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780Y1 -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780Y1
KR910003780Y1 KR2019880021372U KR880021372U KR910003780Y1 KR 910003780 Y1 KR910003780 Y1 KR 910003780Y1 KR 2019880021372 U KR2019880021372 U KR 2019880021372U KR 880021372 U KR880021372 U KR 880021372U KR 910003780 Y1 KR910003780 Y1 KR 910003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light
relay
switch
tail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984U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780Y1/ko
Publication of KR900011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15Side marke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등(차폭등)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2 도는 종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D4 : 다이오드 RY1-RY2 : 릴레이
SW1-SW3 : 스위치 a-c, a′-c′ : 접점단자
E : 밧데리 전원 L, R : 접점단자
ℓ1-ℓ2 : 램프 P1-P3 : 접속점
1 : 라이트 점등회로 2 : 레프트 점등회로
10, 10′: 점멸기 11, 11′: 인출선
본 고안은 자동차의 미등 및 방향지시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램프가 주간에는 방향지시등 기능만하고, 야간에는 미등기능과 방향지시등의 기능을 동시에 신호 겸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미등(차폭등)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신호됨을 세가지로 분류할 수있다.
첫째는 야간운행시 차량의 진행 및 움직이는 상황을 다른 차량에게 알려주기 위한 미등 또는 차폭등이 있고, 둘째는 주,야간에 걸쳐 차량운행도중 다음 진로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좌,우측용 방향지시등이 있고, 셋째는 그 차량의 정지행위를 나타내는 브레이크 등으로 분류가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분류되는 신호등 중 미등(차폭등)은, 주간에는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야간 운행시만 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단순한 별도의 독립기능을 자동차에 일일이 첨가 및 부착시키므로 해서, 오히려 자동차의 신호기능이 복잡해질뿐 아니라, 자동차의 외관 전후, 좌우측에 일일이 그 기능을 부여하게 되므로서 이에 추가되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여러모로 번거로운 점검사항이 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에 단순한 기능만 수행하는 자동차의 미등(차폭등)을 방향지시등과 겸용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불필요한 신호기능을 간편화 및 축소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밧데리 전원측(E)과 연결되는 램프 조정용 스위치(SW1)는 미등램프(ℓ3)(ℓ4)(ℓ5)가 연결된 미등스위치(SW2)와, 방향 지시램프(ℓ1)(ℓ2)와 점멸기(10)(10′)가 연결된 턴시그널 스위치(SW3)를 각각 독립되게 구성한 통상의 미등 및 방향지시등 회로에 있어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라이트 접점단자(R)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2)와, 상기 미등 스위치(SW2)의 접속점(P1)에 연결된 또다른 순방향 다이오드(D1)를 접속점(P2)에 교합 연결하여 릴레이(RY1)의 a접점단자에 연결하고, b접점단자에는 라이트 미등겸 방향지시램프(ℓ1)를 연결하되, 그 연결간의 인출선(11)과, 상기 릴레이(RY1)의 코일에 의해 자기동작되는 C접점단자를 점멸기(10)에 연결하여 라이트 점등회로(1)가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 접점단자가 라이터 접점단자(L)에 연결될 경우, 회로구성은 전술된 레프트 접점단자(R)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간(낮)에는 자동차를 운행할 시 미등(차폭등)을 점등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단 미등 스위치(SW2)가 오프된 상태에서, 램프 조정용 스위치(SW1)을 온하면 밧데리 전원(E)은 턴 시그널 스위치(SW3) 주 접점 단자에 도달된 상태다.
여기서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 주 접점단자가 레프트 접점단자(L), 또는 라이트 접점단자(R)가 임의적인 선택여하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점등될것인가가 결정된다.
여기서, 주접점단자가 라이트 접점단자(R)를 선택할 경우 밧데리 전원(E)은 다이오드(D2)를 통해 릴레이(RY1)를 구동시킨다.
이때, 이 릴레이(RY1) 코일의 자기동작에 의해 접점단자의 초기상태, 즉 a 접점단자가 b 접점단자에서 해제되어 c접점단자에 붙게되면서 점멸기(10)를 동작시켜 라이트 램프(ℓ1)가 분당 약 85번 가량 점멸되고, 이를 해제할 경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접점 단자를 중립위치(OFF)에 놓으면 밧데리 전원(E)이 차단됨과 동시에 릴레이(RY1)의 접점단자는 코일로부터 자기 해제되어 초기의 상태로 되어진다.
한편,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접점 단자가 레프트 접점단자(L)를 선택할 경우 전술된 바와같이 동작되어진다.
그러나, 야간에 자동차를 운행할 시 미등(차폭등)과 방향지시등을 점등해야 하므로, 이때의 작동관계는 상기 램프 조절용 스위치(SW1)가 온상태에 있으므로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접점 단자는 전원(E)이 인가된 대기상태에서, 미등스위치(SW2)를 온 시킨다.
이와 동시에 밧데리 전원(E)은 다이오드(D1)와 초기접점 상태로 되어 있는 릴레이(RY1)의 a-b 접점단자를 통해 레프트 램프(ℓ1)를 점등시키고, 또다른측 다이오드(D3)와 초기 상태로 되어 있는 릴레이(RY2)의 a′-b′접점단자를 통해 라이트 램프(ℓ2)를 점등 시킨다.
이때의 램프(ℓ1)(ℓ2) 기능은 미등(차폭등)이다.
이때 이 램프(ℓ1)(ℓ2)가 미등(차폭등)으로 사용되는 점등 상태에서 자동차가 좌회전으로 방향전환을 수행하고자 할 때 즉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접점단자가 레프트 접점단자(L)로 붙게 되면 2주 접점단자에 대기상태로 있던 밧데리 전원(E)은, 즉시 다이오드(D4)를 통해 릴레이(RY2)에 인가되고, 이 릴레이(RY2) 코일의 자기동작에 의해 초기상태의 a′접점단자가 b′접점단자에서 떨어져 c′접점단자로 붙게되어 점멸기(10′)에 인가된다.
이때 점멸기(10′)가 동작되면서 미등(차폭등) 기능이었던 레프트 램프(ℓ2)가 이번에는 방향지시등 기능으로 전환되어 전술된 바와 같은 분당 약 85번 가량 점멸된다.
그러나 상기 레프트 램프(ℓ2)는 방향지시등 기능을 수행하나, 반대편 측 라이프 램프(ℓ1)는 미등(차폭등)기능으로 계속 점등된 상태이다.
한편 자동차가 좌회전을 끝내고 정상으로 주행할 때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접점단자를 중립위치(OFF)에 놓으며, 전원(E)이 차단됨과 동시에 릴레이 코일(RY2)이 자기 해제되므로 접점상태는 초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즉, 릴레이(RY2)의 a′접점단자와 b′접점단자에 붙게 되면서 다시 레프트램프(ℓ2)는 미등(차폭등)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자동차가 우회전을 하고자할 때 즉,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주접점단자가 라이트 접점단자(R)로 붙게 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동작되나, 레프트 램프(ℓ2)는 미등(차폭등)이된 상태로 되고, 미등기능이었던 라이프 램프(ℓ1)는 방향지시등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주간에는 방향지시등 기능으로 수행하고, 또 야간에는 미등과 방향지시등 기능을 하나의 램프에 의해 동시에 겸용사용되게 하므로서, 결국 자동차의 좌측과 우측에 부착되는 신호기구 및 램프를 축소화시킴은 물론, 간편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품의 감소와 더불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도모되므로 이 고안에 의하여 달성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Claims (1)

