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74Y1 - 렌즈 캡 - Google Patents

렌즈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74Y1
KR200159074Y1 KR2019970020591U KR19970020591U KR200159074Y1 KR 200159074 Y1 KR200159074 Y1 KR 200159074Y1 KR 2019970020591 U KR2019970020591 U KR 2019970020591U KR 19970020591 U KR19970020591 U KR 19970020591U KR 200159074 Y1 KR200159074 Y1 KR 200159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cap
title
cap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77U (ko
Inventor
쯔또무 안자이
아끼라 이소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riority to KR2019970020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6Lens caps for exposure ma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타이틀화를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등의 카메라 촬영렌즈, 특히, 접사가능한 촬영렌즈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이는 렌즈캡을 개시하고 있으며, 그 렌즈캡의 일부에는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붙이고 뗄수 있게 설치할 수 있는 영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티이틀 설치 영역에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설치하여 상기 기술한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렌즈에 입혀 붙인 상태에서 타이틀 요소를 촬영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렌즈캡
본 고안은 새로운 렌즈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소위 타이틀화의 촬영을 행하는 비디오 카메라등의 카메라 촬영렌즈로서, 특히 예를 들어 매크로(macro) 촬영이 가능한 줌렌즈나 교환 매크로 렌즈등의 접사가능한 촬영렌즈에 붙이고 뗄수 있도록 입혀 붙일 수 있는, 타이틀화의 촬영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고(fluctuation) 촬영할 수 있는 새로운 렌즈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은 필요에 따라 타이틀화를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등의 카메라 촬영렌즈, 특히, 접사가능한 촬영렌즈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이는 렌즈캡으로서, 그 일부에 타이틀 요소를 설치할 수 있는 영역을 설치하므로써, 렌즈캡을 촬영렌즈에 입혀 붙인한 상태에서 타이틀화를 접사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또는 그 중간부분에 다른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삽입하는등의 편집을 행하고, 이와 같은 편집을 행할 때, 이 촬영내용의 표제문자와 커트 문자 또는 그림등(이하, 이들을 「타이틀 요소」라 함)으로 이루어진 화상(이하, 「타이틀화」라 함)을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에 삽입한다.
또한, 최근에는 소위 「타이틀 이중촬영 기능」을 구비한 비디오 카메라가 개발되었고, 이 기능을 구비한 비디오 카메라는 촬영렌즈를 사용하여 촬영한 최소한 1개의 스틸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이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을 화상 기록부로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촬영에 앞서서, 종이등에 기록된 타이틀 요소를 촬영한 스틸(steel) 타이틀화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여 두면, 촬영중 피사체 화상에 상기 타이틀화를 이중으로 기록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타이틀화를 촬영하려는 방법중에는 예를들어 타이틀 요소를 쓴 종이를 벽에 붙여 두거나 혹은 사람에게 소지시켜 타이틀 요소를 촬영하는 몇가지 방법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틀화 촬영에 사용하기 위한 특별한 보조구(a)도 있다.
즉, 이 보조구(a)는 기초부의 끝에 설치된 나사(b)와, 지지편(c)이 수직으로 형성된 선단부를 갖는 아암(d)과, 이 지지편(c)에 지지되어 타이틀 요소를 기재한 종이(이하, 「타이틀 기재종이」라 함)가 붙이고 뗄수 있게 장착된 스크린테(screen frame)(e)로 이루어지며, 아암(d)의 설치나사(b)를 비디오 카메라(f)의 케이스(g)의 하면에 설치된 삼각촬영대 설치용의 나사홈에 끼워 보조구(a)를 비디오 카메라(f)에 설치하고, 동시에 스크린테(e)에 타이틀 기재종이를 장착하므로써 타이틀 기재종이가 촬영렌즈(h)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타이틀화 촬영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행하여지기는 하나, 타이틀 기재종이를 벽등에 붙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나 피사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촬영장소를 한정하고 동시에 신중하게 촬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보조구(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사체인 타이틀 기재종이와 비디오 카메라(f)사이의 위치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할 수가 있으므로, 카메라나 피사체가 흔들리는 상태에서 촬영이 일어날 염려는 없으나, 보조구(a)를 이용하게 되는 비용만큼 타이틀화의 촬영 비용이 높아지며 이것을 카메라(f)에 고정하는데 번거럽고, 또한, 옥외 촬영 현장에서 타이틀화의 촬영을 할 때는 이 보조구(a)를 일일이 운반해야 되므로 취급에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촬영렌즈중에는 접사가능한 매크로 렌즈 또는 접사가능한 줌렌즈등이 있고, 게다가 많은 비디오 카메라가 이러한 줌 렌즈를 장착렌즈로서 비치하고 있으며, 혹은 접사가능한 렌즈가 교환렌즈로서 준비되어 있다. 