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94Y1 -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94Y1
KR200156794Y1 KR2019970021117U KR19970021117U KR200156794Y1 KR 200156794 Y1 KR200156794 Y1 KR 200156794Y1 KR 2019970021117 U KR2019970021117 U KR 2019970021117U KR 19970021117 U KR19970021117 U KR 19970021117U KR 200156794 Y1 KR200156794 Y1 KR 20015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central
central mounting
cover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595U (ko
Inventor
박범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장착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중앙 장착부에 장착되는 중앙커버로 구성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에 관한것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중앙장착부(11)의 양측벽(11a,11b)은 일정곡률반경을 지니는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착부(11)의 상부면(11c)에는 수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착부(11)의 하부면(11d)에는 상기 상부면(11c)의 수용홈(12)에 대향하는 수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커버(20)의 양 측면(21a,21b)은 상기 중앙장착부(11)의 양측벽(11a,11b)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니는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20)의 상부면(21c)에는 상기 중앙장착부(11)의 상부면(11c)에 형성된 수용홈(12)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체결편(2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20)의 하부면(21d)에는 상기 중앙장착부(11)의 하부면(11d)에 형성된 수용홈(13)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체결편(23)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조작하고자하는 중앙커버의 부품을 자신을 향하게 위치시킨 후 조작할 수 있어 해당부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가 공기조화그릴, 오디오시스템, 에어콘작동스위치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부품이 장착된 센터 커버가 일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전방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에는 어 운전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에어백, 글로브박스와 같은 안전장치 및 편의요소가 장착되어 있다.
즉, 자동차의 전방유리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인스트루먼트(1)패널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 및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취부구멍 및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중앙부에는 예컨대 공기조화장치의 덕트에 연통되는 중앙그릴(4), 에어콘콘트롤스위치(5) 및 오디오세트(6)가 장착되는바, 상기 각각의 부품(4,5,6)들은 중앙커버(3)에 장착된 상태로 중앙개구부(2)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중앙커버(3)에는 상기 중앙그릴(4), 에어콘콘트롤스위치(5) 및 오디오세트(6)가 각각 삽설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3a,3b,3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상기 중앙커버에 장착된 각각의 부품 또는 장치를 손으로 조작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음악 및 음성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이같은 각각의 부품(4,5,6)들은 중앙커버(3)에 고정장착될 뿐 아니라 중앙커버(3)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중앙 개구부(2)에 고정장착됨으로써, 실제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상기 각각의 부품(4,5,6)들을 측방에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같이 운전자가 각각의 부품을 측방에서 조작하게 되면 각각의 부품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각각의 부품의 위치를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는 운전자가 주행중에 각각의 부품을 조작하기 위해 해당 부품을 비교적 장시간 응시하게 되는 경우 전방의 운전상황을 살필 수 없어 교통사고가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중앙커버에 장착된 각각의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앙커버에 장착된 각각의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일정범위로 회전시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향하게 할 수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운전 및 편의시설이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중앙 장착부에 일정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앙커버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앙장착부의 양측벽은 일정곡률반경을 지니는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착부의 상부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면의 체결편에 대향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커버의 양 측면은 상기 중앙장착부의 양측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니는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앙장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체결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의 하부면에는 상기 중앙장착부의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체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중앙커버의 상부장착부의 단부에는 공기조화덕트에 연결되는 벨로우즈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인스트루먼트패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의 중앙부의 부분종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의 중앙부의 부분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중앙장착부
12,13: 수용홈 20: 중앙커버
