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830Y1 - 합성사진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합성사진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830Y1
KR200201830Y1 KR2020000012638U KR20000012638U KR200201830Y1 KR 200201830 Y1 KR200201830 Y1 KR 200201830Y1 KR 2020000012638 U KR2020000012638 U KR 2020000012638U KR 20000012638 U KR20000012638 U KR 20000012638U KR 200201830 Y1 KR200201830 Y1 KR 200201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composite
composi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정
Original Assignee
정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21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67966B1/ko
Application filed by 정현정 filed Critical 정현정
Priority to KR2020000012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2Locating plates or cut fil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Abstract

본 고안은 미리 촬영된 배경영상이 들어 있는 노광된 부분과 미노광된 부분에 피사체를 합성촬영할 수 있는 필름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사진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8) 및 커버(6)로 이루어진 본체(2)의 전면부측에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 및 렌즈(21)가 형성되고, 본체(2)의 후면부측에는 구도잡기 뒤화인더창(18b)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측에는 합성필름(22)이 장착된 조리개 조절 기능이 없는 합성 사진용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21)의 전면측에 끼워지게 형성되며, 렌즈(21)를 통해 찍혀지는 사물의 위치를 지정하도록 형성된 위치 지정홀(14)을 갖는 제 1 위치지정구(12)와, 상기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과 구도잡기 뒤화인더창(18b) 중 적어도 어느하나에 형성되며, 사물을 찍기 위해 사물의 위치를 지정해주도록 형성된 제 2 위치지정구(10)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합성 사진용 카메라{CAMERA FOR COMPOSITE PHOTOGRAPH}
본 고안은 합성 필름용 카메라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촬영된 배경영상이 들어 있는 노광된 부분과 미노광된 부분에 피사체를 합성촬영할 수 있는 필름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사진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기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면 피사체와 함께 촬영 현장의 배경이 동시에 촬영된다.
그러나, 특수한 용도의 사진, 예를 들면, 예술 사진이나 상업 사진 등에서는 사진의 배경으로 촬영 현장의 배경과 다른 별도의 배경을 필요로 하는 사진, 즉 합성사진이 요구될 때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되는 피사체의 배경에 특수한 영상이 나오도록 하는 합성사진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카메라 촬영단계에서 실시되는 2중 노출방법과 슬라이드 프로젝트 합성방법 및 인화시에 실시되는 다중 노출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다 정교한 디자인을 얻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합성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사진 제작방법들은 고도의 사진 합성 지식을 가진 자만이 이용할 수 있고 전문 지식이 없는 자들은 거의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중 촬영방법은 고가의 사진기를 이용하여야 하고 배경이 촬영 현장의 배경에만 국한되므로 다양한 배경을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컴퓨터 그래픽으로 연출되는 특수배경 등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프로젝트 합성방식은 원하는 피사체와 여러가지 배경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배경의 해상도가 현격하게 떨어지고 슬라이드 프로젝트, 조명, 스크린 등 특수장비가 모두 구비된 촬영소 내에서만 촬영이 가능하고 주로 특수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35mm 카메라 같은 소형 휴대용 카메라나 일회용 카메라 등으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합성 사진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인화단계에서는 다중 노출방법으로 합성사진을 제작하는 방법은 별도의 암실과 암실 장비를 갖추고 있는 전문가들 밖에 이용할 수 없고 대형 사이즈의 합성사진은 제작할 수 없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합성 작업은 정교한 합성 사진을 얻을 수 있지만 컴퓨터, 스캐너, 필름레코더 등의 전문 장비를 필요로 하고 고도의 컴퓨터 조작 능력을 갖춘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일반사람들이 35mm 카메라와 같은 소형 휴대용 카메라나 일회용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합성 사진을 제작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진에 관하여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도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미리 촬영된 배경에 피사체가 결합되는 합성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는 합성 사진용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6: 커버
8: 케이스 10: 제 2 위치지정구
12: 제 1 위치지정구 14: 위치 지정홀
16: 이동편 18a: 구도잡기 앞화인더창
18b: 구도잡기 뒤화인더창 20: 위치선정표시부
21: 렌즈 22: 합성필름
26: 확인용 투시홀 40: 덮개
50: 그라데이션 필터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는, 케이스 및 커버로 이루어진 본체의 전면부측에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 및 렌즈가 형성되고, 본체의 후면부측에는 구도잡기 뒤화인더창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측에는 합성필름이 장착된 조리개 조절 기능이 없는 합성 사진용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전면측에 끼워지게 형성되며, 렌즈를 통해 찍혀지는 사물의 위치를 지정하도록 형성된 위치 지정홀을 갖는 제 1 위치지정구와, 상기 구도잡기 앞화인더창과 구도잡기 앞화인더창 중 적어도 어느하나에 형성되며, 사물을 찍기 위해 사물의 위치를 지정해주도록 형성된 제 2 위치지정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일반인들이 찍기 쉽도록 일회용 카메라를 이용한 것으로, 카메라 본체(2)의 내측에는 합성 필름(22)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의 합성 필름(22)은 1차 영상을 갖고 있는 그위에 2차적으로 인물 등이 정확하게 찍혀지도록 제 1 위치지정구(12)와 제 2 위치지정구(1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제 1 위치지정구(12)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2)의 전면부에 형성된 케이스(8)의 중앙부분측에 형성된 렌즈(21)에 안착된다.