이들 매크로 렌즈와 줌렌즈는 일반적으로, 촬영거리, 즉, 피사체와 촬영렌즈간의 거리가 수센치미터 혹은 그 이하의 극히 짧은 거리일지라도 초점을 맞출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렌즈캡은 접사가능한 촬영렌즈의 선단부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일 수 있는 렌즈캡으로서, 이 렌즈캡의 일부에는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붙이고 뗄수 있게 설치할 수 있는 영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렌즈캡에 의하면, 상기 영역에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설치하여 촬영렌즈에 입혀 붙이므로써 타이틀 요소를 촬영할 수가 있어, 티이틀 기재 종이 등을 벽에 붙이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같은 보조구(a)에 지지하지 않더라도 타이틀 요소의 촬영을 매우 간단히 행할 수가 있고, 그리고 피사체인 타이틀 요소와 촬영렌즈간의 위치관계가 서로 고정된 상태로 타이틀 요소의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카메라 브레를 일으키지 않고 촬영할 수가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렌즈에 붙이고 뗄수 있는 제1실시예의 렌즈캡으로서,
제1도는 렌즈캡이 부착된 상태의 비디오 카메라를 일부 절단하여 측면에서 본 측면도.
제2도는 비디오 카메라와 렌즈캡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타이틀 기재종이가 지지된 상태에서 렌즈캡의 확대 정면도.
제4도는 렌즈캡과 타이틀 기재종이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5도는 타이틀 기재종이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 2실시예의 렌즈캡의 배면도.
제7는 제6도의 Ⅶ-Ⅶ선에 따라 절단된 렌즈캡의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8도는 제 3 실시예의 렌즈캡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제 3 실시예의 렌즈캡의 배면도.
제10도는 도 9에 도시된 Ⅹ-Ⅹ선에 따라 절단된 렌즈캡의 단면도.
제11도는 타이틀화의 촬영에 사용되는 보조구가 설치된 상태의 비디오 카메라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촬영렌즈 30, 41, 56 : 렌즈캡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렌즈캡을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는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렌즈캡을 비디오 카메라용의 렌즈캡에 적용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먼저, 비디오 카메라(1)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그 다음 렌즈캡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부호(2)는 비디오 카메라(1)의 케이스이며, 그 좌측면(3)의 후부에 카세트 착탈구(4)가 형성됨과 함게, 이 카세트 착탈구(4)를 개폐하는 덮개(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덮개(5)의 내면에는 테이프 카세트(6)가 붙이고 뗄수 있게 장착되는 카세트 홀더(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카세트 홀더에 테이프 카세트(6)을 삽입한 상태로 덮개(5)를 카세트 착탈구(4)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테이프 카세트(6)가 케이스(2)내의 기록 재생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7)는 케이스(2)의 앞면(8)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촬영렌즈이며, 이 촬영렌즈(7)는 복수의 고정렌즈(도시하지 않음)와 움직일 수 있는 렌즈가 설치된 렌즈 경통(7a)과, 이 렌즈 경통(7a)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전 될 수 있도록 밖에서 끼우고, 또한, 회전시에는 소정의 이동가능한 렌즈중 하나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줌 링(zooming ring)(9) 및 포커싱 링(10) 등을 포함하며, 줌 링(9)에는 조작손잡이(11)와 잠금해제 버튼(12)이 설치되어 있다.
줌 링(9)을 회전할때에는, 바리에터(variator) 렌즈가 이동되므로써 촬영렌즈(7)에 잡히는(촬영되는) 피사체 화각이 변경되고 그리고 포커싱 링(10)의 회전과 함께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어 초점이 맞게된다. 또한, 잠금해제 버튼(12)을 누르면 줌 링(9)이 또다시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가 있고, 줌 링(9)이 상기 기술된 범위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 촬영렌즈(7)는 접사가능한 매크로 렌즈로서 기능하고, 최단 촬영거리 약 6밀리미터까지의 접사를 행할 수가 있다.
도면부호(13)는 포커싱링(10)의 전단부에 붙이고 뗄수 있게 나사의 홈에 입혀 붙인 렌즈후드를 표시한다.
