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506Y1 -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506Y1
KR200169506Y1 KR2019970006987U KR19970006987U KR200169506Y1 KR 200169506 Y1 KR200169506 Y1 KR 200169506Y1 KR 2019970006987 U KR2019970006987 U KR 2019970006987U KR 19970006987 U KR19970006987 U KR 19970006987U KR 200169506 Y1 KR200169506 Y1 KR 200169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unit
power supply
supply voltage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630U (ko
Inventor
이무원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이무원
조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원, 조상호 filed Critical 이무원
Priority to KR2019970006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원전압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한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경적음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포토커플러 등을 사용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원전압에 겸용으로 사용하게 되어있어, 전원전압의 변동시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경적스위치의 누름시에 그 경적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에 상관없이 경적스위칭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각부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경적스위칭부의 회로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하여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경적스위칭부의 동작을 안정시키게 한다.

Description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본 고안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어 경적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적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극성에 상관없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바테리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안정된 구동전압을 공급하여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함과 아울러 회로구성의 간소화, 소형경량화 및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한 무극성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등에 사용되는 경적음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경적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소정시간동안 경적음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경적음이 높은 단음으로 발생되므로 극심한 소음공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보행자를 놀라게 하거나 불쾌감을 주게 되었다. 이에따라 경적음을 고음으로 부터 저음으로 떨어지게 발생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경적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경적스위치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제작회사에 따라 정(+)극성 전원전압 또는 부(-)극성 전원전압을 사용하게 되어있고, 이에따라 경적기를 부착 설치하고자 할 때 상기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을 확인한 후 경적기를 선택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토커플러 및 제너다이오드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경적스위치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이 정(+)극성인지 부(-)극성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극성 접점스위치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 경적음 발생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포토커플러 등을 사용하므로, 자동차바테리의 전원전압 변동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자동차용 바테리의 전원전압에 있어서는 그의 전원전압 변동폭이 최저 10V로 부터 최대 16V 내지 18V까지 이르게 되므로, 그 심한 전원전압 변동에서 포토커플러는 쉽게 손상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고, 다른 기기에도 오동작의 원인으로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적스위치의 누름시에 그 경적스위치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에 상관 없이 경적스위칭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각부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여, 상기 전원전압의 변동시에도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경적 스위치의 단락에 의해 경적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경적스위칭회로를 제너다이오드,다이오드, 저항 및 트랜지스터에 의해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소형경량화할 수 있게한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압부 2 : 경적 스위칭부
3 : 경적 구동 충방전부 4 : 발진부
5 : 경적음 발생부 SW1,SW2 : 경적 버튼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무극성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전압(B+)을 입력받아 각부에 정전압(VCC)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와, 경적버튼스위치(SW1)의 단락시에 그 경적버튼스위치(SW1)에 공급되는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정(+)극성일 경우에는 그 전원전압(BAT)에 의한 소정전압을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부(-)극성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1)를 도통시켜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을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하는 경적스위칭부(2)와, 평상상태에 접지(-)전위를 출력하고 누름동작시에 전원전압(B+)을 출력하는 경적버튼스위치(SW2)인 경우에 그에 연결되어, 그 경적버튼스위치(SW2)로 부터 전원전압(B+)이 출력될 때 그 전원전압(B+)을 경적스위칭신호로 통과시키는 다이오드(D3)와, 상기 경적스위칭부(2)의 경적스위칭신호 또는 상기 다이오드(D3)로 부터 출력되는 경적스위칭신호를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하고 경적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경적구동충방전부(3)와,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을 공급받아 저항(R5-R8),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2,C3)의 시정수에 의해 발진소자(CT1)에서 소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4)와,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서 경적구동신호가 출력되는동안 상기 발진부(4)의 발진신호주기에 따라 다링톤 접속의 트랜지스터(TR2, TR3)를 도통시켜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1)를 구동시키는 경적음 발생부(5)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적스위칭부(2)는 전원전압(BAT)을 일측에 입력받는 경적버튼 스위치(SW1)의 타측을 제너다이오드(ZDl) 및 다이오드(Dl)를 통해 경적구동 충방전부(3)에 접속하고,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단자를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접속하고 그 정전압부(1)의 출력단자를 저항(R2)을 통해 그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한후 그 접속점을 저항(R1), 다이오드(D2) 및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접속점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는 거의 모든 차종에서 사용되어, 그의 누름동작에 따른 단락시에만 전원전압(BAT)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적버튼스위치(SW1)를 사용하는 차량에 설치시에 그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인 출력측을 제너다이오드(ZD1),(ZD2)의접속점에 연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2)는 1개의 차종에서만 사용되어, 평상상태에서는 접지(-)전위를 출력하고 그의 누름동작시에는 전원전압(B+)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경적버튼스위치(SW2)를 사용하는 차량에 설치시에 그 경적버튼스위치(SW2)의 타측인 출력측을 다이오드(D3)의 애노드측에 연결하면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댜음과 같다.
