같은 저가형 카메라의 경우에는 덮개로 불투명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따르면, 합성 사진용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10)과 카메라 내부에 장착된 필름(20)을 포함한다.
카메라(10)는 렌즈(11), 셔터(12), 셔터 스위치(13), 화면 틀(14) 및 뒷 뚜껑(15)에 형성된 본 고안의 특징인 투시창(16)을 갖고 있다. 전술한 투시창(16)은 덮개(17)로 폐쇄되도록 되었다. 카메라(20)는 필름 감기 레바(18)과 화인더(19)를 갖고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필름(2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된 배경 영상 부분(22)과 피사체가 촬영될 미노광 부분(23)으로 구성된 촬영 부분(21)을 갖고 있으며 상연부의 톱니 구멍(24) 사이에 표시점(25)을 갖고 있다. 이 필름(20)은 전술한 배경 영상 부분(22)이 노광된 상태로 들어 있는 필름을 통상의 필름과 같이 스풀(26)에 감아서 카메라 내부에 장착하고 선단부를 당겨서 카메라에 장착하게 되었다. 전술한 필름(20)의 배경 영상 부분(22)은 컴퓨터 그래픽 기법으로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미노광 부분(23)을 가리고 노광시켜 촬영한 배경 영상일 수도 있다.
전술한 필름(20)은 표시점(25)이 투시창(16)에 노출되도록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카메라(10)내에 장착한다. 필름을 카메라에 장착한 경우, 필름의 표시점(25)이 투시창(16)에서 보이지 않을 때는 촬영 시 피사체가 정확하게 피사체 촬영 부분에 촬영되지 아니하므로 표시점(25)이 투시창(16)에서 보이도록 재장착하여야 한다. 표시점(25)이 투시창(16)에서 보이도록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도3)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면 피사체가 필름(20)의 미노광 부분(23)에 정확하게 촬영되게 된다. 사진의 제1 컷이 정확한 위치에서 촬영된 후에는 필름 감기 레바(18)를 회전 시켜 제2 및 제3 컷을 촬영하여도 정확한 위치에 촬영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투시창(16)에 나타나는 필름(20)의 표시점(25)에 의하여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의 사진이 배경 부분(22)에 촬영되는 일이 없고 정확하게 미노광 부분(23)에 촬영되게 되어 정확한 합성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카메라(10)의 내부에 다수의 배경 영상 부분(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합성용 필름(20)이 장착된 합성 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필름(20)에 표시점(25)이 형성되고, 카메라(10)의 뒷 뚜껑(15)에 전술한 표시점을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6)이 형성되었으며, 전술한 필름(20)은 표시점(25)이 투시창(16)에서 보이도록 카메라(10)내에 장착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뒷 뚜껑(15)이 투시창(16)을 통한 표시점(25)의 확인 후 덮개(17)로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KR2019990015168U 1999-07-08 1999-07-27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KR200164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68U KR200164377Y1 (ko) 1999-07-08 1999-07-27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383 1999-07-08
KR2019990015168U KR200164377Y1 (ko) 1999-07-08 1999-07-27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383 Division 1999-07-08 1999-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377Y1 true KR200164377Y1 (ko) 2000-02-15

Family

ID=2663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168U KR200164377Y1 (ko) 1999-07-08 1999-07-27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3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757A (en) Adjustable taking lens assembly
US5361108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with plural taking lenses
JP303671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1306821A (ja) トリミ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及び画像出力装置
KR200164377Y1 (ko)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JP2613324B2 (ja) カメラ
US6704498B2 (en) Camera for forming simultaneous images covering different areas of the same subject
JP2000047315A (ja) カメラ
JP3169811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8158441A (ja) 観察装置およびカメラ
KR200164376Y1 (ko)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JP2787089B2 (ja) レンズバリア付きカメラ
US6389237B1 (en) Camera for composite photography
JP2000089334A (ja) カメラ
KR200353705Y1 (ko) 뷰 카메라
JP321522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4707102A (en) Film speed setting reminder mechanism
KR200201830Y1 (ko) 합성사진용 카메라
JP2004354582A (ja) 接写用カメラ
JP2787219B2 (ja) カメラ
JP2589576Y2 (ja) カメラ
JP3492803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検査方法
JPH06130561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6160972A (ja) カメラ
JP200012223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