도면부호(14)는 마이크로폰를, 도면부호(15)는 케이스(2)의 상면(16)의 후부에 지지된 EVF(electronic view finder)를, 도면부호(15a)는 EVF(15)와 케이스(2)내에 설치된 회로와 접속하는 접속코드를, 도면부호(17)은 케이스(2)의 우측면(18)에서 돌출된 배터리 장착부를, 도면부호(19)는 그립벨트를 표시한다.
도면부호(20)는 케이스(2)의 상면(16)에 설치된 모드 선택 버튼이며, 이 선택버튼(20)은 모두 3개의 위치, 즉 비디오 카메라(1) 모드로서 카메라 기능을 갖게 되는 위치와, 재생모드의 위치와, 카메라 모드와 재생모드중 어느 모드도 실행되될수 없는 오프 모드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21, 21, …)는 비디오 카메라(1)의 모드가 재생모드인 경우에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표시하며, 이 조작버튼은 예를 들면, 재생버튼, 테이프 앞으로 감기 버튼, 테이프 되감기 버튼, 정지버튼, 일시정지버튼 등이다.
도면부호(21, 21, …)는 촬영중에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표시하며, 예를 들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자동/수동 전환버튼, 포커싱의 자동/수동 전환버튼, 포커싱 버튼, 역광보정 버튼 등이다.
도면부호(23, 24 및 25)는 타이틀화의 촬영과 저장시 조작하는 조작버튼을 표시하며, 도면부호(23)는 타이틀 화를 읽어들이기 위한 판독버튼, 도면부호(24)는 타이틀화의 색을 선택하는 색 선택버튼, 도면부호(25)는 판독된 타이틀화와 선택한 색을 메모리에 저장시키거나 또는 메모리에 기억된 타이틀화를 녹화회로에 출력시키기 위한 온/오프 버튼을 표시한다.
도면부호(26)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7)의 후단부에 배치된 촬영버튼을 표시하며, 이 촬영버튼(26)을 눌러 비디오 카메라(1)의 촬영을 개시한다.
도면부호(27)는 스탠바이 버튼으로서, 상기 촬영버튼(26)에 바로 윗부분에 위치하는 비스탠바이 위치와, 이 비스텐바이 위치의 윗부분(상기 촬영렌즈에 멀리 떨어진 윗부분)에 위치한 스텐바이 위치 사이를 이동시켜, 스탠바이 위치에 놓이게 될 때, 비디오 카메라(1)는 촬영할 수 있게 되거 또는 타이틀화를 판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면부호(28)는 전동 줌 버튼을 표시하고, 도면부호(29)는 카세트 설정 버튼을 표시한다.
상기 모드 선택 버튼(20)이 촬영 모드 선택위치로로 이동되고, 그리고 스텐바이 버튼(27)이 스텐바이 위치로 이동될 때, 카메라 기능 모드로 전환된 비디오 카메라(1)의 촬영렌즈(7)에 의해 포착된 피사체의 화상이 EVF(15)의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이때 촬영버튼(26)을 누르면, 촬영렌즈(7)에 의해 포착된 화상 및 마이크로폰(14)에 의해 포착된 음성이 기록 재생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6)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게 된다.
촬영중의 줌잉(zooming)은 전동 줌 버튼(28)을 조작하여 전동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줌 링(9)을 손으로 돌리므로서 실행된다. 포커싱은 자동으로, 혹은 포커싱 링(10)을 손으로 돌리므로서 실행된다.
게다가, 접사는 줌 링(9)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해제 버튼(12)을 눌러 줌 링(9)이 매크로 포커스의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그리고 초점을 맞춰가면서 행한다.
접사할 때, 렌즈 후드(13)가 장애가 되는 경우는 렌즈 후드(13)를 밖으로 떼어내면 좋다.
타이틀화의 기억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즉, 스텐바이 버튼(27)을 스텐바이 위치로 이동하고 타이틀 기재종이등에 촬영렌즈(7)를 향하게 하면서, EVF(15)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보면서 초점을 맞추고, 이때 판독버튼(23)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틀 요소의 화상이 전기 신호로서 변환되어 기록 재생 회로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에 일시 기억된다.
다음에, 색 선택 버튼(24)을 누르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색을 제각기 뜻하는 약자가 EVF(15)의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버튼을 다시 누를 때마다 약자 표시는 전환되며, 희망하는 색이 표시될대, 온/오프 버튼(25)을 누른다.
