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126Y1 -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126Y1
KR200159126Y1 KR2019970002967U KR19970002967U KR200159126Y1 KR 200159126 Y1 KR200159126 Y1 KR 200159126Y1 KR 2019970002967 U KR2019970002967 U KR 2019970002967U KR 19970002967 U KR19970002967 U KR 19970002967U KR 200159126 Y1 KR200159126 Y1 KR 200159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unit
power supply
constant voltage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534U (ko
Inventor
이무원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이무원
조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원, 조상호 filed Critical 이무원
Priority to KR2019970002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1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5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원전압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한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경적음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포토커플러 등을 사용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원전압에 겸용으로 사용하게 되어있어, 전원전압의 변동시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원전압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각부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로구성을 보다 간단화 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본 고안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어 경적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극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테리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안정된 구동전압을 공급하여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함과 아울러 회로구성의 간소화 및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한 무극성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경적음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경적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소정시간동안 경적음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경적음이 높은 단음으로 발생되므로 극심한 소음공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보행자를 놀라게 하거나 불쾌감을 주게 되었다. 이에따라 경적음을 고음으로 부터 저음으로 떨어지게 발생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경적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경적스위치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제작회사에 따라 정(+)극성 전원전압 또는 부(-)극성 전원전압을 사용하게 되어있고, 이에따라 경적기를 부착 설치하고자 할때 상기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을 확인한 후 경적기를 선택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토커플러 및 제너다이오드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이 정(+)극성인지 부(-)극성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극성 접점스위치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 경적음 발생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포토커플러 등을 사용하므로, 자동차 바테리의 전원전압 변동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자동차용 바테리의 전원전압에 있어서는 그의 전원전압 변동폭이 최저 10V로 부터 최대 16V 내지 18V까지 이르게 되므로, 그 심한 전원전압 변동에서 포토커플러는 쉽게 손상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고, 다른 기기에도 오동작의 원인으로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릴레이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이 정(+)극성인지 부(-)극성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각부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여, 상기 전원전압의 변동시에도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경적 스위치의 단락에 의해 경적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경적스위칭회로를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게한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압부 2 : 경적스위칭부
3 : 경적 구동 충방전부 4 : 발진부
5 : 경적음 발생부 SW1 : 경적 버튼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전압(B+)을 입력받아 각부에 정전압(VCC)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와, 경적버튼스위치(SW1)의 단락시에 그 경적버튼스위치(SW1)에 공급되는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정(+)극성일 경우에는 그 전원전압(BAT)에 의한 소정전압을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부(-)극성일 경우에는 릴레이(RL1)를 구동시켜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을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하는 경적스위칭부(2)와, 상기 경적스위칭부(2)의 경적스위칭신호를 저항(R1)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하고 경적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경적 구동충방전부(3)와,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을 공급받아 저항(R2-R5),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2, C3)의 시정수에 의해 발진소자(CT1)에서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4)와,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서 경적구동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발진부(4)의 발진신호주기에 따라 다링톤접속의 트랜지스터(TR1, TR2)를 도통시켜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2)를 구동시키는 경적음 발생부(5)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적 스위칭부(2)는 전원전압(BAT)을 일측에 입력받는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을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경적구동충방전부(3)에 접속하고,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측을 제너다이오드(ZD2), 릴레이(RL1)의 코일(RC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 접속점에 접속한후,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측을 상기 릴레이(RL1)의 스위치(RS1)를 통해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B+)이 입력되면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VCC)이 출력되어 경적스위칭부(2) 및 발진부(4)에 공급되고, 이에따라 발진부(4)에서는 저항(R2-R5),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2, C3)에 의해 설정된 시정수에 따라 발진소자(CT1)에서 소정주파수의 발진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경적버튼스위치(SW1)를 눌러 단락하게 되면, 그 경적버튼스위치(SW1)에 입력되는 전원전압(BAT)의 극성에 따라 경적스위칭부(2)에서 그 전원전압(BAT)의 극성에 따라 경적스위칭부(2)에서 그 전원전압(BAT)에 따른 경적스위칭신호 또는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에 따른 경적스위칭신호가 출력된다. 