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376Y1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4376Y1 KR200164376Y1 KR2019990015167U KR19990015167U KR200164376Y1 KR 200164376 Y1 KR200164376 Y1 KR 200164376Y1 KR 2019990015167 U KR2019990015167 U KR 2019990015167U KR 19990015167 U KR19990015167 U KR 19990015167U KR 200164376 Y1 KR200164376 Y1 KR 2001643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subject
- camera
- image
- fin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쉬운 합성사진을 만들기 위한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 합성사진 촬영 시스템은 미리 형성된 잠재 배경 영상을 갖고 있는 합성용 필름(10)과 내부에 그라데이션 마스크(30)가 설치되고 동체의 배면에 잠재 영상과 피사체 영상을 맞추기 위한 구도잡기 화인더(40)가 형성된 카메라로 구성됨. 본 고안에 의하면 피사체의 영상이 미리 잠재된 영상의 정확한 위치에 촬영되면서 배경영상과 피사체 영상 사이에 그라데이션 처리가 이루어짐.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경 영상과 피사체 영상이 단일 카메라에서 촬영되도록 한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미리 촬영된 배경영상이 들어 있는 노광된 부분과 피사체가 촬영될 미노광 부분을 갖는 합성사진 촬영용 필름, 전술한 노광된 배경 영상 부분을 가려주면서 배경 영상과 피사체 영상 사이에 그라데이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라데이션 마스크와 피사체 영상이 미노광부분에 촬영되도록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구도잡기 화인더를 갖는 카메라로 구성된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기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면 피사체와 함께 촬영 현장의 배경이 함께 촬영된다. 그러나 특수한 용도의 사진, 예를 들면, 예술 사진이나 상업 사진 등에서는 사진의 배경이 촬영 현장의 배경과 다른 별도의 배경을 필요로 하는 사진, 즉 합성사진이 요구될 때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되는 피사체의 배경에 특수한 영상이 나오도록 하는 합성사진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카메라 촬영단계에서 실시되는 2중 노출방법과 슬라이드 프로젝트 합성방법 및 인화 시에 실시되는 다중 노출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다 정교한 디자인을 얻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합성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사진 제작방법들은 고도의 사진 합성 지식을 가진 자만이 이용할 수 있고 전문 지식이 없는 자는 거의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중 촬영방법은 고가의 사진기를 이용하여야 하고 배경이 촬영 현장의 배경에 만 국한되므로 다양한 배경을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인위적으로 형성된 환상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특수배경 등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프로젝트 합성방식은 원하는 피사체와 여러 가지 배경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배경의 해상도가 현격하게 떨어지고 슬라이드 프로젝트, 조명, 스크린등 특수장비가 모두 구비된 촬영소 내에서 만 촬영이 가능하고 주로 특수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35mm 카메라 같은 소형 휴대용 카메라나 일회용 카메라 등으로는 요구하는 합성 사진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인화단계에서 다중 노출방법으로 합성사진을 제작하는 방법은 별도의 암실과 암실 장비를 갖추고 있는 전문가들 밖에 이용할 수 없고 대형 사이즈의 합성사진은 제작할 수 없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합성작업은 정교한 합성사진을 얻을수 있지만 컴퓨터, 스캐너, 필름 레코더 등의 전문 장비를 필요로 하고 고도의 컴퓨터 조작 능력을 갖춘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일반 사람들이 35mm 카메라와 같은 소형 휴대용 카메라나 일회용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합성사진을 제작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도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미리 촬영된 배경에 피사체가 결합되는 합성사진을 만들 수 있는 합성사진 촬영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리 삽입되어 노광된 배경 영상용 잠재 영상이 들어 있는 합성사진 촬영용 필름과 그라데이션 마스크 및 구도잡기 화인더 기능을 갖고 있는 카메라로 구성된 본 고안의 합성 사진 촬영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용 필름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2는 합성 필름이 설치된 카메라의 뒷 뚜껑을 연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3은는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의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단부 개략도,
도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구도잡기 화인더의 확대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합성용 필름 12... 톱니 구멍 14,15,16... 촬영 부분
18...잠재 배경 영상 부분 19...피사체 촬영용 미노광 부분
20... 카메라 30...그라데이션 마스크 32...투명 부분
33...그라데이션 부분 40...구도잡기 화인더
본 고안은 피사체가 들어갈 부분은 미노광 상태로 남아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노광된 배경 영상이 잠재 영상으로 들어 있는 합성사진 촬영용 필름 및 필름과 렌즈 사이의 카메라 내부에 그라데이션 마스크가 내장되고 화인더 내부에 피사체 위치를 쉽게 포착하기 위한 구도잡기 화인더가 형성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합성사진용 필름은 통상의 사진 필름이 이용되며, 노광된 잠재 영상은 피사체가 들어갈 부분을 가리고 촬영한 배경 영상일 수도 있고 컴퓨터 그래픽으로 피사체가 들어갈 미노광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만들어 넣은 영상일 수도 있다. 이 잠재 영상은 사진 촬영시 사진 컷들 사이의 간격에 맞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피사체의 첫 컷이 미노광 부분에 촬영되면 나머지 컷의 피사체 영상은 필름 감기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다음 컷의 미노광 부분에 촬영되도록 되었다.