이때, 선택된 색 신호와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타이틀화 신호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동시에 EVF(15)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사라진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하여 저장된 타이틀화는, 촬영버튼(26)이 촬영을 개시하도록 눌려진 상태에서, 온/오프 버튼(25)을 누를때, 촬영중의 피사체 화상에 겹쳐져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도면부호(30)는 렌즈 후드(13)를 거쳐서 비디오 카메라(1)의 촬영렌즈(7)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이는 렌즈캡을 표시하며, 주로, 촬영렌즈(7)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캡(30)은 렌즈후드(13)의 앞쪽 끝부분(13a)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판형인 주부(31)와 이 주부(31)의 바깥쪽 둘레의 가장자리에서 비디오 카메라(1)쪽으로 돌출한 원판형의 걸어맞춤부(32)를 포함하며, 두 부분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주부(31)의 두께방향에서 거의 중앙부에는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거의 장방형상을 이루는 공간(33)이 형성되고 동시에 이 공간(33)과 내면(31a)(비디오 카메라(1)쪽의 면) 및 외면(31b)사이에 공간(33)보다 작은 장방형의 윈도우(34, 3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36 및 37)는 투명 또는 유백색 등의 반투명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투광스크린을 표시하며, 이들 투광스크린(36 및 37)은 상기 공간(33)의 폭, 즉, 주부(31)의 두께방향에 따른 크기의 거의 1/3의 두께를 가지며, 앞쪽의 투광스크린(37)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쪽의 가장자리에 돌출부(37a, 3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투광스크린(36 및 37)은 투광스크린의 두께방향에서 대향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37a, 37a)에 의해 대향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공간(33)내에 수납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2장의 투광스크린(36 및 37) 사이에 상기 윈도우(34, 35)보다 큰 장방형상의 얇은 공간(이하, 「타이틀 삽입부」라 함)(38)이 형성되게 된다.
도면부호(39)는 상기한 타이틀 삽입부(38)의 길이방향에서 한쪽 끝과 주부(3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도입 슬릿이다.
또한, 한 투광스크린(36)은 투명하고, 그리고 다른 투광스크린(37)은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렌즈캡(30)은 촬영렌즈를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타이틀화 촬영을 보조하는 기능도 갖는다.
즉, 렌즈캡(3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1)의 렌즈후드(13)의 앞쪽 끝부분(13a)에 걸어맞춤부(32)를 밖에서 걸어 맞추어, 이 렌즈후드(13)를 거쳐서 촬영렌즈(7)에 입혀 붙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촬영렌즈(7)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타이틀 기재종이를 타이틀 삽입부(38)에 삽입한 상태에서 렌즈후드(13)에 붙이면, 타이틀화의 촬영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도면부호(40)으로 표시된 타이틀 기재종이(40)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종이 혹은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 사용되고, 타이틀 삽입부(38)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고, 또한, 타이틀 삽입부(38)의 길이의 거의 1.5배의 길이를 갖는 거의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에서 한쪽에 치우친 부분에 상기 윈도우(34, 35)와 거의 같은 크기의 기재테(40a)(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이 기재테(40a)내에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타이틀 기재종이(40)의 기재테(40a)내에 비교적 진한색의 잉크로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기재하여, 타이틀 기재종이(40)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입슬릿(39)를 통해서 렌즈캡(30)의 타이틀 삽입부(38)에 삽입하고, 그리고 렌즈캡(30)을 렌즈 후드(13)에 붙이고, 스탠바이 버튼(27)을 스텐바이 위치로 이동하면, 촬영렌즈(7)가 타이틀 기재종이(40)에 기재된 타이틀 요소를 포착하고, 그 포착된 화상이 EVF(15)에 표시되게 된다.
타이틀 기재종이(40)에 대한 초점 맞춤은 매크로 촬영시의 조절범위내에서 줌 링(9)을 돌리므로서 실행된다.
이때 입력버튼(23)을 누르면, 타이틀 기재종이(40)에 기재된 타이틀 요소가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색선택 버튼(24)을 이용하여 색을 지정하였을 때, 온/오프 버튼(25)을 눌러서 타이틀 요소를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또한, 타이틀 기재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안쪽의 투광스크린(36)에 수정펜등을 통해서 직접 타이틀 요소를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의 제 2 실시예(41)를 도시한다.
