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538Y1 - 자동차 충돌방지대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538Y1
KR200160538Y1 KR2019960043199U KR19960043199U KR200160538Y1 KR 200160538 Y1 KR200160538 Y1 KR 200160538Y1 KR 2019960043199 U KR2019960043199 U KR 2019960043199U KR 19960043199 U KR19960043199 U KR 19960043199U KR 200160538 Y1 KR200160538 Y1 KR 200160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joint
collision
bearing
rubber fend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112U (ko
Inventor
최광철
김기만
Original Assignee
이진하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김희근
벽산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하,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김희근, 벽산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진하
Priority to KR2019960043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538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교량 및 육교의 난간 충돌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차 충돌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고무 펜더(11)는 베어링 받침대(12)위에 설치되고 베어링 받침대(12)위의 베어링(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며 베어링 받침대(12)의 하부에는 슬립조인트 상판(13)이 연결되고 상판(13)의 하부에는 슬립조인트 하판(14)이 볼트(15)로 연결되어 슬립조인트(16)를 이루고 슬립조인트 하판(14)의 하부에는 기초앵커 파이프(18)가 연결되고 기초앵커 파이프(18)는 기초 콘크리트부(19)에 의해서 지지되고 고무펜더(11)위에는 덮개(20)가 씌워지게 구성되어 자동차 충돌시 베어링 및 고무펜더(11)의 완충작용으로 구조물에 대한 자동차의 정면 충돌을 막을 수 있어 대형사고 및 교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방지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교량 및 육교의 난간 충돌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차 충돌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한강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 크고 작은 수 많은 교량이 건설되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비례적으로 증가된 것중의 하나가 자동차 댓수이다.
그러나 도로 및 교량의 건설에 한계가 있기에, 자동차 정체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은 이루 헤아릴수 없다. 더욱이 차량 정체를 야기시키는 요인중의 하나가 교량 및 육교 진입차량의 교각, 교명주 및 난간 충돌, 접촉사고이다.
본 고안자는 1995년 1월로부터 1996년 11월까지 반포대교 진입 램프 및 고가차도 부근에서 발생한 교명주 충돌, 접촉사고를 수십차례 목격할 수 있었다.
종래의 자동차 충돌방지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의 난간 전방에 화강암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을 설치하거나 구조물 전방에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충돌방지대(2)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화강암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1)은 육교, 난간 끝부분에 콘크리트 기초 후 충돌방지대로 설치되고 설치가 간단하나, 자동차 충돌시 충돌방지대, 난간의 파손 및 자동차 전복 및 파손이 발생하여 인명피해가 큰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있고, 파손시 마다 년간 수차례의 보수가 필요하며 하자보수, 유지관리비가 과다 투입되어 경제성이 나쁘다.
또한 폐타이어 충돌방지대(2)는 구조물(1) 전방에 설치되며 저속주행시에는 안전하나 충돌시 속도 40 Km/Hr 이상일 때는 교량의 난간까지 파손되어 교량의 파손 및 폐타이어의 파손으로 인해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고 자동차의 전복으로 인한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있으며 타이어의 특성상 수지 교체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여 잦은 교체로 장기적인 유지관리비가 투입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통흐름의 원활함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교각, 난간 충돌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교량의 구조적 문제 발생 및 인명피해가 큰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고무펜더와, 고무펜더를 지지하고 받침대를 가지는 베어링과, 베어링 받침대와 연결되고 볼트 키홈을 가지는 상판과 하판을 가지는 슬립조인트와, 슬립조인트 하판에 연결되는 기초앵커 파이프 및 기초앵커 파이프를 지지하는 기초 콘크리트부로 구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는 고무펜더가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자동차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 고무펜더를 지지하는 슬립조인트 상판이 볼트로 하판과 연결되어 일정속도 이상으로 자동차가 충돌하면 고무펜더는 기초 콘크리트부로부터 분리되게 작동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충돌방지대가 다리의 구조를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가 다리등의 장애물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슬립조인트 상판과 하판을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슬립조인트의 볼트 키홈에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총돌방지대 11 : 고무펜더
12 : 베어링 받침대 13 : 슬립조인트 상판
14 : 슬립조인트 하판 15 : 볼트
16 : 슬립조인트 17 : 볼트 키홈
18 : 기초앵커 파이프 19 : 기초 콘크리트부
20 : 덮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보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도2에는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가 장애물 전방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는데, 본 고안의 충돌방지대(10)는 교명주 구조물(3) 전방에 위치된다.
본 고안의 충돌방지대(10)는 다리의 난간 끝부분 뿐만 아니라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경계석 전방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3에는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의 구성이 도시되는데, 원통형의 고무펜더(11)는 베어링 받침대(12)위에 설치되고 베어링 받침대(12) 위의 베어링(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다.
베어링 받침대(12)의 하부에는 슬립조인트 상판(13)이 연결되고 상판(13)의 하부에는 슬립조인트 하판(14)이 볼트(15)로 연결되어 슬립조인트(16)를 이룬다. 도4에는 슬립조인트 상판과 하판이 도시되는데, 상판(13)과 하판(14)에는 마주보는 볼트 키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13)과 하판(14)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키홈(17)에 볼트(15)를 삽입하여 체결되며 볼트의 체결력은 자동차가 시속 40 Km/Hr 이상 충돌시 볼트가 자동으로 풀려서 상판(13)위에 있는 고무펜더(11)가 하판(14)으로부터 분리되게 설정된다.
도3을 다시 참조하면, 슬립조인트 하판(14)의 하부에는 기초앵커 파이프(18)가 연결되고 기초앵커 파이프(18)는 기초 콘크리트부(19)에 의해서 지지된다. 한편, 고무펜더(11)위에는 덮개(20)가 씌워진다.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의 작동을 도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10)는 난간 끝부분 교명주 구조물(3) 전방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게 1m 앞에 설치되고 기초에 기초앵커 파이프, 슬립조인트 및 베어링 받침대로 베어링 지지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베어링 받침대위에 고무펜더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10)는 베어링 작동으로 고무펜더(11)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고 고무펜더(11)의 유연성으로 자동차 충돌시 자동차의 교량의 충격을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무펜더(11)는 슬립조인트(16)에 의해서 지지되어 일정속도 이상의 자동차 충돌시 고무펜더(11)가 분리되므로 충돌에 대한 완충작용을 증대시키고 파손된 고무펜더 만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 충돌방지대는 자동차 충돌시 베어링(9) 및 고무펜더(11)의 완충작용으로 구조물에 대한 자동차의 정면 충돌을 막을 수 있어 대형사고 및 교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충돌사고시 교량의 난간, 교명주의 파손이 없으며 고무펜더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Claims (1)