상기의 렌즈(21)에 안착되는 제 1 위치지정구(12)는 외부측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렌즈(21)로 보내기 전에 렌즈(21)로 인입되는 영상의 위치를 결정해 주도록 위치 지정홀(14)이 형성된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 지정홀(14)이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이동편(16)을 수평방향으로 밀쳐서 이동시키면 촬영되는 사물의 위치를 수평선상에서 사용자의 의도대로 바꿀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동편(16)에는 수평이동시에 변경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제 1 위치지정구(12)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동편(16)에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돌기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위치 지정홀(14)은 렌즈(21)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지정홀(14)의 크기는 렌즈(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위치지정구(12)에 형성된 위치지정홀(14)은 촬영시에 렌즈(21)로 인입되는 영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되는 영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하지 않아도 위치지정홀(14)의 위치에 의해 1차적으로 영상의 위치가 정해져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합성 필름(22)에 촬영된다.
상기 제 1 위치지정구에 형성된 위치지정홀(14)은 제 1 위치지정구(12)의 전면부의 이동편(16) 상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이동편(16)을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밀쳐서 이동시키면 촬영되는 사물의 위치를 합성필름상의 1차 영상의 위치와 어울리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지정구(12)와 동일한 역활을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촬영되는 사물을 보고 찍을때 위치를 더욱 세밀하게 맞추어 찍을 필요없이 찍을 수 있도록 카메라에 형성되어 있는 구도잡기 화인더창에 구도 잡기 표시부(11) 또는 제 2 위치지정구(1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도 잡기 표시부(11)는 구도잡기 화인더창에 대략 열십자 형상 또는 타원형의 표시부등으로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어 구도 잡기 표시부(11)의 구획선 또는 타원형 안에 사물을 넣거나 기준선을 정해 그 기준에 맞추어 찍을 수 있어 사물의 위치를 선정하기 편리한 특징이 있다.
또한, 구도 잡기 표시부(11) 보다 편리하게 형성된 제 2 위치지정구(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분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조시에 합성 필름의 1차 영상과 조합되도록 절개부위의 위치를 바꿀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위치지정구(10)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 또는 뒤화인더창(18b)의 어느쪽에 형성시켜도 무관하나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2 위치지정구(10)가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 또는 구도잡기 뒤화인더창(18b)에 위치되게 결합되면, 사용자는 제 2 위치지정구(10)로 인해 필요없는 공간이 차단되기 때문에 찍어야 할 공간만을 보여주도록 남겨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에 가려져 있는 제 2 위치지정구(10)를 통해 보여지는 사물만을 촬영하도록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필름(22)이 카메라에 장착될때에 필름에 합성된 영상의 이미지가 제대로 위치를 잡고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합성 필름(22)에는 위치선정표시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선정표시부(20)의 위치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 케이스(8)의 뒷면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6)에 확인용 투시홀(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확인용 투시홀(26)을 통해 위치선정표시부(20)를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확인용 투시홀(26)의 위치는 합성 필름(22)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선정표시부(20)와 동일한 위치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필름레버(34)를 돌리게 되면 필름이동구(36) 및 필름숫자확인판(32)이 움직인다.
상기와 같이 연동되어 움직이는 필름이동구(36)는 합성 필름(22)을 찍고 나면 감는 역활을 하기 때문에, 필름을 카메라에 장착할때에도 필름레버(34)를 돌려 합성 필름(22)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선정표시부(20)를 확인용 투시홀(26)에 보이도록 위치시키면 촬영되는 사물의 위치를 합성 필름의 1차 영상과 2차적으로 촬영되는 영상과의 합성시에 어긋남이 없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확인용 투시홀(26)은 카메라의 본체(2) 내로 카메라의 외부측에서 발생되는 빛이 새어들어가지 못하도록 필름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외부에서 발생된 빛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덮개(40)를 형성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외부의 빛을 더욱 세밀하게 차단하도록 형성된 상기 덮개(40)는 확인용 투시홀(26)로 빛이 새어들어가지 못하도록 스틱커 등과 같은 부착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한 후에는 간단하게 붙여두면 쉽게 떨어지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간단하게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합성 카메라는, 2차적으로 촬영되는 사물의 영상과 합성 필름(22) 상에 촬영되어 있는 1차 영상이 합성될때에 자연스러움을 주기 위해 사물의 영상 외주면측으로 갈수록 그라데이션(점점 흐려지는) 효과를 갖도록 렌즈(21)와 합성 필름(22) 사이에 그라데이션 필터(5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21)와 합성 필름(22)의 사이에 위치된 그라데이션 필터(50)는, 2차적으로 촬영되는 사물의 중심부위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차츰 흐려지도록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합성되는 두 영상이 자연스럽게 처리된다.