렌즈캡(41)은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캡 본체(42)와 이 캡 본체(42)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종이 누름(paper press)(43)으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44)는 캡 본체(42)의 주부을 표시하며, 이 주부는 상기 렌즈 후드(13)의 앞쪽 끝부분(13a)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주부의 바깥둘레에 둥근고리 모양의 걸어맞춤부(45)가 비디오 카메라쪽으로 향해서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주부(44)의 내면(44a)에는 4개의 위치결정 돌출부(46a, 46b, 46c 및 46d)와 2개의 지지 돌출부(47, 47)를 걸어 맞추기 위한 1개의 돌출부(48)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돌출부(46a, 46b, 46c 및 46d)중의 2개의 위치결정 돌출부(46a, 46b)는 주부(44)의 중앙부 양단으로 치우쳐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다른 2개의 위치결정 돌출부(46c, 46d)는 주부(44)의 아래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약간 좌우로 떨어져 배치되고, 또한 2개의 지지 돌출부(47, 47)는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46c, 46d)보다 더 아래 위치에 좌우로 떨어져 배치되며, 걸리는 돌출부(48)는 주부(44)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걸리는 돌출부(48)의 앞쪽 끝부분에는 지지 돌출부(47, 47)쪽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이누름(43)은 캡 본체(42)의 걸어맞춤부(45)의 내주면에 내접하는 정방형보다 약간 적은 거의 정방형 형상의 누름판(49)과 이 누름판(49)의 아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 설치된 돌출 조작(일체형으로 형성됨)(50)과, 그리고 돌출 조각(50)의 누름판(49)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두꺼운 힌지부(51)와, 또한 돌출 조각(50)의 아래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에서 좌우 양쪽 끝에 형성된 장착 구멍(52, 52)(도 7에 1개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캡 본체(42)에 설치된 상기 지지 돌출부(47, 47)는 종이누름(43)의 장착 구멍(52, 52)에 삽입되며, 또한, 지지 돌출부(47, 47)의 장착 구멍(52, 52)에서 돌출한 부분은 열간 또는 냉간 스테이킹(staking)을 통해 캡 본체(42)의 주부(44)의 내면(44a)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이누름(43)은, 누름판(49)이 캡 본체(42)의 주부(44)의 내면(44a)에 접촉될 수 있거나 또는 떨어질 수 있는 상태에서, 회전축 지점인 종이누름(43)의 힌지부(51)를 통해 캡 본체(4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종이누름(43)의 누름판(49)의 위치가 상기 누름판(49)이 캡 본체(42)의 주부(44)에 겹쳐지는 위치(이하, 「종이 누름위치」라 함)일때, 위치결정 돌출부(46, 46, …)가 위치결정 구멍(53, 53, …)에 삽입되므로써 누름판(49)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46a, 46b, 46c 및 46d)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46a, 46b, 46c 및 46d)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의 위치결정 구멍(53, 53, …)이 형성된다.
그래서, 누름판(49)이 종이누름 위치에 놓이게 될 때, 회전 끝 가장자리가 캡 본체(42)의 걸리는 돌출부(48)의 걸어맞춤부(48a)와 걸리도록 한다.
도면부호(54)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도시한 타이틀 기재종이(40)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타이틀 기재종이이며, 종이누름(43)의 누름판(49)보다 작은 방형형상으로 형성된다.
타이틀 기재종이(54)를 렌즈캡(41)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누름(43)의 누름판(49)을 회전하여 캡 본체(42)의 주부(44)에서 어느정도 떨어지도록 하고, 그리고 캡 본체(42)의 위치결정 돌출부(46, 46, …) 및 걸리는 돌출부(48)에 의해 감싸여 있는 영역(55)내에 타이틀 기재종이(54)를 배치하고, 이어서 누름판(49)을 종이누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타이틀 기재종이(54)는 캡 본체(42)의 주부(44)와 종이누름(43)의 누름판(43)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렌즈캡(41)에 유지된다.
또한, 누름판(49)이 종이누름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이 누름판(49)을 주부(44)에서 떨어 뜨릴때는, 주부(44)에 설치된 걸리는 돌출부(48)의 앞쪽 끝을 윗방향으로 휘도록 하여 누름판(49)의 회전 끝쪽의 가장자리를 손끝으로 잡아서 앞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타이틀 기재종이(54)를 사용하지 않고, 주부(44)에 설치된 영역(55)이나 이 영역(55)에 대응한 누름판(49)의 위치에 수성펜등으로 직접 타이틀 요소를 기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의 제 3 실시예(56)를 도시한다.
렌즈캡(56)은 투명 혹은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캡 본체(57)와 이 캡 본체(57)에 걸거나 뗄수 있도록 설치되는 종이누름(58)을 포함한다.
