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903Y1 -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 Google Patents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903Y1
KR200179903Y1 KR2019990025798U KR19990025798U KR200179903Y1 KR 200179903 Y1 KR200179903 Y1 KR 200179903Y1 KR 2019990025798 U KR2019990025798 U KR 2019990025798U KR 19990025798 U KR19990025798 U KR 19990025798U KR 200179903 Y1 KR200179903 Y1 KR 200179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horn
diode
sound
po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길
Original Assignee
신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길 filed Critical 신영길
Priority to KR2019990025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 경음기의 소리를 두종류의 디지탈음으로 발생될 수 있게 하고, 스위치 입력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되게한 스위치 입력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입력부, 제어부, 여음부, 출력부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서, 입력부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제너다이오드, 저항로 구성하여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여음부를 통해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16번 단자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 베이스에 저항을 통하여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연결하고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 베이스 사이에 두 개의 제너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제너다이오드 사이에 스위치 입력단자와 연결되게 하고,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1, 2번 단자에 세라믹진동자를 구성하여 자체에서 주파수가 발진되게 하고, 2개음이 발생되게 프로그래밍되어 9, 10번 단자를 통해 출력부를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Two sound digital horn working regardless of swich polarity}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 경음기의 소리를 두종류의 디지탈음으로 발생될 수 있게 하고, 스위치 입력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되게한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경음기는 경음기 스위치의 극성에 맞추어 연결하지 않을 경우 경음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경음기 회로에 무리가 생겨 경음기의 고장에 원인이 되었으며 그로인해 사용자가 극성에 따라 경음기 단자에 연결하고자 할시 경음기 단자의 극성을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많은 시간을 낭비하였으며 또한 경적 스위치를 -전원선에만 연결하게 되어 있어 차종에 따라서 추가장치가 부착되는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자동차 경음기는 큰소리를 사용하고 있어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은 자동차 위주의 도로에서의 사용은 별문제가 없으나 주택가, 학교주변의 도로, 또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골목길같은 곳에서 경음기를 사용할시는 사람들이 큰소리의 경음기 소리에 놀라는 경우가 많고, 소음공해를 유발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경음기에 연결사용할 수 있게 하고, 경음기의 소리를 2음으로 하여 주택가 학교주변,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골목길에서 사용할 때 경음기 소리를 한쪽의 스피커에서만 나게하여 작은소리로 발생되게 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은 자동차 위주의 도로에서 큰소리의 전자 쌍음이 발생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력부, 20: 제어부,
21: 세라믹진동자, 30: 여음부,
40: 출력부, Tr1,Tr2: 트랜지스터,
D1: 다이오드, ZD1,ZD2: 제너다이오드,
R1,R2,R3,R4,R5,R6: 저항, MPU: 마이크로프로세서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0), 제어부(20), 여음부(30), 출력부(40)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서,
입력부(10)를 트랜지스터(Tr1)(Tr2), 다이오드(D1), 제너다이오드(ZD1)(ZD2),저항(R1)(R2)(R3)(R4)(R5)(R6)으로 구성하여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여음부(30)를 통해 제어부(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16번 단자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저항(R3)을 통하여 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를 연결하고 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Tr2) 베이스 사이에 두 개의 제너다이오드(ZD1)(ZD2)를 연결하여 제너다이오드(ZD1)(ZD2) 사이에 스위치 입력단자(S)와 연결되게 하고,
제어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1, 2번 단자에 세라믹진동자(21)를 구성하여 자체에서 주파수가 발진되게 하고, 2개음이 발생되게 프로그래밍되어 9, 10번 단자를 통해 출력부(40)를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Tr3∼Tr8은 트랜지스터, C2, C3는 충전용콘덴서, R12, R13은 저항, SP1, SP2는 스피커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존 차량의 경음기 스위치 접점출력이 +극성인 차량과 -극성인 차량등 어느 접점의 차량이라도 경음기에 연결 사용할 수 있게한 것으로,