또한, 그라데이션 필터(5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투명한 판에 광선 차단 부분을 불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원륜상 프레임의 내측으로 광선 차단부분을 형성하는 불투명 선상 또는 삼각형 돌기를 내측으로 돌출되게 성형하여 형성할수도 있슴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합성 필름(22) 상의 1차 영상과 2차적으로 촬영되는 영상이 합성될때에는 도 2 에 도시된 그라데이션 필터(50)에 의해 합성되는 부분을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제 1 위치지정구(12) 및 제 2 위치지정구(10)는, 조리개 기능이 없는 일회용 카메라로 한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회용 카메라는 물론 일반 카메라에도 사용될 수 있슴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합성 사진용 카메라에 의해 합성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 피사체의 2차적으로 촬영되는 영상과 1 차적영상 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도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미리 촬영된 배경에 피사체가 결합되는 합성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어 아주 경제적으로 합성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케이스(8) 및 커버(6)로 이루어진 본체(2)의 전면부측에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 및 렌즈(21)가 형성되고, 본체(2)의 후면부측에는 구도잡기 뒤화인더창(18b)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측에는 합성필름(22)이 장착된 조리개 조절 기능이 없는 합성 사진용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21)의 전면측에 끼워지게 형성되며, 렌즈(21)를 통해 찍혀지는 사물의 위치를 지정하도록 형성된 위치 지정홀(14)을 갖는 제 1 위치지정구(12)와,
    상기 구도잡기 앞화인더창과 구도잡기 뒤화인더창 중 적어도 어느하나에 형성되며, 사물을 찍기 위해 사물의 위치를 지정해주도록 형성된 제 2 위치지정구(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홀(14)은, 렌즈(2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지정구(10)는 일측부가 절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필름(22)에는 위치선정표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선정표시부(20)가 형성된 위치상에 확인용 투시홀(26)이 커버(6)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지정구(10)는 구도잡기 앞화인더창(18a) 또는 구도잡기 뒤화인더창(18b)에 끼워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필름(22)과 렌즈(21)의 사이에는 그라데이션 필터(50)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용 투시홀(26)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도 잡기 앞화인더창(18a) 또는 구도 잡기 뒤화인더창(18b)에는 구도 잡기 표시부(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지정구(12)에 형성된 위치 지정홀(14)의 위치를 렌즈(21)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편(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사진용 카메라.
KR2020000012638U 1999-11-23 2000-05-03 합성사진용 카메라 KR200201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638U KR200201830Y1 (ko) 1999-11-23 2000-05-03 합성사진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163A KR100367966B1 (ko) 1999-07-08 1999-11-23 합성 사진용 카메라
KR2020000012638U KR200201830Y1 (ko) 1999-11-23 2000-05-03 합성사진용 카메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163A Division KR100367966B1 (ko) 1999-07-08 1999-11-23 합성 사진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830Y1 true KR200201830Y1 (ko) 2000-11-01

Family

ID=2663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638U KR200201830Y1 (ko) 1999-11-23 2000-05-03 합성사진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458B1 (ko) 가동성차폐부재가구비된3차원및2차원의이중모드카메라
JPS63286836A (ja) スチルカメラ
US4183644A (en) Photographic background device
KR100367966B1 (ko) 합성 사진용 카메라
KR200201830Y1 (ko) 합성사진용 카메라
US5404189A (en) Panoramic viewfinder mask
JP3070051U (ja) 合成写真用カメラ
JP2613324B2 (ja) カメラ
KR200164376Y1 (ko) 합성사진 촬영용 카메라 시스템
JP2627598B2 (ja) カメラ
JP2865473B2 (ja) パノラマアダプタ
KR200353705Y1 (ko) 뷰 카메라
JPH10161234A (ja) 人物写真撮影装置
US5225864A (en) Camera exposure control
US5235367A (en) Viewfinder magnifier
JP2748949B2 (ja) アルバダ式ブライトフレームファインダ
JP2004354582A (ja) 接写用カメラ
JP2000187272A (ja) 近接撮影用アダプタ
JP2858267B2 (ja) ストロボ付き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KR20000061646A (ko) 합성사진 전용 필름과 구도잡기 파인더, 및 마스크 기능이 설치된 카메라
JP2509474B2 (ja) 合成画像を感光フィルムに形成する方法及び画像合成カメラ
JPS628030Y2 (ko)
Wikipedians FPC terminology
JP2006084807A (ja) 撮像装置
JP2003270699A (ja) 防水カメ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