또한, 캡 본체(57)과 종이누름(58)의 각 부분중에서 제 2의 실시예에 도시한 렌즈캡(41)의 캡 본체(42)와 종이누름(43)과 같은 구조 혹은 같은 기능을 갖는부분에 대해서는 제 2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같은 도면부호로 표시하였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부호(59, 59, …)는 캡 본체(57)의 걸어맞춤부(45)의 내면에 서로 중심각에서 거의 90。 떨어진 위치(대칭적임)에 형성된 거의 반구형상의 걸리는 돌출부를 가리킨다.
따라서, 종이누름(58)을 캡 본체(57)의 주부(44)의 내면(44a)과 겹쳐지도록 걸어맞춤부(45)의 안에 끼워 맞히면, 그 바깥 둘레에 캡 본체(57)에 형성된 상기 걸리는 돌출부(59, 59, …)가 걸리게 되어서 캡 본체(57)에 겹쳐진다.
도면부호(60)는 주부(44)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이다.
타이틀 기재종이(54)를 캡 본체(57)의 주부(44)의 위치결정 돌출부(46a, 46b, 46c 및 46d)와 상기 구멍(60)에 의해 감싸인 영역(61)에 배치한 상태에서, 종이누름(58)을 캡 본체(57)에 설치하면, 타이틀 기재종이(54)가 캡 본체(57)와 종이누름(58)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렌즈 캡(56)에 유지되게 된다.
타이틀 기재종이(54)를 렌즈캡(56)에서 빼낼때는, 캡 본체(57)의 주부(44)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60)에 손가락등을 앞면쪽으로 삽입하여 종이누름(58)의 상단부를 밀면, 종이누름(58)은 그 둘레부분의 걸리는 돌출부(59, 59, …)로부터 벗어나므로, 그에 따라서 종이누름(59)을 캡 본체(57)에서 빼내고, 이어서, 타이틀 기재종이(54)를 캡 본체(57)에서 빼내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타이틀 기재종이(54)를 사용하지 않고 캡 본체(57)의 주부(44)의 영역(61)이나 종이누름(58)의 영역(61)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성펜등으로 타이틀 요소를 직접 기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캡은 접사가 가능한 촬영렌즈의 선단부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이는 렌즈 캡으로서, 타이틀 요소를 붙이고 뗄수 있도록 설치한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임의의 타이틀화의 촬영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렌즈캡의 타이틀 설치 영역에 설치한 상태에서 촬영렌즈에 렌즈캡을 입혀 붙이하므로써, 상기 타이틀 요소의 촬영을 실행할 수가 있어서 타이틀 기재종이등을 벽에 걸어두거나, 또는 매우 큰 유지구에 유지할 필요없이 타이틀 촬영을 실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그 촬영은 피사체인 타이틀 요소와 촬영렌즈와의 위치관계가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카메라의 흔들림이 없이 타이틀 촬영을 실행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은 타이틀화를 촬영하는데 있어서, 특별한 보조구등을 사용하지 않고, 촬영장소를 선택할 필요도 없으며 더욱이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타이틀화 촬영을 실행할 수가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틀 배치영역의 구조는 광을 투과하는 2개의 판모양의 부재 사이에 타이틀 기재종이를 삽입케 하는 구조였으나, 타이틀 배치영역은 각 실시예에서 실시된 이와 같은 구조의 타이틀 배치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의 타이틀 배치영역은 임의의 타이틀 요소를 붙이고 뗄수 있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좋다. 예를 들면, 타이틀 기재종이의 측면 가장자리와 측면 모서리를 걸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삽입할 수가 있는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 이들 걸어맞춤부에 의해 타이틀 기재종이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도 좋다. 또한, 렌즈와 대향하는 최소한의 렌즈캡 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며, 소정의 잉크를 부착시킬 수 있고, 또한 이것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이 부분에 소정의 잉크펜등으로 직접 타이틀 요소를 기재할 수 있는 구조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고안은 렌즈후드를 거쳐서 촬영렌즈에 붙이고 뗄수 있는 렌즈캡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렌즈캡은 렌즈후드를 거치지 않고서도 직접 촬영렌즈의 선단부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이는 렌즈캡에 적용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비디오 카메라 촬영렌즈용의 렌즈캡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카메라 촬영렌즈용의 렌즈캡에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카메라 렌즈의 렌즈캡에 있어서, (a) 렌즈캡 본체와, (b) 상기 렌즈캡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투광 스크린-이들 사이에는 얇은 공간이 한정된다-과, (c) 렌즈캡을 카메라에 붙이고 뗄수 있게 입혀 붙이는 수단-상기 수단은 상기 렌즈캡 본체로부터 제 1 방향(두께방향)으로 설치된다-과, (d) 상기 제 1 및 제 2 투광 스크린사이의 상기 얇은 공간에 삽입된 타이틀 요소-인디시아(indicia)을 가지고 있다-를 포함하는 렌즈캡으로서, 상기 렌즈캡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인디시아로부터 투과되는 광 투과 경로를 한정하므로써, 상기 인디시아는 상기 제 1 투광 스크린과 제 2 투광 스크린을 통해 카메라 렌즈에 포착되며, 상기 렌즈캡은 상기 렌즈에 광이 투과되는 동안에 상기 렌즈와 상기 타이틀 요소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 요소는 투광재료로 