22,23: 체결편 24: 벨로우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 조립체의 중앙부의 부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의 중앙부의 부분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는 기본적으로 패널 본체(10)와 중앙커버(2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패널 본체(1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취부구멍 및 홈이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부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커버(20)에도 또한 다수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의 중앙에는 기본적으로 중앙장착부(11)가 형성 되는바, 상기 중앙장착부(11)의 개구부의 양측벽(11a,11b)은 일정 곡률반경을 지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장착부(11)의 내측의 상부벽(11c) 및 하부벽(11d)에는 각각 수용홈(12,13)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중앙장착부(11)에는 중앙커버(20)가 삽설되는바, 상기 중앙커버(20)의 양 측면(21a,21b)은 상기 본체(10)의 양 측벽(11a,11b)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니도록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커버(20)의 상부면(21c) 및 하부면(21d)에는 상기 본체의 상부벽(11c) 및 하부벽(11d)에 각각 형성된 수용홈(12,1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편(22,23)이 돌출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앙커버(20)의 상부장착부, 즉, 중앙그릴이 장착되는 상부장착부의 단부에는 벨로우즈(24)가 제공되는바, 이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조화장치의 덕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커버(20)가 일정범위까지 용이하게 회전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본체(10)와 중앙커버(20)의 조립방식 및 작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중앙커버(20)를 본체(10)의 장착부(11)에 삽설시킨 상태에서 중앙커버(20)의 상부면(21c) 및 하부면(21d)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편(22,23)을 상기 본체(10)의 장착부(11)의 상부면(11c) 및 하부면(11d)에 각각 형성된 수용홈(12,13)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각각의 체결편(22,23)은 상기 수용홈(12,13)에 자유롭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앙커버(20)는 상기 장착부(11)내에서 일정 범위까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같은 설치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조립체의 중앙커버(20)에 장착된 부품을 조작하는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중앙커버(20)를 회전시켜 해당 부품을 자신을 향하게 한 후 해당부품을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당부품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향하게 됨으로써 해당부품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중이라도 운전자는 순간적으로 해당부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전방의 운전상황을 연속적으로 응시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안전운전을 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를 자동차에 적용시키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조작하고자하는 중앙커버의 부품을 자신을 향하게 위치시킨 후 조작할 수 있어 해당부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의 운전 및 편의시설이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중앙 장착부에 일정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앙커버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중앙장착부(11)의 양측벽(11a,11b)은 일정곡률반경을 지니는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착부(11)의 상부면(11c)에는 수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장착부(11)의 하부면(11d)에는 상기 상부면(11c)의 수용홈(12)에 대향하는 수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커버(20)의 양 측면(21a,21b)은 상기 중앙장착부(11)의 양측벽(11a,11b)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니는 곡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20)의 상부면(21c)에는 상기 중앙장착부(11)의 상부면(11c)에 형성된 수용홈(12)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체결편(2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20)의 하부면(21d)에는 상기 중앙장착부(11)의 하부면(11d)에 형성된 수용홈(13)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체결편(23)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커버(10)의 상부장착부의 단부에는 공기조화덕트에 연결되는 벨로우즈(2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KR2019970021117U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KR20015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17U KR200156794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17U KR200156794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95U KR19990007595U (ko) 1999-02-25
KR200156794Y1 true KR200156794Y1 (ko) 1999-09-01

Family

ID=1950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117U KR200156794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95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7357B1 (en) Air duct outlets with closeable doors and vehicles incorporating same
US6129406A (en) Dashboard
JPH11301516A (ja) 自動車の端壁
KR200156794Y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조립체
JP3812086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621240B2 (ja) 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用ダクト
JPH08108795A (ja) 自動車用ランプの取付構造
JP418662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180187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4207326B2 (ja) 車輌用樹脂成形品
JP2002211277A (ja) 車両の車載機器の配設構造
JP2000322969A (ja) 乗り物のスイッチ装置
JPH0351218Y2 (ko)
JP2003341386A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3242772B2 (ja) 車両のエアコン吹出口構造
JP4132964B2 (ja) 車両用空調吹出装置
KR200316211Y1 (ko) 자동차용 공조패널의 충격흡수구조
JP2000135920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おける空気案内ダクト
JP4168970B2 (ja) 発泡成形品における機能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2005206087A (ja) 空気吹出し構造
JP4130262B2 (ja) 車両におけるグローブボックスの配設構造
JPH117850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S6126095Y2 (ko)
JP3865657B2 (ja) 車両用空調吹出装置
JP2002029287A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