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66Y1 -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66Y1
KR200151266Y1 KR2019960042572U KR19960042572U KR200151266Y1 KR 200151266 Y1 KR200151266 Y1 KR 200151266Y1 KR 2019960042572 U KR2019960042572 U KR 2019960042572U KR 19960042572 U KR19960042572 U KR 19960042572U KR 200151266 Y1 KR200151266 Y1 KR 200151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transistor
diod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508U (ko
Inventor
임욱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2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6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스피커로 출력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입력 전압이 충방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입력 전압을 공급받아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너다이오드로부터 베이스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자로 인가받아 턴온/오프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캐패시터의 충방전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제3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 회로
본 고안은 오디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디오시스템에서는 전원을 온/오프할 때 전원 전압의 흔들림으로 인해 잡음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오디오시스템에서는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스피커로 출력되는 팝노이즈를 제거하는 회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력 전압이 충방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입력 전압을 공급받아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너다이오드로부터 베이스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자로 인가받아 턴온/오프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자로 인가받고 상기 캐패시터의 충방전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제3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 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어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 회로의 입출력 신호 파형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출력되는 잡음 제거 회로의 블록 구성도로서, 전원부(100)와 전원온동작부(110)와 전원오프동작부(120)와 출력부(130)로 구성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전원부(100)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스피커로 출력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온동작부(110)는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원이 공급(전원 온시)됨에 따라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제1제어전압을 생성하여 출력부(130)으로 출력한다. 한편, 전원오프동작부(120)는 전원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이 차단(전원 오프시)됨에 따라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제2제어전압을 생성하여 출력부(1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부(130)는 전원온동작부(110) 또는 전원오프동작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어전압 또는 제2제어전압을 입력받아 전원 온/오프 상태에 따라 출력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입력전압(Vi)와 제너다이오드(ZD)와 저항(R1∼R9)과 다이오드(D1,D2)와 캐패시터(C1,C2)와 트랜지스터(Q1,Q2,Q3)로 구성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제너다이오드(ZD)는 입력전압(Vi)을 캐소드단자로 인가받아 제너전압을 애노드단자와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로 공급한다. 제1저항(R1)은 일측에 입력전압(Vi)이 공급되고, 타측에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가 연결된다. 제2저항(R2)은 제너다이오드(ZD)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너다이오드(ZD)로부터 제너전압을 베이스단자로 공급받고, 접지단과 에미터단자가 연결되고, 컬렉터단자가 상기 제1저항(R1)과 연결되며, 상기 제너전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턴온/오프된다. 제3저항(R3)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와 에미터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4저항(R4)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와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와 베이스단자가 연결되며, 접지단과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단자와 상기 에미터단자간 제5저항(R5)가 연결되며, 컬렉터단자와 접지단에 제1캐패시터(C1)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단자와 상기 컬렉터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턴온/오프된다. 제1다이오드(D1)는 입력전압(Vi)을 애노드단자로 인가받고, 캐소드단자가 접지단과 연결된다. 제2다이오드(D2)는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애노드단자와 캐소드단자가 연결되며, 애노드단자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와 연결된다. 제6저항(R6)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자와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트랜지스터(Q3)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와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자와 에미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단자와 상기 에미터단자 사이에 제7저항(R7)이 연결되고, 접지단과 컬렉터단자가 연결된다. 제8저항(R8)은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자와 제2캐패시터(C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캐패시터(C2)는 제8저항(R8)과 연결되고, 접지단과 연결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의 동작에 따른 신호의 파형도로서, 입력전압(Vi)과 출력전압(Vout)을 나타낸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T1시점에서 입력전압(Vi)이 공급되면,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한 제너전압이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고, 제2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제1캐패시터(C1)은 입력전압이 충전되기 시작하고, 제3트랜지스터(Q3)는 턴온된다. 