전원전압(B+)이 입력되면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VCC)이 출력되어 경적스위칭부(2) 및 발진부(4)에 공급되고, 이에따라 발진부(4)에서는 저항(R5-R8),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2,C3)에 의해 설정된 시정수에 따라 발진소자(CT11)에서 소정주파수의 발진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경적버튼스위치(SW1)의 출력측을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접속점에 연결한 상태에서 그 경적버튼스위치(SW1)를 눌러 단락하게 되면, 그 경적버튼스위치(SW1)에 입력되는 전원전압(BAT)의 극성에 따라 경적스위칭부(2)에서 그 전원전압(BAT)에 따른 경적스위칭신호 또는 상기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에 따른 경적스위칭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정극성이면, 그 전원전압(BAT)이 그 경적버튼스위치(SW1)를 통한후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소정전압의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되고, 또한 전원전압(BAT)의 극성이 부극성이면, 그 경적버튼스위치(SW1)가 단락되어 있는 동안 제너다이오드(ZD2), 다이오드(D2) 및 저항(R1,R2)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트랜지스터(TRl)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므로 그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고, 이에따라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이 저항(R3) 및 그 트랜지스터(TRl)를 통해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경적버튼스위치(SW1)를 눌러 단락한 동안 전원전압(BAT)의 극성에 관계없이 경적스위칭부(2)에서 경적스위칭신호가 출력되고, 이 경적스위칭 신호는 경적구동충방전부(3)의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됨과 아울러 경적구동신호로 출력되며, 이 경적구동신호는 경적음 발생부(5)의 저항(R9,R10)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와 다링톤 접속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R9,R10)의 접속됨은 다이오드(D4)를 통해 발진소자(CT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발진소자(CT1)에서 발생되는 발진신호가 고전위 주기때마다 그 다이오드(D4)가 오프상태로 되어상기 트랜지스터(TR2,TR3)가 도통되고, 이에따라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1)의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그 경적음 발생용 릴레이(RL1)가 구동되므로 경적음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를 누르지 않아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정전압부(1)의 정전압(VCC)이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또한 그 트랜지스터(TR1)의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은 저항(R1)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제너다이오드(ZD2)에 인가되나, 그 제너다이오드(ZD2)에 제너다이오드(ZD1)가 직렬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인가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ZD1)들의 제너전압보다 낮게되어 그 제너다이오드(ZD2,ZD1)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이 없게되고, 이에따라 경적스위칭부(2)에서 경적스위칭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같이 경적버튼스위치(SW1)가 단락상태로 부터 개방상태로 되어 경적스위칭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경적구동충방전부(3)의 콘덴서(C1)에 충전되었던 충전전압이 저항(R4)을 통해 경적음 발생부(5)측으로 서서히 방전되므로, 그 경적음 발생부(5)에서 발생되는 경적음이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경적버튼스위치(SW2)의 출력측을 다이오드(D3)의 애노드측에 연결한상태에서 그 경적버튼스위치(SW2)를 누르지 않는 평상상태이면, 그 경적버튼스위치(SW2)를 통해 접지전위가 출력되므로 다이오드(D3)가 오프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2)를 누르는 상태이면, 그 경적버튼스위치(SW2)가 하측의 고정단자에 단락되어, 전원전압(B+)이 그 스위치(SW2)를 통한후 다이오드(D3)를 통해 경적스위칭신호로 출력되므로,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경적음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경적스위치의 누름시에 그 경적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에 상관없이 경적스위칭신호를 발생하므로, 정극성 및 부극성의 경적스위치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평상상태에서는 접지전위를 출력하고 누름동작시에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경적스위치에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각부에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므로 상기 전원전압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않아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수 있고, 경적음의 끝부분에서 서서히 줄어들므로 경적음에 의한 불쾌감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경적스위칭회로부가 