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42Y1 -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42Y1
KR200156442Y1 KR2019970029736U KR19970029736U KR200156442Y1 KR 200156442 Y1 KR200156442 Y1 KR 200156442Y1 KR 2019970029736 U KR2019970029736 U KR 2019970029736U KR 19970029736 U KR19970029736 U KR 19970029736U KR 200156442 Y1 KR200156442 Y1 KR 200156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tuator
switch
ratchet mechanism
loc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134U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29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구성의 경우, 도어개폐의 불편성 및 기구구성의 이중적인 낭비요인이 있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도어개폐용의 래칫기구(10)의 잠금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구(10)의 잠금을 제어하는 수단은; 노브(30)측에 취부된 실린더록세트(40)를 구성하되, 실린더(S)의 키홀(H)로의 삽입 및 회전에 의하여 실린더(S)와 실린더바디(B) 사이의 회전접속에 의한 접점체(C1, C2)로서 전기적인 ON-OFF 만이 수행되는 전기적인 록스위치(SW) 및, 상기 액튜에이터(60)의 잠금 개폐용의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를 마이컴(M)으로 전송하여 개폐를 제어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키회전의 양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한 로드의 작동없이 도어키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주면 도어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수행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기계적인 작동부를 제거하고 작동신뢰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구성의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록은 프론트도어 또는 리어도어의 개폐손잡이부인 노브부에 연결되는 실린더록세트를 구비하고, 상기의 실린더록세트의 개폐에 따라서 노브의 작동과 연동하는 로드가 도어측의 래칫기구 및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폐하고 있다.
액튜에이터는 전기적인 신호로서 구동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전기적인 신호도로 작동함으로서 래칫기구의 작동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하는 종래로부터의 도어록스위치의 경우, 운전자는 도어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록킹스위치인 실린더록세트를 좌우로 회동하여 로드를 승강시켜 래칫기구를 해제한 뒤에 노브를 작동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그 작동 및 확인이 번거롭고, 기계적인 래칫기구의 록킹과 언록킹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개폐수단인 액튜에이터 또한 부가적으로 가짐으로서 불필요한 2중적인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생각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는 상기하는 종래로부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단일의 전기적인 작동에 의한 도어의 록킹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의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도어록스위치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의 구동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10 : 래칫기구
30 : 노브 40 : 실린더록세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도어록스위치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의 구동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1도의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의 도어록스위치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에서, 도어(1)측에 취부되는 래칫기구(10)는 도어프레임(2) 측에 취부고정되는 도어래치(20)와 상호 래칫작동함으로서 도어(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래칫기구(10)는 도어 외측의 개폐용의 손잡이인 노브(30)와는 로드(31)로서 연결되고 이 노브(30)는 실린더록세트(40)의 록킹 및 언록킹에 의하여 로드(31)를 상하로 구동가능, 또는 구동불능으로 된다.
차량의 내측에서 래칫기구(10)의 작동의 잠금을 해제 또는 수행하는 제어용의 인사이드록노브(50)가 설치된다.
상기하는 래칫기구(10)는 로드(31)의 작동이외에도 전기적인 신호로서 잠금을 해제하는 스위치(60')를 구비하는 액튜에이터(60)에 의하여서도 그 작동의 잠금이 수행되고, 차량 내방의 개방노브(70) 역시 래칫기구(10)와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래칫기구(10)의 작동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내측의 인사이드록노브(50)를 상승시키거나 외측에서 실린더록세트(40)를 구동하여 다른 로드(32)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시동스위치로서 액튜에이터(60)의 일체형의 스위치(60')를 작동함에 의하여 노브(30)로서의 개폐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는 상기의 액튜에이터(60)를 구동하여 래칫기구(10)를 잠금상태에서 해제하여 노브(30)로서 개폐가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실린더록세트(40)의 기계적인 구동에 의한 로드(32)의 승하강없이 전기적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서 차량도어의 개폐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는; 상기의 실린더록세트(40)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린더의 회전에 의하여 로드(32)를 구동하는 통상적인 실린더괘정장치인 기계적인 구성은 완전히 제거하고 제2도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키의 실린더(S)의 키홀(H)로의 삽입 및 회전에 의하여 실린더(S)와 실린더바디(B) 사이의 회전접속에 의한 접점체(C1, C2)로서 전기적인 ON-OFF 만이 수행되는 전기적인 록스위치(SW)로서 구성한다.
상기의 전기적인 록스위치(SW)로부터의 ON-OFF 신호 및 액튜에이터(60)의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가 마이컴(M)으로 보내어지고, 마이컴(M)은 상기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액튜에이터(60)의 구동을 수행한다.
만일 록스위치(SW)가 회전되어 ON 되고, 현재의 액튜에이터(60)의 상태가 록된 상태 즉, 스위치(60')가 OFF 된 상태이면 마이컴(M)은 액튜에이터(60)를 언록킹하도록 스위치(60')를 구동하고, 현재의 액튜에이터(60)가 언록킹된 상태, 즉 스위치(60')가 ON 된 상태이면 마이컴(M)은 액튜에이터(60)를 록킹하도록 스위치(60')를 OFF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록스위치(SW)에 키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만하여 주면 현재의 도어상태의 반대상태로서 구동되어 록킹되거나 언록킹되게 되는 것으로서 전기적인 작동에 의하여서만이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래칫기구의 잠금이 제어되어 노브(30)로서 도어를 개폐가능 또는 불능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의 플로우가 제3도에 도시된다.
록스위치(SW)의 키구동(100)과 함께 액튜에이터의 스위치(60')의 상태가 파악(101)되어, 액튜에이터(60)의 스위치(60')가 록킹상태이면(102), 액튜에이터(60)를 작동(103)하여 래칫기구(10)를 언록킹(104)하고, 액튜에이터(60)의 스위치(60')가 언록킹상태이면(202), 액튜에이터(60)를 역전작동(203)하여 래칫기구(10)를 록킹(204)하는 작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는 도어키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주면 도어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수행되게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고안의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는 종래와 같이 양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한 로드의 작동없이 도어키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주면 도어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수행되게하는 전기적인 제어구성을 제공함으로서 도어개폐의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2)