  1. 기초앵커 파이프(18)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무펜더(11)가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은 베어링 받침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자동차 충돌방지대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받침대(12)의 하부에 슬립조인트(16)를 설치하며, 상기 슬립조인트(16)는 슬립 조인트 상판(13)과 하판(14)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외주로 개구된 볼트 키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3)과 하판(14)은 볼트 키홈(17)에 볼트(15)를 삽입하여 체결되며 볼트의 체결력은 자동차가 시속 40 Km/Hr 이상 충돌시 볼트가 자동으로 풀려서 상판(13)위에 있는 고무펜더(11)가 하판(14)으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되는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19960043199U 1996-11-29 1996-11-29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160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199U KR200160538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충돌방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199U KR200160538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충돌방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112U KR19980030112U (ko) 1998-08-17
KR200160538Y1 true KR200160538Y1 (ko) 1999-11-15

Family

ID=1947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199U KR200160538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충돌방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22B1 (ko) 2005-08-11 2007-07-23 주식회사 아이.티.피 도로방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22B1 (ko) 2005-08-11 2007-07-23 주식회사 아이.티.피 도로방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112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8626A1 (en) Barrier construction for removably closing road barrier passages
KR20120066903A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JPH0629492B2 (ja) コンクリート防護壁
KR200160538Y1 (ko) 자동차 충돌방지대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CN211113176U (zh) 一种桥梁护栏端部防撞缓冲装置
KR100686698B1 (ko) 도로 방호 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KR20018018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200228230Y1 (ko) 철재방호 울타리
KR200188343Y1 (ko) 특수고무 스폰지 커버와 공기를 이용한 자동차 충돌 방지대
Lundstrom et al. A bridge parapet designed for safety
KR200234805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17544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200285769Y1 (ko) 차량 추락방지벽이 있는 교량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20050113352A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KR20000017293U (ko) 충격 흡수 난간
KR200195058Y1 (ko) 특수 스프링과 고무 스폰지 커버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200293171Y1 (ko) 레일감속장치를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안전시설물
CN211849130U (zh) 一种公路桥梁安全防撞护栏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9980065285U (ko) 충격흡수난간
KR200252803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차도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