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487Y1 -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487Y1
KR200158487Y1 KR2019960055933U KR19960055933U KR200158487Y1 KR 200158487 Y1 KR200158487 Y1 KR 200158487Y1 KR 2019960055933 U KR2019960055933 U KR 2019960055933U KR 19960055933 U KR19960055933 U KR 19960055933U KR 200158487 Y1 KR200158487 Y1 KR 200158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mp
control circuit
indicator lamp
fo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828U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5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487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배터리(B)에서 퓨즈(F1)를 거쳐 멀티 펑션 스위치(SW1)를 통한 전원 공급라인이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20)의 푸쉬버튼 스위치(SW3)와 인디케이터 램프 L4 의 직렬회로를 통해 리어 포그램프 L1, L2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스위치(SW3) 후단과 접지사이에 저항 R 및 다이오드 D1를 통해 스위치 조명램프 L3가 병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리어 포그램프 작동시에만 인디케이터 램프 L4가 점등되므로서 운전자에게 리어 포그 램프의 작동상태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고, 종래 리어 포그 램프용 릴레이를 삭제하여 부품 절감 및 배선의 간단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본 고안은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어 포그 램프를 작동시키는 릴레이의 퓨즈가 끓어졌을 경우 리어포그 램프 스위치 인디케이터 램프가 점등되지 않게 하기 위한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 포그 램프는 유럽 연합 국가들의 자동차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개등과 유사하게 자동차 후방의 리어 범퍼 양측으로 2개의 안개등을 설치한 것이다. 법규에 의하면 리어 포그램프는 별개의 독립 전원회로에 의해 스위치 조작으로 점등되게 하고, 스위치 온 시에 리어 포그램프의 작동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램프를 설치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램프는 통상 운전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내에 스위치 조명램프와 함께 설치된다.
종래의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점화스위치(IGN SW)를 통한 배터리 전원라인이 퓨즈(F)와 릴레이 접점(RY1)을 거쳐 리어 포그램프 L1, L2에 연결되고,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10)의 온(ON) 단자를 통해 배터리 전원이 상기 포그램프 릴레이의 자화코일로 연결되어 있는 한편, 리어 포그 램프 스위치(10) 내의 온 단자 사이에 인디케이터 램프 L4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어 포그 램프 회로에 테일 릴레이 스위치 SW4를 개재하여 스위치(10)의 조명 램프 L3가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자화코일과 접지단 사이로 운전석 도어 스위치 SW2 및 부저 BZ가 연결되는 한편 스위치(10)의 온 단자와 접지단 사이에 멀티펑션 스위치(SW1)가 병렬 연결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SW1)가 2단으로 놓여졌을 때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10)의 온 동작에 의해 리어 포그램프 L1, L2가 점등되는 동시에 인디케이터 램프 L4가 점등되게 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로에서 퓨즈(F)가 끓어졌을 때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10)를 온 시키면, 리어 포그램프 L1, L2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점등이 되지 않으나 리어 포그 램프 스위치(10) 내에 직렬로 연결된 인디케이터 램프 L4가 점등되어 운전자가 이를 보고 리어 포그램프 L1, L2가 점등되어있는 것으로 착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어 포그램프의 실제 점등 상태를 정확히 표시해 줄 수 있는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배터리에서 퓨즈를 거쳐 멀티 펑션 스위치를 통한 전원 공급라인이 리어포그램프 스위치의 푸쉬버튼 스위치와 인디케이터 램프의 직렬회로를 통해 리어 포그램프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 후단과 접지사이에 저항 및 다이오드를 통해 스위치 조명램프가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케이터 램프는 리어 포그램프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회로에 의해 리어 포그램프 설치에 관한 유럽 법규 만족은 물론 리어 포그램프 회로의 배선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 L1,L2 : 리어 포그램프
L3 : 스위치 조명램프 L4 : 스위치 인디케이터 램프
SW1 : 멀티 펑션 스위치 SW2 : 운전석 도어스위치
SW3 : 푸쉬버튼 스위치 SW4 : 테일 릴레이 스위치
F1-F3 : 퓨즈 BZ : 부저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 배터리(B)에서 퓨즈(F1)를 거쳐 멀티 펑션 스위치(SW1)를 통한 전원 공급라인이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20)의 푸쉬버튼 스위치(SW3)와 인디케이터 램프 L4 의 직렬회로를 통해 리어 포그램프 L1, L2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스위치(SW3) 후단과 접지사이에 저항 R 및 다이오드 D1를 통해 스위치 조명램프 L3가 병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은 다이오드 D1와 조명램프 L3 사이에 공통접속되고 상기 스위치(SW3)의 후단은 부저(BZ)와 도어스위치(SW2)를 통해 접지와 병렬 연결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F2, F3는 각각 램프 L3 및 L1,L2에 대한 퓨즈를 나타낸다.