먼저 경음기 접점 출력이 +극성인 경우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입력단자(S)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너다이오드(ZD2)로 역전류가 흘러 바이어스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Tr2)가 도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바이어스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게 되는 것이다.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면 입력전압이 여음부(30)의 역전압방지용 다이오드(D2)(D3)를 통하여 충전용 콘덴서(C2)(C3)에 전압을 충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각의 충전용 콘덴서(C2)(C3)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3)(Tr4)의 콜렉터쪽으로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어부(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16번 단자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는 입력신호를 전달받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MPU)가 세라믹진동자(21)에서 발진되어진 주파수를 분주하여 9, 10번 단자를 통하여 각기 다른 주파수를 보내는 것이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MPU)는 경음기 스위치의 터치 시간에 따라 두종류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게한 것으로 예를 들어 경음기 스위치의 터치 시간이 0.3초 이하 일때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9, 10번 단자중 한쪽 단자로만 주파수를 보내어 한쪽의 스피커(SP1) 또는 스피커(SP2)만 작동되게 하며, 0.3초 이상 터치할 때는 9, 10번 단자에 각기 다른 주파수를 보내어 두 개의 스피커(SP1)(SP2)가 모두 작동되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로 부터 각기 다른 주파수를 출력부(40)의 바이어스저항(R12)(R13)에 보내지면 트랜지스터(Tr3)(Tr4)가 도통되어 증폭용 트랜지스터(Tr5)(Tr6)(Tr7)(Tr8)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가 스피커(SP1)(SP2)를 구동하여 소리가 울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입력신호가 끊어지게 되면 충전용 콘덴서(C2)(C3)에 충전이 정지되고 서서히 방전을 시작하게 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PU)는 입력신호가 끊어져도 충전용콘덴서(C2)(C3)의 방전시간만큼 주파수 발진을 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3)(Tr4)는 계속 도통되어 스피커(SP1)(SP2)가 충전용콘덴서(C2)(C3)가 완전히 방전될 동안 서서히 작어지는 소리로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입력부(10)의 입력단자(S)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너다이오드(ZD1)에 역전류가 흘러 베이스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어 전기 +전압이 인가될 때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경음기 스위치 접점출력의 극성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뿐 아니라 극성을 잘못 연결하여 생기는 피해가 전연 없으며 차종에 구애 받지않고 어느 차종에나 사용할 수 있어 사용보수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경음기 스위치의 터치시간에 따라, 작은 소리와 큰소리로 구분 발생시킬 수 있어 큰소리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는 주택가, 학교주변 및 사람이 많이 다니는 도로등에서는 작은 소리로 발생시킬 수가 있어 행인들의 짜증을 해소할 수 있고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입력부(10), 제어부(20), 여음부(30), 출력부(40)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서,
    입력부(10)를 트랜지스터(Tr1)(Tr2), 다이오드(D1), 제너다이오드(ZD1)(ZD2), 저항(R1)(R2)(R3)(R4)(R5)(R6)으로 구성하여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여음부(30)를 통해 제어부(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16번 단자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저항(R3)을 통하여 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를 연결하고 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Tr2) 베이스 사이에 두 개의 제너다이오드(ZD1)(ZD2)를 연결하여 제너다이오드(ZD1)(ZD2) 사이에 스위치 입력단자(S)와 연결되게 하고,
    제어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1, 2번 단자에 세라믹진동자(21)를 구성하여 자체에서 주파수가 발진되게 하고, 2개음이 발생되게 프로그래밍되어 9, 10번 단자를 통해 출력부(40)를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KR2019990025798U 1999-11-23 1999-11-23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KR200179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798U KR200179903Y1 (ko) 1999-11-23 1999-11-23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798U KR200179903Y1 (ko) 1999-11-23 1999-11-23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898 Division 1998-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903Y1 true KR200179903Y1 (ko) 2000-04-15

Family

ID=1959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798U KR200179903Y1 (ko) 1999-11-23 1999-11-23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9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845B2 (ja) 車両盗難警報音駆動回路
KR200179903Y1 (ko)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US6897766B2 (en) Vibrator controlling circuit
JP3121250B2 (ja) 警報音響装置
JP3620766B2 (ja) 増幅器用電圧供給回路
JP4274520B2 (ja) 発振振幅検出回路、発振回路及び発振用集積回路
JP3952661B2 (ja) 超音波センサ
KR930003118B1 (ko) 다기능 전자 클랙슨
KR19990050884A (ko) 냉장고 부저구동장치
KR20016950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159127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92000721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200179901Y1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100540980B1 (ko) 경보기용 소인신호발생기
KR200151266Y1 (ko) 오디오시스템에서 전원 온/오 프시 잡음 제거 회로
JPS6122345Y2 (ko)
JPH0129865Y2 (ko)
JP3076233B2 (ja) 警報音響装置の駆動回路
JPS6324554Y2 (ko)
JP3172458B2 (ja) 無線機
KR950001105Y1 (ko) 차량용 방향 지시장치
JPH09265593A (ja) 警報音響装置
KR20020092106A (ko) 휴대폰의 진동세기 조절 장치
JPS6221055Y2 (ko)
JP2587527B2 (ja) スイッチ・レシー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