즉, 이때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정극성이면, 그 전원전압(BAT)이 그 경적버튼스위치(SW1)를 통한후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소정전압으로 되어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되고, 또한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부극성이면, 그 경적버튼스위치(SW1)가 단락되어 있는 동안 다이오드(D1), 릴레이(RL1)의 코일(RC1) 및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그 릴레이(RL1)가 구동되어 그의 스위치(RS1)가 단락되고, 이에따라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이 그 릴레이(RL1)의 스위치(RS1)를 통해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경적버튼스위치(SW1)를 눌러 단락되어 있는 동안 전원전압(BAT)의 극성에 관계없이 경적스위칭부(2)에서 경적스위칭신호가 출력되고, 이 경적스위칭신호는 경적구동충방전부(3)의 저항(R1)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됨과 아울러 경적구동신호로 출력되며, 이 경적구동신호는 경적음 발생부(5)의 다이오드(D3) 및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와 다링톤접속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 접속점은 다이오드(D4)를 통해 발진소자(CT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발진소자(CT1)에서 발생되는 발진신호가 고전위 주기때마다 그 다이오드(D4)가 오프상태로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1, TR2)가 도통되고, 이에따라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2)의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되어 그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2)가 구동되므로 경적음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가 단락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되어 경적 스위칭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경적구동충방전부(3)의 콘덴서(C1)에 충전되었던 충전전압이 저항(R1)을 통해 경적음 발생부(5)측으로 서서히 방전되므로, 그 경적음 발생부(5)에서 발생되는 경적음이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릴레이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의 정극성 및 부극성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각부에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므로 상기 전원전압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않아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적음의 끝부분에서 서서히 줄어들므로 경적음에 의한 불쾌감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경적스위칭회로부가 보다 간단히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전압(B+)을 입력받아 각부에 정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와,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을 공급받아 저항(R2-R5, VR1) 및 콘덴서(C2, C3)의 시정수에 따른 소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진소자(CT1)를 통해 발생하는 발진부(4)와, 경적스위칭부의 경적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저항(R1)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하고 경적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경적구동충방전부(3)와,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서 경적구동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발진부(4)의 발진신호주기에 따라 다링톤접속의 트랜지스터(TR1, TR2)를 도통시켜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2)를 구동시키는 경적음 발생부(5)로 구성된 경적음 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경적스위칭부는 전원전압(BAT)을 일측에 입력받는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을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 접속하고,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측을 제너다이오드(ZD2), 릴레이(RL1)의 코일(RC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접속점에 접속한후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측을 상기 릴레이(RL1)의 스위치(RS1)를 통해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19970002967U 1997-02-24 1997-02-2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67U KR200159126Y1 (ko) 1997-02-24 1997-02-2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67U KR200159126Y1 (ko) 1997-02-24 1997-02-2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34U KR19980058534U (ko) 1998-10-26
KR200159126Y1 true KR200159126Y1 (ko) 1999-10-15

Family

ID=1949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967U KR200159126Y1 (ko) 1997-02-24 1997-02-2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1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34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912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7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6950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5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US561912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decreasing the load current
WO2019239876A1 (ja) 車両用制御装置
JP3140270B2 (ja) 自動車用発電電圧調整装置
KR950001721Y1 (ko) 무극성 접점스위치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 경적음 발생장치
KR200151266Y1 (ko)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JP2800684B2 (ja) ブザー駆動装置
KR012414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구동장치
KR0130898Y1 (ko) +경적스위치와 -경적스위치 겸용 전자혼 스위칭 회로
JP3481449B2 (ja) 自動車用補助灯点灯装置
KR960003839Y1 (ko) 전자혼(Horn)의 여음단속장치
JPH1127855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95000172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JP2587527B2 (ja) スイッチ・レシーバ回路
KR200179901Y1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900006284Y1 (ko) 점멸주기 변화식 브레이크 등화장치
KR960039528A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318199B1 (ko) 차량용발전기의듀얼모드전압제어장치
KR200179903Y1 (ko)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JP2545532Y2 (ja) エアバツグ点火装置
KR0168406B1 (ko) 음량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경음기
KR970001590Y1 (ko) 리모콘 파우더 온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