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304Y1 -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304Y1
KR200228304Y1 KR2020010000730U KR20010000730U KR200228304Y1 KR 200228304 Y1 KR200228304 Y1 KR 200228304Y1 KR 2020010000730 U KR2020010000730 U KR 2020010000730U KR 20010000730 U KR20010000730 U KR 20010000730U KR 200228304 Y1 KR200228304 Y1 KR 200228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road
vehicle
guardrai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재
조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2020010000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304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고안은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지주에 부착설치함에 있어 지주와 가드레일 사이에 별도의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가드레일과 충돌시 그 충격으로 지중에 일정부분 묻혀 설치된 가드레일 지주의 노출부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과정에서 지주상부에 부착된 가드레일판이 함께 밀려나면서 그리는 원의 궤적을 크게하여 그만큼 충돌된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 가는것을 막을 수 있게함으로써 대형사고로 이어지는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것으로, 도로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이탈을 막을수 있도록 하기위한 가드레일(A)에 있어서, 도로가장자리에 그 하부가 일정부분 매설되게 설치되는 지주(1) 상단일측에는 별도의 보강재(3)를 설치하고, 이 보강재(3)의 전면에는 통상의 가드레일판(2)을 부착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이다.

Description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guard rail having a reinforcing agent}
본고안은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지주에 부착설치함에 있어 지주와 가드레일 사이에 별도의 보강재를 설치하는것에 의해 차량이 가드레일과 충돌하는경우 그 충격으로 지중에 일정부분 묻혀 설치된 가드레일 지주의 노출부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과정에서 지주상부에 부착된 가드레일판이 함께 밀려나면서 그리는 원의 궤적을 크게하여 그만큼 충돌된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 가는것을 막을 수 있게함으로써 대형사고로 이어지는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 간선도로는 물론이고 고속도로나 국도등의 도로 가장자리에는 주행차량의 운전 미숙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진행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도로 바깥으로 벗어나 추락되는것을 방지하여 차량탑승자 및 차량, 보행자 또는 도로변의 주요시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연속반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대부분의 가드레일은 도로 가장자리에 배수목적으로 설치되는 연석의 외측으로 지중의 기초에 그 하부가 일정부분 매설상태로 설치되는 지주상부에 직접 파형 측단면을 갖는 가드레일판을 볼트조립하여 이 가드레일판으로 하여금 도로를 벗어나려고 하는 차량의 충격시 차량이 도로외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는 종래의 가드레일은 단순히 지주의 상단부 일측에 폭이 좁은 연결쇠를 이용하여 가드레일판을 볼트조립하게되므로 가드레일판의 위치가 연석의 도로인접면보다 더 바깥쪽에 가드레일면이 위치되는 상태로 되어 주행하는 차량이 정상적인 도로주행범주로 부터 벗어나는 경우, 그 차량은 바퀴부분이 연석과 먼저 접촉되면서 그 충격으로 차량의 충격부 반대측이 일정부분 들리게 되는 상태로 가드레일면과 충돌하게되고, 이후 가드레일이 부착된 지주는 차량의 충격으로 그 매설부를 지점(支點, 力點)으로 하여 도로 바깥쪽으로 일정부분 휘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드레일을 충격한 차량은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가면서 도로 바깥측으로 추락하게 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지게되는 문제가 있는것이었다.
상기한 일련의 가드레일에 대한 차량의 충돌과정에 있어서, 종래 가드레일의 설치구조상 충격을 받은 가드레일 지주는 매설부를 지점으로하여 휘게되는데 이때 지주가 휘면서(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의 궤적은 그만큼 작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지면(도로면)으로 부터 가드레일판 상단까지의 거리가 짧아 가드레일을 충격한 차량은 쉽게 가드레일을 타고 도로바깥으로 넘어 갈수밖에 없어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는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단순히 지주의 상단 일측에 가드레일판사이에 폭이 좁은 연결쇠를 볼트조립하여서 되는 종래의 가드레일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이 지주에 직접 볼트조립되지 않고 지주에 일정크기(폭)를 갖는 보강재를 연결한후 연결된 보강재의 전면에 가드레일판을 설치되게하여 가드레일판의 전면과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된 연석의 도로지향면이 대략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하여 가드레일에 대한 차량충격시 바퀴가 연석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차체도 동시에 가드레일과 접촉되게하여 연석과 가드레일을 충격하는 차량의 일차적인 들림현상을 막을 수 있게될뿐만아니라, 차량충격에 의해 도로 외측으로 휘면서 지주선단의 가드레일판이 그리는 원의 궤적을 크게하여 도로면으로부터 가드레일판 상단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는것에 의해 그만큼 차량이 쉽게 가드레일을 타고 넘어갈 수 없게함으로써 차량추락에 따른 대형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평면도.