그라데이션 마스크는 합성수지 필름일 수도 있고 통상의 포지티브 사진 필름일 수도 있으나, 다단계 칼라 그라데이션으로 이루어진 합성사진을 만들기 위하여는 자체에 영상이 담긴 포지티브 필름이 바람직 하다. 필름의 잠재 영상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은 완전히 불투명하도록 형성되고 피사체가 들어가는 부위 측으로 단계적으로 투명도가 높아 져서 피사체가 들어가는 부분은 완전히 투명하게 되도록 형성되었다. 따라서, 이 그라데이션 마스크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영상 부분에 대한 중복 촬영이 방지되도록 하는 마스크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피사체 영상과 배경 영상 사이에 그라데이션 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는 컴퓨터 그래픽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그라데이션 마스크에 의하여 배경 영상과 피사체 영상 사이의 경계면이 다단계 그라데이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라데이션 마스크가 포그 필터 또는 소프트 필터의 역할을 하여 한 번의 촬영과 현상으로 피사체와 배경 영상이 결합되면서 배경 영상과 피사체 영상 사이에 그라데이션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가 현상된 포지티브(슬라이드)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빛이 가려지는 부위와 빛이 통과하는 부위의 경계면은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흑백 256단계 또는 칼라 그라데이션으로 처리하여 결국 그 경계면이 뚜렷한 선으로 구분되지 않고 포지티브 필름이 가지고 있는 수십만개의 입자가 미세한 칼라 변화의 차이를 만들어 빛을 통과시키는 부위부터 빛을 차단하는 부위까지 단계적으로 투명성에 차이가 나도록 만든다.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는 1단계부터 수 백만 단계까지의 그라데이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미세한 칼라의 단계적 변화를 갖는 영상은 사람의 수작업으로는 만들어 낼 수 없으므로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야 하며 킴퓨터로 만든 영상의 칼라변화는 포지티브 필름위에 촬영되어 현상되어진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의 카메라 내부에 설치되는 그라데이션 마스크는 부분적으로 피사체의 노광이 통과할 투명한 부분을 갖고 있는데, 이 투명 부분은 합성사진 제작용 필름의 미리 노광되어진 부분을 제외한 피사체의 영상이 촬영될 미노광 부분과 정확하게 일치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위치는 카메라의 렌즈와 합성용 필름 사이에 있어야 하며 카메라 종류에 따라 렌즈와 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셔터의 전면과 후면 어느 쪽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피사체가 완전하게 필름의 미노광 부분에 촬영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필름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투명 부분 크기를 조절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합성용 필름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투명 부분은 렌즈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투명 부분 보다 커야 한다. 만약, 렌즈에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투명 부분을 갖는 그라데이션 마스크를 합성용 필름에 근접되게 설치하면 피사체의 영상이 전부 그라데이션 마스크를 통과하지 못하고 일부는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불투명 부분에 가려지면서 합성용 필름에 투영되게 되어 요구하는 완전한 피사체의 영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합성용 필름에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는 큰 크기의 투명 부분을 갖는 그라데이션 마스크를 렌즈에 근접되게 설치하면 피사체와 함께 주변의 자연 배경도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투명 부분을 통과하여 필름에 투영되므로 요구하는 합성사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의 카메라에는 구도잡기 화인더가 설치된다. 이 구도잡기 화인더는 피사체가 합성할 필름의 미노광 부위에 정확하게 포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화인더 스크린 또는 화인더 표면에 피사체가 들어갈 부위가 표시되거나 또는 피사체가 들어갈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가려지도록 구성되었다. 이 화인더는 예를 들면,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 상기 화인더에 합성되어질 화면 또는 미리 필름에 노광되어진 배경 영상에 맞게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므로 배경 영상과 촬영되는 사람의 영상이 잘 어울리는 비례로 합성되도록 그 위치와 크기를 배경영상에 맞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전술한 구도잡기 화인더는 화인더에 그려넣어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필름을 화인더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필름에서 다양한 배경영상을 합성한 사진을 얻기 위하여는 사진 컷 마다 배경 영상을 달리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피사체가 투영될 투명 부분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개 사진 컷에 맞는 피사체 위치가 표식된 필름을 화인더의 표면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필름 중의 하나인 35mm 합성용 필름(10)의 선단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에 따르면 본 고안의 합성용 필름(10)은 상하 연부에는 필름 이송용 톱니 구멍(12),(12a)를 갖고 있으며 선단에는 필름 스풀에 감기는 부분(13)을 갖고 있고 사진 촬영 부분(14),(15),(16)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었다. 전술한 촬영 부분(14),(15),(16)에는 노광된 잠재 배경 영상 부분(18)과 미노광 부분(19)을 갖고 있다.
