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05Y1 - 철재 도로경계석 - Google Patents

철재 도로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05Y1
KR200156705Y1 KR2019970025772U KR19970025772U KR200156705Y1 KR 200156705 Y1 KR200156705 Y1 KR 200156705Y1 KR 2019970025772 U KR2019970025772 U KR 2019970025772U KR 19970025772 U KR19970025772 U KR 19970025772U KR 200156705 Y1 KR200156705 Y1 KR 200156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ad boundary
boundary stone
stee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674U (ko
Inventor
정헌종
Original Assignee
정헌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헌종 filed Critical 정헌종
Priority to KR2019970025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0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고 차량으로부터 행인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된 철재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경계를 따르도록 된 외양을 가지는 중공의 철재 몸체(12)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14)을 형성한 몸체부(10); 도로(70)에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관통구멍(14)을 관통하도록 된 기초보울트부재(32)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나사부(33)를 갖춘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부(30)의 나사부(33)에 체결되어 몸체부(10)를 지지부(30)에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충격력 등이 발생하기 쉬운 도로환경에 의하여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음로써 파손물에 의한 환경오염 및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교통장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재활용이 용이하여 이를 위한 노동력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철재 도로경계석
본 고안은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고 차량으로부터 행인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된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력 등에 의한 파손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기계적인 강도를 갖고 보수 및 재활용이 용이한 철재로 경계석을 형성함으로써 도로환경의 오염이 방지되며 보수 등을 위한 노동력의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미관에 있어서도 우수하도록 된 철재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도로보다는 일정높이 돌출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인도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경고물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인도진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인도를 통행하는 행인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도로경계석은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고 이들 종래의 도로경계석은 대부분 콘크리이트에 의하여 일정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바, 종래의 도로경계석은 콘크리이트가 가지는 여러 가지 특성에 의한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콘크리이트 도로경계석에 있어서는, 콘크리이트가 먼지와의 친화력을 가지기 때문에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도로환경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어 더렵혀짐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것이며, 콘크리이트가 충격에 의하여 쉽게 금이 가고 또한 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주행중인 자동차와의 충돌 등에 의한 훼손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그 파손물이 주행중인 자동차의 바퀴에 의해 튕겨져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교통장애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파손물이 먼지화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이고, 또한 이렇게 훼손된 콘크리이트 도로경계석은 그 보수 및 재활용이 곤란하여 결국에는 새로운 도로경계석으로 재시공함으로써 그에 수반하여 경제적인 낭비 및 시공을 위한 노동력의 낭비가 심한 것이다. 더욱이, 도로의 확장 및 신설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이 악순환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이트 경계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자가 각고의 노력 끝에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력 등에 의한 파손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면서 보수 및 재활용이 용이함으로써 도로환경의 오염이 방지되며 보수 등을 위한 노동력의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미관에 있어서도 우수한 철재 도로경계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을 도로와 보도블록의 경계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도로경계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몸체부를 도시한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2 ... 몸체
14 ... 관통구멍
15 ... 확대내경부
30 ... 지지부
32 ... 기초보울트부재
50 ... 고정부
52 ... 스프링와셔
54 ... 나사부재
56 ... 캡부재
60 ... 탄력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고 차량으로부터 행인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된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도로의 경계를 따르도록 된 외양을 가지는 중공의 철재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한 몸체부; 도로에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된 기초보울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나사부를 갖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몸체부를 지지부에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도로경계석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을 도로와 보도블록의 경계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도로경계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철재 도로경계석(1)은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10)와, 도로에 고정되어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부(30)와, 상기 몸체부(10)가 지지부(30)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그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인 도로경계석이 가지는 외부 형상을 갖추는 것으로써, 대략적으로 양측 단부가 폐쇄된 중공사각단면형상의 몸체(12)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몸체(12)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4)을 다수개 갖추며, 상기 관통구멍(14)은 그 상단부측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확대내경부(15)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기재하지 않으나, 사용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벽을 다수개 형성하여 기계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고, 이러한 모든 구조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철재 몸체부(10)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중 어느 일측 가장자리, 즉 도로와 인접한측의 가장자리는 미관 및 주행중인 자동차의 안전을 위하여 적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철재 몸체부(10)는 그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어져 있고 또한 철재가 가지는 특성상 종래의 콘크리이트 경계석에 비하여 충격력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므로 충격력 등에 의한 파손발생정도가 크지 않아 수명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종래와 같이 파손된 조각에 의한 환경오염발생 및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교통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부(30)는 도로(70)에 하단부 일정길이가 끼워져 수직하게 고정되는 기초보울트부재(32)가 그것이며, 상기 기초보울트부재(32)는 상기 몸체부(10)의 관통구멍(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된 외경크기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다수갈래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추어 도로(70)에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단부 일정길이에는 나사부(33)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기초보울트부재(32)의 길이는 그 하단부가 도로(70)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부(10)의 관통구멍(14)을 통하여 끼워지는 경우 상단부의 나사부(33)가 확대내경부(15)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몸체부(10)의 상단부보다 돌출하지는 않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기초보울트부재(32)의 기계적인 강도는 몸체부(10)에 가해지는 전단방향 및 길이방향의 힘과 충격력 등에 견딜수 있도록 적정하게 설정되어져야 한다.