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720Y1 -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720Y1
KR950001720Y1 KR92021643U KR920021643U KR950001720Y1 KR 950001720 Y1 KR950001720 Y1 KR 950001720Y1 KR 92021643 U KR92021643 U KR 92021643U KR 920021643 U KR920021643 U KR 920021643U KR 950001720 Y1 KR950001720 Y1 KR 950001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istor
horn
tim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345U (ko
Inventor
신영길
Original Assignee
신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길 filed Critical 신영길
Priority to KR92021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720Y1/ko
Publication of KR940012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 발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디코더 카운터 A2, A3: 카운터 발진부
SW : 경적스위치 R1-R29: 저항
VR1-VR2: 가변저항 C1-C9: 콘덴서
D1-D3: 다이오드 Q1-Q9: 트랜지스터
RL1, RL2: 릴레이
본 고안은 비선형의 바이브레이션 경적음과 파생적 경적음을 동시에 갖는 자동차의 경적음 발생장치로서 특히 최초의 파생적 경적음이 발생되는 시간에 사용자가 경적스위치를 다시 누르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야만 바이브레이션 경적음이 발생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제까지의 자동차 경적음은 균일적인 높은 단음으로 발생되었기 때문에 극심한 소음공해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를 놀라게 하거나 불쾌감을 갖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파생적 경적음과 비선형을 갖는 바이브레이션 경적음을 동시에 갖는 자동차의 경적음 발생장치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특징은 최초 파생적 경적음을 우선적으로 발생시키게 하고 일정시간 이후에 경적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비선형 바이브레이션 경적음이 발생되게 하여 최초 파생적 경적음에 의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진행의사를 빠르게 인식시키게 하고, 두번째 발생되는 바이브레이션적인 경적음 발생으로 하여금 보행자등이 갖는 불쾌감 또는 소음공해의 격하를 가져오게 하려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적스위치(SW)의 일측단자에 저항(R1-R3), (R17-R19)과 트랜지스터(Q6), (Q1)을 각각 연결하고 그 콜렉터안에 저항(R13-R14), (R26-R27)과 다링톤 접속된 트랜지스터(Q2, Q3)(Q8, Q9) 및 릴레이(RL1), (RL2)를 연결하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각각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저항(R5) 및 저항(R4)과 콘덴서(C2)를 병렬 연결하여 저항(R5)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접속시키고 그 콜렉터단에 저항(R6)과 콘덴서(C1)를 연결하여 디코더 카운터(A1)의 입력단자(14)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자(3)는, 가변저항(VR1, VR2)과 저항(R8-R12) 및 콘덴서(C5)가 접속된 카운터발진부(A2)의 입력단자(10)에 연결하여 그 출력단자(9)는 다이오드(D2)를 거쳐 저항(R13, R14) 및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 사이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는 저항(R15, R16)을 연결하여 일축은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단자(11)에 접속하고 타측은 저항(R28, R29)을 거쳐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23-R25)과 가변저항(VR3, VR4) 및 콘덴서(C7-C9)가 접속된 카운터 발진부(A3)의 출력단자(3)에 연결된 다이오드(D3)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Vc는 축전지 전원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운전자가 인적 장애물등의 요인에게 자동차의 진행의사를 인식시키기 위해 경적스위치(SW)를 누르게 되면 축전지 전원(Vc)이 저항(R1, R2)을 통해 흐르게 되면서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저항(R13, R14)를 통한 전원(Vc)은 트랜지스터(Q2, Q3)와 릴레이(RL1)를 동작시켜 도시되지 않은 경음기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1)를 통한 전원(Vc)은 다이오드(D1)과 저항(R5)을 거쳐 트랜지스터(Q4)에 전달되어진다. 이에 트랜지스터(Q4)에 연결된 저항(Q6)과 콘덴서(C1)의 시정수 전압에 의한 미분 펄스가 디코더 카운터(A1)의 입력단자 14번에 클럭신호를 주게 된다.