위와 같은 구성의 리어 포그램프 제어회로에서, 멀티펑션 스위치 SW1가 1단, 2단 조명위치로 돌려졌을 때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20)의 푸쉬버튼스위치 SW3를 누르면 배터리 전원이 바로 인디케이터 램프 L4를 통해 리어 포그램프 L1, L2로 공급되고, 저항 R 및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 D1를 통해 스위치 조명램프 L3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리어 포그램프 L1, L2와 인디케이터 램프 L4 및 스위치 조명램프 L3가 동시에 점등된다. 만약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20)가 온 되었을 때라도 퓨즈 (F3) 또는 리어 포그램프 L1, L2가 끓어져 점등되지 않게 되면, 인디케이터 램프 L4도 점등되지 않으며 단지 퓨즈(F2)를 통해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는 스위치 조명램프 L3만이 점등된다.
한편, 부저(BZ)는 리어 포그램프 점등상태에서 운전석 도어를 열었을 때 스위치 SW2가 온 되어 부저가 작동되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포그램프 제어 회로에 의하면, 리어 포그램프 작동시에만 인디케이터 램프 L4가 점등되므로서 운전자에게 리어 포그 램프의 작동상태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고, 종래 리어 포그 램프용 릴레이를 삭제하여도 됨으로써 부품 절감 및 배선의 간단화를 이룰 수 있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배터리(B)에서 퓨즈(F1)를 거쳐 멀티 펑션 스위치(SW1)를 통한 전원 공급라인이 리어 포그램프 스위치(20)의 푸쉬버튼 스위치(SW3)와 인디케이터 램프 L4 의 직렬회로를 통해 리어 포그램프 L1, L2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스위치(SW3) 후단과 접지사이에 저항 R 및 다이오드 D1를 통해 스위치 조명램프 L3가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램프 L4는 리어 포그램프 L1, L2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KR2019960055933U 1996-12-24 1996-12-24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KR200158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933U KR200158487Y1 (ko) 1996-12-24 1996-12-24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933U KR200158487Y1 (ko) 1996-12-24 1996-12-24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28U KR19980042828U (ko) 1998-09-25
KR200158487Y1 true KR200158487Y1 (ko) 1999-10-15

Family

ID=1948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933U KR200158487Y1 (ko) 1996-12-24 1996-12-24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4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28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461A (en) Automatic light-extinguishing circuit
US6483246B2 (en) Direction-indication-lamp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4791401A (en) High level rear brake lamp and alternating directional lamps
KR200158487Y1 (ko)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GB2185305A (en) Hazard warning system for road vehicles
US4862036A (en) Electrica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igh intensity motorcycle lamps
KR200158488Y1 (ko)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US3373312A (en) Solenoid actuated automobile headlight switch
US4638296A (en) Directional signal switch and alternating lighting of rear lamps
KR910003780Y1 (ko)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KR100187153B1 (ko) 후미등 겸용 브레이크등
KR970006285Y1 (ko) 방향지시등 점등회로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KR200145177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안개등 온/오프 장치
KR19980041417U (ko) 자동차 후미 안개등 제어장치
KR910007756Y1 (ko) 자동차 램프의 점멸 경고 회로
KR100427237B1 (ko) 차량용 다기능 전조등장치
KR970002497Y1 (ko) 키꽂이 주변을 위한 실내 램프
KR100410496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동회로
KR0153657B1 (ko) 자동차의 주간시인성 개선용 브레이크램프 시스템
KR20000020673U (ko) 자동차용 점등 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19990047615A (ko)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KR19980046546A (ko) 자동차 안개등 점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