카메라(20)는 화인더(40), 필름 감기 레바(22), 필름 릴(23), 톱니(24),셔터 스위치(25), 렌즈 조립체(26) 및 를 갖고 있으며, 내부에는 필름 스풀(27)이 설치되었다.
전술한 필름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내부의 뒷 뚜껑(28) 전방에 설치되어 톱니구멍(12)(12a)에 카메라의 필름 감기 톱니(24)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바, 이러한 상태에서 필름 감기 레바(22)를 회전시키면 필름(10)은 사진 한 컷의 길이만큼 이동하여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촬영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필름은 첫번째 촬영 부분(14)에 사진의 첫번째 커트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카메라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필름 감기 레바(22)의 회전에 의하여 사진의 첫 컷이 필름의 첫번째 촬영 부분의 정확한 위치에 촬영되면 뒤 이은 촬영부분에도 정확한 위치에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3은 그라데이션 마스크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내부의 합성용 필름(10) 전방에 그라데이션 마스크(30)가 설치된다.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투명 부분(32)과 불투명 부분(34) 및 전술한 투명 부분과 불투명 부분의 경계를 이루는 단계적인 투명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라데이션 부분(33)으로 구성되었다.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30)의 투명 부분(32)은 피사체가 촬영될 필름(10)의 미노광 부분(19)과 일치되는 위치에 놓이고 불투명 부분(34)은 필름(1)의 노광된 배경 영상 부분(18)과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되었다.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30)는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필름(10)으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마스크(30)는 필름(10)과의 간격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그라데이션 마스크를 통과하여 필름(10)에 투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필름의 미노광 부분에 정확하게 일치되게 촬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30)는 렌즈의 배면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사진기의 부품에 설치한다. 도3에서와 같이 그라데이션 마스크(30)는 위치(30a),(30b)에 놓일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카메라는 구도잡기 화인더(40)를 갖고 있다. 전술한 구도잡기 화인더(40)는 화인더 창에 피사체가 들어갈 부위를 표시하여서된 것으로서, 기존의 화인더에 피사체가 들어갈 부위를 표시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필름이나 판에 피사체가 들어갈 부위를 표시하여 화인더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구도잡기 화인더는 피사체가 정확하게 필름(10)의 미노광 부분에 촬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사체가 들어갈 위치는 가상선(42)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피사체와 유사한 형상의 가상선(44)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피사체가 들어갈 위치가 피사체의 형상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가상선 내부(46)는 투명하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48)은 불투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합성사진 촬영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의 미사용된 35mm 필름(10)에 피사체가 들어갈 부위를 제외한 부분에 컴퓨터 그래픽 촬영 전문 장비인 필름 레코더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경 영상이 사진컷의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배경 영상을 출력하여 노광된 배경 영상이 담긴 합성전용 필름(10)을 만든다.
포지티브(슬라이드) 필름을 이용하여 합성 전용 필름(1)에 촬영된 피사체 들어갈 투명한 부분 주변, 즉 배경 영상이 들어갈 부위를 컴퓨터 그래픽 기법으로 칼라 그라데이션 처리하고 현상하여 도6과 같은 그라데이션 마스크(30)를 만들고, 이 그라데이션 마스크를 카메라의 렌즈 후방에 부착한다.