그러면 디코더 카운터(A1)는 제2도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즉 저항(R6)과 콘덴서(C1)의 미분펄스 전압에 따라 디코더 카운터(A1)의 입력단자 14번에 제2도(a)와 같은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그의 디코더 카운터(A1)는 클럭이네블단자(13) 및 리셋단자(15)의 신호전압에 의해 카운트되면서 출력단자(3)에서는 제2도(b)와 같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제2도(b)와 같이 T1에서 T2의 시간에 출력된 레벨의 신호는 카운터 발진부(A2)의 입력단자(10)에 전달되면서 카운트 발진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카운터 발진부(A2)에 연결된 저항(R7, R12)은 제2도(c)와 같이 발진스피드를 설정하게 되며 저항(R8) 및 가변저항(VR1, VR2)과 콘덴서(C3)는 발진폭을 설정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경적스위치(SW)가 턴온된 상태에서 디코더 카운터(A1)에서의 출력신호(b)가 입력된 상태이면 상기 카운터 발진부(A2)는 저항(R11, R12) 및 콘덴서(C4), 가변저항(VR1, VR2)의 시정수 전압에 따라 제2도(c)의 발진펄스를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동시에 출력되는 카운터 발진부(A2)의 제2도(c)의 출력레벨신호는 저항(R15, R16)을 거치면서 트랜지스터(Q5)의 턴오프 전압 이상에서 그 트랜지스터(Q5)를 부동작시킨다.
이로써 저항(R13, R14)의 바이어스전위는 하이레벨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의 하이레벨전위의 신호전압은 다이오드(D2)를 통한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2도(c)와 같이 T2의 시간부터 T4의 시간까지 진동파적인 레벨신호전압이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다링턴 접속된 트랜지스터(Q2, Q3)의 콜렉터단에는 진동바이브레이션을 같은 경적음신호가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종래의 경적음 턴온시 급작스럽게 발생되는 경적음과 또한 고음경적음소리가 일반적으로 째지는 듯한 파열음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저항(R8, R11, R12)과 콘덴서(C3, C4, C5) 및 가변저항(VR1, VR2)의 시정수 전압에 역점을 두게 함으로써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에 이른 것이다.
다음, 전술한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단자(11)에서 출력되어진 제2도(d)의 출력신호가 바이어스저항(R15, R16)을 거침과 동시에 바이어드저항(R28, R29)을 거쳐 트랜지스터(Q7)의 바이어스단에 입력되어진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단은 로우레벨의 전위가 되면서 트랜지스터(Q8, Q9)를 부동작시킨다.
이렇게 되어지는 것은 최초 경적스위치(SW)를 누를 때 저항(R17, R18)을 통한 전원(Vc)이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 전위를 로우레벨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트랜지스터(Q6)를 통한 전원(Vc)이 저항(R26)을 거쳐 카운터 발진부(A3)와 트랜지스터(Q8, Q9)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2, Q3)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Q8, Q9)를 턴오프시켜 그 콜렉터단에 연결된 릴레이(RL2)의 접점을 오프시키게 한 것이다.
이것은 제2도(c)에서와 같이 T3의 시간부터 T4의 시간에 렐레이(RL2)의 동작으로 인한 파생경적음이 울리는 동안에는 릴레이(Rl1)의 동작을 제거한 것이다.
이때 경적스위치(SW)가 오프되어졌다고 하면, 즉 제2도(b)의 T2의 시간에서부터 T6의 시간이내에 상기 경적스위치(SW)가 오프되어졌어도 그 오프된 순간부터 T4의 시간이내에는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신호에 의해 여음(T3의 시간부터 T4의 시간)을 남기면서 경적음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T2의 시간부터 T5의 시간이내에 또한번의 경적스위치(SW)가 턴오프되어졌다고 가정하면, 리셋트단자(13)의 리셋신호에 의해 디코더 카운터(A1)가 최초 초기화상태가 되면서 상기와 같은 T1의 시간부터 T5의 시간까지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이 끝난 후, 즉 다이오드(D2)로 출력되는 T3부터 T4까지의 시간이 지난 후 T6의 시간부터 T8의 시간이내에 경적스위치(SW)가 턴온되어지면 디코더 카운터(A1)는 제2도(b)와 같은 신호(T6의 시간부터 T8의 시간)를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 출력신호는 카운터 발진부(A2)의 입력단자(10)에 전달되어져 로우레벨에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T2의 시간부터 T5의 시간은 콘덴서(C2)의 충방전주기로서 결정되어진다.
이로써 카운터 발진부(A2)는 저항(R8, R9, R11, R12)과 가변저항(VR1, VR2) 및 콘덴서(C3, C4, C5)의 시정수 전압에 의해 일정 카운터 주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로우레벨의 전위신호에서 발진동작된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신호는 제2도(c)와 같이 로우레벨전위신호(T6-T7의 시간)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렇게 카운터 발진부(A2)에서 출력된 로우레벨전위신호는 바이어스저항(R15, R16)을 통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에 입력됨으로써 동작하게 된다.
이에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은 로우레벨전위로써 트랜지스터(Q2, Q3)와 릴레이(RL11)를 부동작시킨다. 반면에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단자(11)로부터 출력되어진 로우레벨의 전위신호는 바이어스저항(R28, R29)을 거쳐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에 입력됨으로써 그 콜렉터전위를 로우레벨의 전위로 유지시켜 준다.