이루어진 렌즈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 요소는 백색재료로 이루어진 렌즈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 요소는 적어도 합성수지의 투명재료나 또는 반투명재료로 이루어져 타이틀이 기재된 타이틀 기재종이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캡 본체는 그 본체내에 한정된 제 1 및 제 2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틀 기재종이가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린이 수용되는 공간이 상기 렌즈캡 본체의 주부에서 상기 제 1 윈도우와 제 2 윈도우 사이에 제공되는 렌즈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린은 주부분과 측면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고, 다수의 돌출부가 상기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스크린과 인접하여 상기 스크린들 사이에 상기 얇은 공간을 유지하는 렌즈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캡 본체는 안쪽의 윈도우와 바깥쪽의 윈도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쪽의 윈도우와 바깥쪽의 윈도우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렌즈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린 각각은 상기 안쪽과 바깥쪽의 윈도우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폭에 1/3인 두께를 갖는 렌즈캡.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과 바깥쪽의 윈도우는 각기 정방형 형상인 렌즈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린은 각기 정방형 형상인 렌즈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스크린은 주부분과 측면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고, 다수의 돌출부가 상기 측면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방향에서 설치되며, 상기 제 1 스크린에 인접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크린들 사이에 한정된 상기 얇은 공간을 유지하는 렌즈캡.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린사이에 한정된 상기 얇은 공간내에 상기 타이틀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도입슬릿이 상기 렌즈캡 본체의 바깥쪽 둘레방향에 형성되는 렌즈캡.
KR2019970020591U 1987-08-06 1997-07-31 렌즈 캡 KR200159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91U KR200159074Y1 (ko) 1987-08-06 1997-07-31 렌즈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97210A JPS6440825A (en) 1987-08-06 1987-08-06 Lens cap
JP87-197210 1987-08-06
KR1019880009975A KR890004200A (ko) 1987-08-06 1988-08-05 렌 즈 캡
KR2019970020591U KR200159074Y1 (ko) 1987-08-06 1997-07-31 렌즈 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975A Division KR890004200A (ko) 1987-08-06 1988-08-05 렌 즈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77U KR19990007077U (ko) 1999-02-25
KR200159074Y1 true KR200159074Y1 (ko) 1999-10-15

Family

ID=163706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975A KR890004200A (ko) 1987-08-06 1988-08-05 렌 즈 캡
KR2019970020591U KR200159074Y1 (ko) 1987-08-06 1997-07-31 렌즈 캡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975A KR890004200A (ko) 1987-08-06 1988-08-05 렌 즈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62942A (ko)
EP (1) EP0302740B1 (ko)
JP (1) JPS6440825A (ko)
KR (2) KR890004200A (ko)
AU (1) AU622621B2 (ko)
DE (1) DE38537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249A1 (en) * 1993-05-10 1994-11-24 Psc Inc. Bar code scanner with field replaceable window
US6204881B1 (en) 1993-10-10 2001-03-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combine a plurality of images at different exposures into an image with a wider dynamic range
US5887009A (en) * 1997-05-22 1999-03-23 Optical Biopsy Technologies, Inc. Confocal optical scanning system employing a fiber laser
US20070035699A1 (en) * 2005-08-10 2007-02-15 Mckee Joel V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contemporaneous notes with photographed images using a camera slate
US20090002823A1 (en) * 2007-06-30 2009-01-01 David Law Permanently-Affixed Lens Cap
US7717630B1 (en) 2007-09-07 2010-05-18 Kevin Wan Lens cap with integral reference surface
US7843504B2 (en) * 2007-09-27 2010-11-30 Chung-Ho Jim Lee Camera cap with a white balance insert