전술한 카메라의 화인더(40)에 필름(10)에 형성된 잠재 배경 영상과 동일한 형태의 축소된 모양으로된 형상의 윤곽선(44)으로 표시한여 구도잡기 화인더를 형성한다. 전술한 구도잡기 화인더(40)가 형성되고 내부에 그라데이션 마스크(30)가 설치된 카메라에 배경영상을 촬영한 필름(10)을 이 필름 중의 배경 영상이 담긴 첫번째 컷트가 촬영할 사진의 첫번째 컷트와 일치되도록 삽입하여 본 고안의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얻는다.
합성 사진 촬영 시에는 필름감기 레바(16)를 돌려 첫 컷트가 첫번째 화면틀(14)에 일치할 때까지 돌린다. 화인더(12)를 통하여 피사체를 화인더의 윤곽선(44) 내에 맞추고 셔터 스위치(13)을 눌러 촬영한다. 촬영이 끝난 뒤 필름을 현상하면 필름(10)에는 잠재 영상으로 들어 있던 배경에 피사체가 합성되면서 배경영상과 피사체의 사이에 그라데이션 처리된 합성 사진이 얻어 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의 구도잡기 화인더(40)에 의하여 피사체가 합성용 필름(10)의 피사체 위치에 정확하게 촬영되고 그라데이션 마스크(30)에 의하여 합성용 필름(10)에 미리 들어 있는 배경 영상과 피사체 영상 사이에 자연스런 그라데이션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한번의 촬영으로 우수한 합성사진이 얻어 진다.
Claims (4)
- 카메라 내부에 삽입된 노광된 잠재 배경 영상을 갖는 합성 필름(10) 및 전술한 합성필름과 카메라 렌즈 사이에 설치된 그라데이션 마스크(30)와 합성될 피사체의 구도를 잡기 위한 표시(42,44)가 형성된 구도잡기 화인더(40)를 갖고 있는 카메라(20)를 포함하는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그라데이션 마스크(30)가 피사체 촬영되는 투명 부분(32), 불투명 부분(34) 및 전술한 투명 부분과 불투명 부분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단계적으로 투명도 또는 칼라가 변하도록 형성된 그라데이션 부분(33)을 갖고 있는 필름으로 구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서, 전술한 그라데이션 마스크(30)가 현상된 포지티브 필름과 인쇄용 필름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카메라 내부에 접착 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서, 구도잡기 파인더(40)가 피사체 위치 표시(42,44)를 갖는 필름을 화인더 창에 부착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5167U KR200164376Y1 (ko) | 1999-07-08 | 1999-07-27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7382 | 1999-07-08 | ||
KR2019990015167U KR200164376Y1 (ko) | 1999-07-08 | 1999-07-27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7382 Division | 1999-07-08 | 1999-07-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4376Y1 true KR200164376Y1 (ko) | 2000-02-15 |
Family
ID=2663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5167U KR200164376Y1 (ko) | 1999-07-08 | 1999-07-27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4376Y1 (ko) |
-
1999
- 1999-07-27 KR KR2019990015167U patent/KR2001643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35795A (en) | Blended photographic composite images | |
JP2010527168A (ja) | スチル写真における背景置換方法及び背景置換装置 | |
US5613165A (en) | Photographic film pre-exposure method | |
US5247320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llage photographs | |
US3940775A (en) | Multiple exposure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 |
Horenstein | Black and white photography: a basic manual | |
US2651233A (en) | Process of composite photography | |
US4055833A (en) | Method of deriving characteristic contours from a colored picture | |
JPH01306821A (ja) | トリミ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及び画像出力装置 | |
US5748987A (en) | Producing smoothly blended double exposure composite images | |
KR200164376Y1 (ko)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
US2127829A (en) | Method of producing color effects in photography | |
US5615396A (en) | Producing smoothly blended double exposure composite images | |
KR100367966B1 (ko) | 합성 사진용 카메라 | |
KR20000061646A (ko) | 합성사진 전용 필름과 구도잡기 파인더, 및 마스크 기능이 설치된 카메라 | |
JP3070051U (ja) | 合成写真用カメラ | |
US2461127A (en) | Composite photography | |
KR200201830Y1 (ko) | 합성사진용 카메라 | |
US5229808A (en) | Camera viewfinder | |
US1606483A (en) | Making motion pictures | |
Wall | Some Patents for trick photography | |
KR100205766B1 (ko) | 합성사진 촬영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200164377Y1 (ko) |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 |
US2020820A (en) | Method of producing composite pictures | |
US1569789A (en) | Making moving pic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122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