이에 저항(R26, R27)을 통한 전원(Vc)이 트랜지스터(Q8, Q9)를 동작시켜 주기 때문에 릴레이(RL2)가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카운터 발진부(A3)는 저항(R23, R25)과 가변저항(VR3, VR4) 및 콘덴서(C8, C9)의 시정수 전압에 의해 제2도(e)와 같은 레벨의 신호전압이 출력되어진다. 그러면 카운터 발진부(A3)의 출력단자(3)로부터 출력되어진 제2도(e)의 신호는 다이오드(D3)와 저항(R27)을 거쳐 트랜지스터(Q8, Q9)의 콜렉터단에 전달됨으로써 릴레이(RL2)를 통한 경적기(미도시)에는 T6의 시간부터 T7의 시간에 따른 바이브레이션 경적음이 발생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이 수행되어질 때 즉 T6의 시간부터 T7의 시간이내에 경적스위치(SW)가 턴온-오프되어지더라도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코더카운터(A1)내에서의 리셋신호에 의해 T6의 시간부터 T7의 시간 이내에서는 제2도(e)의 바이브레이션 신호가 출력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T7의 시간부터 T8의 시간이 경과하게 된후 경적스위치(SW)가 턴온-오프되어졌을 경우에는 최초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5)가 동작하의 제2도(c)와 같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 중요한 파생경적음과 바이브레이션경적음을 혼용으로 사용하되 최초 1주기의 파생경적음이 발생되어지는 시간이내에 다시 경적스위치(SW)가 턴온-오프되어지더라도 최초 발생된 파생경적음이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진 후 일정시간이 지나야만 바이브레이션경적음이 턴온-오프신호에 의해 발생되어지도록 고려한 것으로서 경적음의 품위를 한층더 높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경적음 발생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적스위치(SW)의 일측단자에 저항(R1, R3), (R17, R19)과 트랜지스터(Q6), (Q1)을 각각 연결하고 그 콜렉터안에 저항(R13, R14), (R26, R27)과 다링톤 접속된 트랜지스터(Q2, Q3), (Q8, Q9) 및 릴레이(RL1), (RL2)를 연결하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각각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저항(R5) 및 저항(R4)과 콘덴서(C2)를 병렬연결하여 저항(R5)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접속시키고 그 콜렉터단에 저항(R6)과 콘덴서(C2)를 연결하여 디코더 카운터(A1)의 입력단자(14)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자(3)는 가변저항(VR1, VR2)과 저항(R8-R12) 및 콘덴서(C5)가 접속된 카운터발진부(A)의 입력단자(10)에 연결하여 그 출력단자(9)는 다이오드(D2)를 거쳐 저항(R13, R14) 및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자 사이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서 저항(R15, R16)을 연결하여 일축은 카운터 발진부(A2)의 출력단자(11)에 접속하고 타측은 저항(R28, R29)을 거쳐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단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23-R25)과 가변저항(VR3, VR4) 및 콘덴서(C7-C9)가 접속된 카운터 발진부(A3)의 출력단자(3)에 연결된 다이오드(D3)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92021643U 1992-11-05 1992-11-05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950001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643U KR950001720Y1 (ko) 1992-11-05 1992-11-05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643U KR950001720Y1 (ko) 1992-11-05 1992-11-05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45U KR940012345U (ko) 1994-06-18
KR950001720Y1 true KR950001720Y1 (ko) 1995-03-13

Family

ID=1934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643U KR950001720Y1 (ko) 1992-11-05 1992-11-05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7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45U (ko) 199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4022A (en) Transit vehicle door signal apparatus
KR95000172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JP2830847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2852205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09147269A (ja) 警報音響装置
JPH10291438A (ja) 車両用の可変ラウドネスホーン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92000721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940020670A (ko) 캐패시터와 저항기로 구성된 필터 회로(filter circuit including resistor and capacitor)
KR20016950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950001721Y1 (ko) 무극성 접점스위치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 경적음 발생장치
KR940001552A (ko) 톱니파 발진기
KR20015912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7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US4086838A (en) Vibrato signal genera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834617A (ja) 発振回路
KR012414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구동장치
KR100540980B1 (ko) 경보기용 소인신호발생기
KR200159125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206170Y1 (ko) 자동차용 경적음 발생장치
KR950001105Y1 (ko) 차량용 방향 지시장치
SU817745A1 (ru) Синтезатор музыкальной фразы
KR200179901Y1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JPH10214090A (ja) ブザー駆動回路
SU790013A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10297366A (ja) ブザー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