AT507236B1 (de) * 2008-09-12 2010-06-15 Swarovski Optik Kg Schutzkappe
US8681267B2 (en) * 2011-08-21 2014-03-25 James Edward Sale Lens cap with storage device
KR101256351B1 (ko) * 2011-11-22 2013-04-19 김석진 필터 삽입공을 갖는 카메라 후드
US9683812B2 (en) 2014-03-04 2017-06-20 Sheltered Wings, Inc. Optic cover with releasably retained display
US10900748B2 (en) 2014-03-04 2021-01-26 Sheltered W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DOPE chart
US10240897B2 (en) 2014-03-04 2019-03-26 Sheltered Wings, Inc. Optic cover with releasably retain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8594A (en) * 1930-04-21 1939-08-08 Anchor Cap & Closure Corp Closure cap
US2583228A (en) * 1946-07-08 1952-01-22 Numbers William Combined lens cover and lens brush
DE939192C (de) * 1953-09-18 1956-02-16 Zeiss Jena Veb Carl Schutzdeckel aus durchsichtigem Material fuer Objektive oder Okulare optischer Geraete, insbesondere fuer Photoobjektive
US2961108A (en) * 1957-12-19 1960-11-22 Frances S Johnson Magnifying cap for medicine bottle
US3133140A (en) * 1960-09-23 1964-05-12 Winchell Paul Lens cover
US3682055A (en) * 1969-01-31 1972-08-08 Konan Camera Lab Co Ltd Lens cap for camera
DE7029487U (de) * 1970-08-05 1971-02-11 Licentia Gmbh Anordnung zur vermeidung des beschlagens von beobachtungsgeraeten.
US3768688A (en) * 1971-09-08 1973-10-30 Gillette Co Cap
DE2208526A1 (de) * 1972-02-23 1973-08-30 Fritz Kamps Verfahren und adapter zum kennzeichnen von filmen
US3796477A (en) * 1972-09-25 1974-03-12 Xomox Corp Lens housing and lens cover for objective lens ring of an operating microscope
EP0083430A1 (en) * 1981-12-14 1983-07-13 Kenko Co., Ltd. Filter holder for a photographic apparatus
FR2524152A1 (fr) * 1982-03-29 1983-09-30 Alfille Jules Ensemble modulaire permettant la mise en place d'accessoires divers sur un objectif d'appareil optique
JPS6096967A (ja) * 1983-11-01 1985-05-30 Asahi Optical Co Ltd Vtrカメラ用タイトル等の撮像装置
US4687312A (en) * 1984-06-27 1987-08-18 Panavision, Inc. Matte box assembly
US4603785A (en) * 1984-11-19 1986-08-05 Sunbeam Plastics Corp. Tamper indicating closure
JPS61257083A (ja) * 1985-05-10 1986-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2740A2 (en) 1989-02-08
DE3853749D1 (de) 1995-06-14
US5162942A (en) 1992-11-10
AU622621B2 (en) 1992-04-16
EP0302740B1 (en) 1995-05-10
EP0302740A3 (en) 1990-06-13
DE3853749T2 (de) 1995-10-12
KR19990007077U (ko) 1999-02-25
JPS6440825A (en) 1989-02-13
KR890004200A (ko) 1989-04-20
AU2002588A (en) 1989-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9074Y1 (ko) 렌즈 캡
US5255120A (en) Lens cap applicable to a video camera
JP2009271370A (ja) 撮像装置
KR960039860A (ko)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디오카메라
JP2008205973A (ja) 撮像装置
JP2008203683A (ja) レンズフード及び撮像装置
US5727245A (en) Camera
US5523813A (en) Switch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c camera having a panoramic photographing function
JP2554110Y2 (ja) カメラ
JP2621046B2 (ja) 電子カメラ
US5678100A (en) Douser mounting structure for a photographic camera having a panoramic photographing function
JP5040116B2 (ja) 沈胴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7088666A (ja) 撮像装置
JP2007213911A (ja) 電子機器
JP4449654B2 (ja) 電子機器のダイヤル装置
JP2011058603A (ja) ヒンジ装置と、ヒンジ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3218781B2 (ja) 光学ファインダ
JP2006352637A (ja) 撮像装置
JP3823498B2 (ja) 電子カメラ
JP4586458B2 (ja) 撮像装置
JP2003280086A (ja) 使い捨てカメラ用フィルタ装置
JP3669517B2 (ja) カメラ一体型vtr
JPH07146507A (ja) カメラ装置
JP4795301B2 (ja) 撮像装置
JPH0725790Y2 (ja) パノラマ撮影装置付き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3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