제너다이오드,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티 등에 의해 간단히 구성되므로 소형, 경량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가가 절감되고 그의 동작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전압(B+)을 입력받아 각부에 정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와, 상기 정전압부의 정전압을 공급받아 소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4)와, 바테리 전원전압(BAT)을 일측에 인가받는 경적버튼 스위치(SW1)의 단락에 따라 경적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경적스위칭부와, 상기 경적스위칭부의 경적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층전하고 경적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경적구동충방전부(3)와,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3)에서경적구동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발진부(4)의 발진신호주기에 따라 다링톤접속의 트랜지스터(TR2, TR3)를 도통시켜 경적음발생용 렬레이(RL1)를 구동시키는 경적음 발생부(5)로 구성된 경적음 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경적스위칭부는 상기 바테리 전원전압(BAT)을 일측에 인가받는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을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경적구동충방전부(1)에 접속하고, 상기 정전압부그)의 출력단자를 저항(R2),(R3)을 각기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및 에미터에 접속하여, 그 베이스측 접속점을 저항(R1), 다이오드(D2) 및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 상기 경적버튼스위치(SW1)의 타측 접속점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상기경적구동충방전부(3)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평상상태에 접지전위를 출력하고 누름동작시에 전원전압(B+)을 출력하는 경적버튼스위치(SW2)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그 경적버튼스위치(SW2)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B+)을 경적스위칭신호로 통과시키는 다이오드(D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19970006987U 1997-04-04 1997-04-0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69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987U KR200169506Y1 (ko) 1997-04-04 1997-04-0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987U KR200169506Y1 (ko) 1997-04-04 1997-04-0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630U KR19980062630U (ko) 1998-11-16
KR200169506Y1 true KR200169506Y1 (ko) 2000-03-02

Family

ID=1949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987U KR200169506Y1 (ko) 1997-04-04 1997-04-04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5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11B1 (ko) * 2006-03-30 2007-12-03 장태식 차량용 경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630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950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7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5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US4977477A (en) Short-circuit protected switched output circuit
JP2941400B2 (ja) 車載用負荷駆動装置
KR950001721Y1 (ko) 무극성 접점스위치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 경적음 발생장치
WO2019239876A1 (ja) 車両用制御装置
KR95000172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92000721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012414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구동장치
KR200179901Y1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JP2730112B2 (ja) 直流2線式センサにおける電源リセット回路
KR100828257B1 (ko) 입력 전압의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램프 구동 전압을발생하는 램프 구동 회로
JP2800684B2 (ja) ブザー駆動装置
JP3559051B2 (ja) リレーの駆動回路
KR200179903Y1 (ko)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KR0168406B1 (ko) 음량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경음기
KR19990050884A (ko) 냉장고 부저구동장치
JP2587527B2 (ja) スイッチ・レシーバ回路
KR930005386Y1 (ko) 바이폴라 ttl인버터회로
KR940005339Y1 (ko) 시한신호 발생회로
KR910008293Y1 (ko) 리모콘의 송신 효율 개선회로
KR0130898Y1 (ko) +경적스위치와 -경적스위치 겸용 전자혼 스위칭 회로
KR200206170Y1 (ko) 자동차용 경적음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