도 3은 본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가드레일판 3 : 보강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의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은, 도로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이탈을 막을수 있도록 하기위한 가드레일(A)에 있어서, 도로가장자리에 그 하부가 일정부분 매설되게 설치되는 지주(1) 상단일측에는 별도의 보강재(3)를 설치하고, 이 보강재(3)의 전면에는 통상의 가드레일판(2)을 부착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이고,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평면도이며, 도 3은 본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그 구성은 지주(1)와 가드레일판(2) 사이에 보강재(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주(1)는 가드레일판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H빔등으로 되는 것으로서, 그 하부가 일정부분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는 일정길이 외부로 노출되는식으로 도로(4)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1)는, 도로(4)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차량의 일차적인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연석(5)이 설치된 도로(4)이거나 또는 연석(5)이 설치되지않은 도로(4) 모두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연석(5)의 설치여부에 관계없이 도로(4) 가장자리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가드레일판(2) 역시 대략 파형의 측단면을 갖는 공지의 금속가드레일판(2)으로서, 보강재(3)를 개재하여 지주(1)에 부착설치된다.
상기한 보강재(3)는 지주(1)와 동일한 H빔으로 구성하여 각각 볼트/너트등의 고정수단(6)에 의해 지주(1)의 상단일측에 부착설치됨과 동시에 그 전면(도로 지향면)에는 역시 볼트/너트등의 고정수단(6)에 의해 가드레일판(2)이 부착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3)의 재질은 상술한 철재의 H빔에만 국한되는것은 아니며 일정강도를 지닌 동일크기의 목재나 플라스틱등의 합성수지재로 되는 보강재(3)를 적용실시할 수 있는것으로 그 재질을 특정하는것은 아니다.
이와같이 지주(1) 상단에 직접 가드레일판(2)이 부착설치되는것이 아니고 지주(1) 상단에 별도의 보강재(3)를 개재하여 가드레일판(2)이 부착설치됨으로 인해 가드레일판(2) 전면과 연석(5)의 도로지향면이 거의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하여 차량충격시 차량의 바퀴부분과 차체부분이 연석(5)과 가드레일(A)의 가드레일판(2)에 동시에 접촉, 충격되도록 함으로써 그만큼 차량의 전도나 차량이도로바깥으로 튕겨나가 추락하는것을 방지할수 있게된다.
또한 지주(1) 상단의 일측면으로 부터 도로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가드레일판(2)이 부착, 설치됨으로 인해 차량충격시 지주(1)의 상단이 그 매설부를 지점으로하여 바깥쪽으로 휘면서(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의 궤적이 종래의 가드레일에 비해 훨씬 커지게 됨에따라 차량충격시 최초의 지주 휨단계동안 가드레일판(2)의 높이를 높게 유지할 수 있게되므로 가드레일(A)을 충격한 차량이 가드레일(A)을 타고 넘어가 도로외측으로 추락될 확률은 그만큼 낮아지게되어 차량이 가드레일(A)을 충격하게되는 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차량이 도로외측으로 추락하게 되는등의 대형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고안의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에 의하면, 가드레일을 이루는 가드레일판을 일정크기의 보강재를 사이에 두고 지주상단일측에 부착설치하는것에 의해 가드레일판이 보다 도로측으로 근접되게 내민상태로 설치되게함으로써 가드레일에 대한 차량충격시 도로가장자리의 연석에 차량바퀴가 접촉됨과 동시에 차체가 직접 가드레일판에 충격되게하여 차량의 전도(顚倒)나 전복(顚覆)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충격을 받은 지주가 최초의 휨동작시 그리는 원의 궤적을 크게하여 그만큼 가드레일판의 위치를 도로면으로부터 높게 유지토록함으로써 가드레일을 충격한 차량이 도로바깥으로 튕겨져나가는 대형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도로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이탈을 막을수 있도록 하기위한 가드레일(A)에 있어서,
    도로가장자리에 그 하부가 일정부분 매설되게 설치되는 지주(1) 상단일측에는 별도의 보강재(3)를 설치하고, 이 보강재(3)의 전면에는 통상의 가드레일판(2)을 부착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2020010000730U 2001-01-11 2001-01-11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200228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30U KR200228304Y1 (ko) 2001-01-11 2001-01-11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30U KR200228304Y1 (ko) 2001-01-11 2001-01-11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377A Division KR20020056085A (ko) 2000-12-29 2000-12-29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304Y1 true KR200228304Y1 (ko) 2001-06-15

Family

ID=7306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730U KR200228304Y1 (ko) 2001-01-11 2001-01-11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3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2812A (en) Roadway barrier and restraining cap combination
JP3823179B2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200365454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JP3577497B2 (ja) 道路用防護装置
KR200228304Y1 (ko)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20020056085A (ko)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200297990Y1 (ko) 원형강관지주 전용 보강재를 갖는 가드레일
KR200390566Y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200282280Y1 (ko) 충격완화연결대를 갖는 가드레일
KR20018018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200283362Y1 (ko) 이중 가드레일판으로 되는 가드레일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200269774Y1 (ko) 충격완화연결대를 갖는 고규격 가드레일
KR20090093439A (ko) 중앙분리대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34778Y1 (ko) 과속방지턱
KR200309012Y1 (ko) 도로용 라운드형 가드레일 장치
KR100691874B1 (ko) 성토지의 방호울타리
KR200160538Y1 (ko) 자동차 충돌방지대
CN215977030U (zh) 防撞栏结构
JPH0124183Y2 (ko)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17544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CN218756987U (zh) 一种桥梁防护栏
CN209429013U (zh) 一种交通工程用高速公路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