또한, 제2캐패시터(C2)는 제1다이오드(D1)를 통한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제1캐패시터(C1)가 충전되는 동안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상태의 출력전압(Vout)을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시스템에서는 상기 하이상태의 출력전압에 의해 뮤트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입력전압(Vi)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캐패시터(C1)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와 에미터단자간의 전압이 같아지므로 제3트랜지스터(Q3)은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출력전압(Vout)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캐패시터(C1)가 충전되는 동안 하이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캐패시터(C1)의 충전이 끝나면, 상기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됨에 따라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오디오시스템에서는 상기 로우상태의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뮤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T2시점에서 입력전압(Vi)이 차단되면, 즉 전원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뒷단의 높은 전압이 제2다이오드(D2)를 통해 저항(R1,R4,R5)로 방전되므로 제2트랜지스터(Q2)는 턴온된다. 그리고, 제1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은 제2트랜지스터(Q2)로 방전되고,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출력전압(Vout)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캐패시터(C2)가 방전되는 동안 하이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오디오시스템에서는 하이상태의 출력전압에 의해 뮤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후 제2캐패시터(C2)의 방전이 완료되면,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오디오시스템에서는 로우상태의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뮤트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발생되는 잡음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에 있어서, 소정 전원을 상기 오디오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애노드단자가 접속되고, 접지단과 캐소드단자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와, 상기 제1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와 캐소드단자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캐소드단자로 공급받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와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와 컬렉터단자가 연결되고, 접지단과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자와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단자와 에미터단자간에 저항이 연결되며,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와 컬렉터단자가 연결되고, 접지단과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캐소드단자와 애노드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와,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단자와 베이스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단자와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단자와 상기 에미터단자간에 저항이 연결되며, 접지단과 컬렉터단자가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단자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2캐패시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 회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패시터는, 전원 온시 제1다이오드를 통한 전압을 충전하고, 전원 오프시 상기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 회로.
KR2019960042572U 1996-11-27 1996-11-27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KR200151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72U KR200151266Y1 (ko) 1996-11-27 1996-11-27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572U KR200151266Y1 (ko) 1996-11-27 1996-11-27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08U KR19980029508U (ko) 1998-08-17
KR200151266Y1 true KR200151266Y1 (ko) 1999-07-15

Family

ID=1947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572U KR200151266Y1 (ko) 1996-11-27 1996-11-27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6455B2 (en) * 2017-08-10 2020-11-03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Mute control circuit used upon power-on or power-of, control method, and audio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6455B2 (en) * 2017-08-10 2020-11-03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Mute control circuit used upon power-on or power-of, control method, and audi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08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0655A1 (en) Audio amplifier on-off control circuit
KR200151266Y1 (ko)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US20070154026A1 (en) Mute circuit for eliminating noise during power off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H08213849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US7113031B2 (en) Audio amplifier circuit with suppression of unwanted noise when powered on from standby
JP3620766B2 (ja) 増幅器用電圧供給回路
US5604416A (en) Battery discharge circuit which protects against excessive discharge
KR100309407B1 (ko) 보호 회로
US6469460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separated vibration embodying circuit for alerting a user of an incoming call
JPH11163648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US5825160A (en) Power control circuit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S6122345Y2 (ko)
KR920006206Y1 (ko) 오디오 뮤팅회로
JPH10155271A (ja) 昇圧回路
JP2003332848A (ja) ポップ音防止回路
JPH1127855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940003349B1 (ko) 과도상태시 팦콘노이즈가 없는 증폭기
KR0131089Y1 (ko)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KR900010906Y1 (ko) 전원"온-오프"시 노이즈 제거회로
JPS6327457Y2 (ko)
KR100229765B1 (ko) Fet를 이용한 고주파증폭기의 단일전원 바이어스회로
JP2557628B2 (ja) リツプルフイルタ
JP2587527B2 (ja) スイッチ・レシーバ回路
JP4712489B2 (ja) ミュート回路
KR900009976Y1 (ko) 뮤팅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