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몸체부(10)가 지지부(30)에 끼워진 상태에서 몸체부(10)의 확대내경부(15)에 위치하는 지지부(30)의 나사부(33)에 결합되는 부재들로써,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후술하는 나사부재(54)가 나사부(33)로부터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프링와셔(Spring Washer)(52)와, 상기 스프링와셔(52)와 함께 지지부(30)의 나사부(33)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나사부재(54)와, 상기 나사부재(54)의 상단부측으로 끼워져 그 나사부재(54)가 외부로부터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캡부재(56)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캡부재(56)는 그 상단부의 형상이 도로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관계로 미감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래나 먼지 또는 흙 등의 이물질이 나사부재(54)의 장착부위 또는 관통구멍(14)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크기가 적절하게 설정되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적정한 탄성을 갖춤으로써 장착시에는 약간의 수축작용으로 확대내경부(15)에 밀착되어 이물질 침입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 분해하는 경우에는 탄성에 의하여 그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몸체부(10)가 계절변화 등에 의한 온도차이로 길이방향의 수축 또는 팽창되는 것을 고려하여 몸체부(10)와 인접 몸체부(10)와의 사이에 탄력부재(60)를 장착하는 것을 제안하는바, 이러한 탄력부재(60)는 몸체부(10)와의 사이에서 그 탄력부재(60)의 길이가 열팽창 또는 수축으로 변화하는 것을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된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어느 하나이면 충분하며, 본 고안에서는 그 설치 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적정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고무판을 제시하고, 이러한 고무판으로 된 탄력부재(60)를 몸체부(10) 사이에 장착하는 경우 몸체(12)의 양단부와 탄력부재(60)와의 접촉부를 강력접착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몸체(12)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의 길이와 최소로 수축하는 경우의 길이를 예상하여 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계수 및 그 두께를 설정한 후 최소로 수축하는 경우에도 탄력부재(60)가 약간 수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탄력부재(60)를 몸체(12) 사이에 끼움으로써 탄력부재(60)가 몸체(12)의 사이로부터 외부로 제거되기 곤란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철재 도로경계석을 장착하기 위하여는, 지지부(30)를 보도블록 또는 정원(80)등과 도로를 구분하는 위치에 적정한 간격으로 타설하여 고정한 후, 몸체부(10)와 탄력부재(60)를 지지부(30)에 끼우고, 계속하여 고정부(50)의 스프링와셔(52)와 나사부재(54)를 체결하여 몸체부(30)를 지지부(30)에 고정함으로써, 연속적인 경계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캡부재(56)를 나사부재(54)의 상부측에 끼워 고정하면 본 고안의 철재경계석의 설치가 완료된다.
물론, 본 고안의 철재 경계석(1)은 설치후 필요에 의하여 분해하는 것도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러한 순서는 상기 설치과정의 역순서에 따르게 된다.
즉, 캡부재(56)를 빼낸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부재(54)를 지지부(30)로부터 제거하고, 계속하여 스프링와셔(52)를 빼내면, 몸체부(10)는 지지부(3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철제 도로경계석은, 충격력 등이 발생하기 쉬운 도로환경에 의하여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된 철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손물에 의한 환경오염 및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교통장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재활용이 용이하여 이를 위한 노동력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고 차량으로부터 행인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된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도로의 경계를 따르도록 된 외양을 가지는 중공의 철재 몸체(12)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구멍(14)을 형성한 몸체부(10);
    도로(70)에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관통구멍(14)을 관통하도록 된 기초보울트부재(32)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나사부(33)를 갖춘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부(30)의 나사부(33)에 체결되어 몸체부(10)를 지지부(30)에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도로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사이에 고무판으로 된 탄력부재(60)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도로경계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4)의 상단부는 내경이 확대된 확대내경부(15)를 형성하고, 상기 확대내경부(15)에 나사부재(5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프링와셔(52)와 고정용 나사부재(54)가 함께 장착되며, 상기 나사부재(54)의 상부측에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캡부재(56)가 끼워져 확대내경부(15)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도로경계석.
KR2019970025772U 1997-09-11 1997-09-11 철재 도로경계석 KR200156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772U KR200156705Y1 (ko) 1997-09-11 1997-09-11 철재 도로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772U KR200156705Y1 (ko) 1997-09-11 1997-09-11 철재 도로경계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74U KR19990012674U (ko) 1999-04-15
KR200156705Y1 true KR200156705Y1 (ko) 1999-09-01

Family

ID=1951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772U KR200156705Y1 (ko) 1997-09-11 1997-09-11 철재 도로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74U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583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드레일
KR100885493B1 (ko) 도로 시설물
KR200156705Y1 (ko) 철재 도로경계석
KR100915423B1 (ko)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JP3780498B2 (ja) 支柱構造体
KR200165807Y1 (ko) 철재 도로경계석
KR100436390B1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165808Y1 (ko) 철재 도로경계석
CN110195408B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KR200259641Y1 (ko) 도로 교통시설물의 지주 설치구조
KR200275338Y1 (ko) 철근 지주의 보호커버
JP2007297897A (ja) 支柱構造体
KR20023480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드레일
KR200281788Y1 (ko) 가드바가 이중으로 설치된 가드레일
KR200278423Y1 (ko) 콘크리트 안전커버
KR200234805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252803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차도난간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KR200228304Y1 (ko)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20020056085A (ko)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KR200224497Y1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의 구조
KR200398269Y1 (ko) 도로용 가드레일 어셈블리
KR100467083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32998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