  1. 도어(1)측에 취부되는 래칫기구(10)는, 도어프레임(2)측에 취부고정되는 도어래치(20)와 래칫기구(10)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래칫기구(10)의 잠금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구(10)의 잠금을 제어하는 수단은; 노브(30)측에 취부된 실린더록세트(40)를 구성하되, 실린더(S)의 키홀(H)로의 삽입 및 회전에 의하여 실린더(S)와 실린더바디(B)사이의 회전접속에 의한 접점체(C1,C2)로서 전기적인 ON-OFF 만이 수행되는 전기적인 록스위치(SW) 및, 상기 액튜에이터(60)의 잠금 개폐용의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를 마이컴(M)으로 전송하여; 상기 액튜에이터(60)의 현재 상태와 반대의 상태로서 액튜에이터(60)를 구동하여 래칫기구의 잠금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스위치(SW)가 회전되어 전기적으로 ON 되고, 현재의 액튜에이터(60)의 상태가 록된 상태인 스위치(60') OFF 상태이면 마이컴(M)은 액튜에이터(60)를 언록킹하도록 스위치(60')를 구동하고, 현재의 액튜에이터(60)가 언록킹된 상태인 스위치(60')가 ON 상태이면 마이컴(M)은 액튜에이터(60)를 록킹하도록 스위치(60')를 OFF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KR2019970029736U 1997-10-20 1997-10-20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KR200156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36U KR200156442Y1 (ko) 1997-10-20 1997-10-20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736U KR200156442Y1 (ko) 1997-10-20 1997-10-20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134U KR19990016134U (ko) 1999-05-15
KR200156442Y1 true KR200156442Y1 (ko) 1999-09-01

Family

ID=1951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736U KR200156442Y1 (ko) 1997-10-20 1997-10-20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134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805B2 (en) Motor vehicle electric door lock
US6730867B2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JPH09105262A (ja) 同一構造の自動車ドアロックを有する中央鎖錠装置
JPH1171950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5730028A (en) Linkage for a power liftgate lock system
JP2003090158A (ja) 車両用ゲートロック装置
GB2318611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GB2349912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JP447474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制御装置
KR200156442Y1 (ko) 자동차 도어록스위치어셈블리
JP4152490B2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JPH076422Y2 (ja) 車両のドアロツク装置
JP422164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456873B1 (ko)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KR970062240A (ko) 자동차의 도어록킹 시스템
JPH0158302B2 (ko)
KR100256176B1 (ko)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JPH02140374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RU23901U1 (ru) Замок
KR20000020200U (ko)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어셈블리
KR0164193B1 (ko) 파워윈도우 구동용모터를 이용한 도어로크구동회로
KR19980029854A (ko) 자동차의 전자식 차일드 시큐어러티(child security) 로크장치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