  1. 램프 조정용 스위치(SW1)에 미등스위치(SW2)와 턴시그널 스위치(SW3)를 연결하여 각각 별도의 기능동작되는 통상의 미등기능과 방향지시등 기능을 하는 회로에 있어서,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라이트 접점단자(R)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2)와 상기 미등 스위치(SW2)의 접속점(P1)에 연결된 또다른 순방향 다이오드(D1)를 교합연결하여 릴레이(RY1)의 a 접점단자에 연결하고, 이 릴레이(RY1)의 b접점단자에는 라이트 미등(차폭등) 겸 방향지시램프(ℓ1)를 연결하되, 그 연결간과, 상기 릴레이(RY1)의 코일에 의해 자기동작되는 C접점단자를 점멸기(10)에 연결하여 라이트 점등회로(1)가 구성되고, 상기 턴시그널 스위치(SW3)의 레프트 접점단자(L)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4)와 상기 미등스위치(SW2)의 접속점(P1)에서 연결된 또다른 순방향 다이오드(D3)를 교합연결하여 릴레이(RY2)의 a′접점단자에 연결하고, 이 릴레이(RY2)의 b′접점단자에 레프트 미등(차폭등)겸 방향지시 램프(ℓ2)를 연결하되, 그 연결간과 상기 릴레이(RY2)의 코일에 의해 자기동작되는 c′접점단자를 점멸기(10′)에 연결하여 래프트 점등회로(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미등(차폭등)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KR2019880021372U 1988-12-23 1988-12-23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KR910003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372U KR910003780Y1 (ko) 1988-12-23 1988-12-23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372U KR910003780Y1 (ko) 1988-12-23 1988-12-23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84U KR900011984U (ko) 1990-07-03
KR910003780Y1 true KR910003780Y1 (ko) 1991-06-03

Family

ID=1928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372U KR910003780Y1 (ko) 1988-12-23 1988-12-23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7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71B1 (ko) * 2007-06-26 2008-07-24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용 접촉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71B1 (ko) * 2007-06-26 2008-07-24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용 접촉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84U (ko)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9463B2 (en) Daytime running light module and system
US5216328A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910003780Y1 (ko)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과 방향지시등 겸용회로
US5734203A (en) Headlight circuit
US3798460A (en) Apparatus for decreasing the intensity of car signal lamps
US5638045A (en) Vehicle signal light system
US5027031A (en) Truck trailer lighting control circuit
US5828139A (en) Electrical circuit for an automobile
US2911620A (en) Reverse driving lights
JP3531179B2 (ja) 自動車用ランプ制御装置
JP3082570B2 (ja) コーナリングランプ兼クリアランスランプ点灯制御装置
US6025656A (en) Electrical circuit for automobile lights
JPS5934946A (ja) コ−ナリングランプ点灯回路
KR100350899B1 (ko) 자동차의 후진등화장치
US3532929A (en) Automotive headlight safety system with alternate substitution of filament
KR0124911Y1 (ko) 제동등과 후미등 연동장치
KR0146472B1 (ko) 후진등 자동 제어장치
KR0132488Y1 (ko) 차량의 독서등 자동점등회로
KR920002465Y1 (ko) 자동차의 비상램프(Lamp) 점등시 방향전환지시램프(Lamp)점등장치
JPH0834284A (ja) 車両用点灯装置
KR100238415B1 (ko) 야간 정지시 턴 시그널 램프 제어 장치
KR200204141Y1 (ko) 자동차의 미등손상 보안장치
JPS604441A (ja) ヘツドランプ回路
KR910003782Y1 (ko) U턴 점등회로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