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873B1 -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873B1
KR100456873B1 KR10-2001-0075845A KR20010075845A KR100456873B1 KR 100456873 B1 KR100456873 B1 KR 100456873B1 KR 20010075845 A KR20010075845 A KR 20010075845A KR 100456873 B1 KR100456873 B1 KR 10045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ontrol means
pillar
clo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919A (ko
Inventor
이백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8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어인너핸들(11) 및 도어아웃터핸들(12)과 도어키(13) 및 도어잠금버튼(14)을 구비하고서 도어힌지(21)를 매개로 제1필러(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와, 일단은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도어(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도어(10)를 자동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과, 상기 제1필러(22)로부터 이격된 제2필러(24) 및 이 제2필러(24)에 마주 대하는 도어(1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의 작동에 따라 도어(10)의 개방상태를 결정하고 밀폐상태를 구속하는 도어개폐제어수단(60)으로 구성되어져, 차량에 장착된 다수개의 도어(10)중 운전자가 원하는 도어(10)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10)의 개방각도도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되고 차량의 고급화이미지에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door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자동개폐동작과 도어의 개방각도를 운전자가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도어는 도어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차량에 장착되는 종래의 도어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인너핸들(11) 및 도어아웃터핸들(12)과 도어키(13) 및 도어잠금버튼(14)을 구비하고서 도어힌지(21)를 매개로 제1필러(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와, 일단이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도어(10)의 개방각도에 따라 절도감을 부여하는 개방각도조절수단(30)과, 이 개방각도조절수단(30)과 대향되는 도어(10)의 일측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도어(10)의 밀폐시 상기 제1필러(22)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2필러(24)와 접촉되면서 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잠금수단(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각도조절수단(30)은 일단이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체크핀(31)과, 외주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체크핀(31)의 소정부위에 결합되는 도어닫힘방지턱(32)과, 상기 체크핀(31)에 관통되고 도어(10)의 일측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어(10)의개폐시 체크핀(31)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체크핀하우징(33)과, 이 체크핀하우징(33)이 체크핀(31)을 따라 이동될 때 도어닫힘방지턱(32)과 접촉되면서 절도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체크핀하우징(33)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방지턱지지돌기(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잠금수단(40)은 제1필러(22)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2필러(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41)와, 상기 도어(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도어(10)의 밀폐시 도어스트라이커(41)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도어(10)의 잠금상태를 구속하는 도어래치(42)와,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스위치(도시않됨)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스트라이커(41)와 도어래치(42)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도어개폐전자작동기(4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인너핸들(11)과 도어아웃터핸들(12)과 도어키(13)와 도어잠금버튼(14) 및 도어개폐전자작동기(43)는 각각의 와이어(11a,12a,13a,14a,43a)를 매개로 도어래치(42)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어셈블리는 도어(10)의 개폐가 각각의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시키거나 또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개폐시키게 됨으로써, 승하차시 탑승자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어셈블리는 개방각도조절수단(30)에 의해 도어(10)의 개방각도에 따라 절도감이 부여되는데, 상기 개방각도조절수단(30)에 의해 부여되는 절도감은 보통의 차량인 경우 1단계 내지 2단계 정도밖에 되지 않아 도어(10)의 개방각도가 탑승자의 체형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차량에 장착된 모든 도어가 선택적으로 자동개폐됨은 물론 그 개방각도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차량의 고급화이미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어셈블리는, 도어인너핸들 및 도어아웃터핸들과 도어키 및 도어잠금버튼을 구비하고서 도어힌지를 매개로 제1필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와, 일단은 상기 제1필러의 플랜지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도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도어를 자동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과, 상기 제1필러로부터 이격된 제2필러 및 이 제2필러에 마주 대하는 도어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의 작동에 따라 도어의 개방상태를 결정하고 밀폐상태를 구속하는 도어개폐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구조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11 - 도어인너핸들
12 - 도어아웃터핸들 13 - 도어키
14 - 도어잠금버튼 21 - 도어힌지
22 - 제1필러 23 - 힌지축
24 - 제2필러 50 -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
51 - 랙기어 52 - 피니언기어
53 - 구동모터 54 - 도어완전개방스위치
60 - 도어개폐제어수단 61 - 도어스트라이커
62 - 도어래치 63 - 도어개폐전자작동기
64 - 인너핸들작동기 65 - 도어완전밀폐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인너핸들(11) 및 도어아웃터핸들(12)과 도어키(13) 및 도어잠금버튼(14)을 구비하고서 도어힌지(21)를 매개로 제1필러(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와, 일단은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도어(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도시않됨)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도어(10)를 자동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과, 상기 제1필러(22)로부터 이격된 제2필러(24) 및 이 제2필러(24)에 마주 대하는 도어(1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의 작동에 따라 도어(10)의 개방상태를 결정하고 밀폐상태를 구속하는 도어개폐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은 일단은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0)의 내부으로 삽입되어 도어(10)와 간섭됨이 없도록 설치되는 랙기어(51)와, 이 랙기어(51)에 치합되어 랙기어(5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2)와, 상기 힌지축(23)을 향하는 도어(1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모터축(도시않됨)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52)와 결합되어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의 조작신호를 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52)가 랙기어(5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피니언기어(5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와, 상기 랙기어(5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피니언기어(5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도어(10)의 완전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제어수단(60)은 상기 제2필러(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61)와, 상기 도어(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도어(10)의 밀폐시 도어스트라이커(41)와 결합되면서 도어(10)의 잠금상태를 구속하는 도어래치(62)와, 상기 도어래치(62)로부터 근접된 도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와, 상기 도어래치(62)로부터 근접된 도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10)의 개방을 위해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가 작동될 때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10)가 개방되도록 도어인너핸들(11)을 작동시키는 인너핸들작동기(64)와, 상기 제2필러(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도어(10)의 밀폐를 위해 상기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가 결합될 때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10)의 완전밀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완전밀폐스위치(6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아웃터핸들(12)과 도어키(13) 및 도어잠금버튼(14)과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는 각각의 와이어(12a,13a,14a,63a)를 매개로 도어래치(62)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도어인너핸들(11)은 도어인너핸들와이어(11a)에 의해 인너핸들작동기(64)와 연결되면서 상기 인너핸들작동기(64)는 인너핸들작동기와이어(64a)에 의해 도어래치(62)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또한, 상기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는 와이어(63b)를 통해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와도 연결된다.그리고, 상기 도어(10)의 개방각도는 힌지축(23)을 기준으로 랙기어(51)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기어(52)의 이동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10)의 개방각도는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장착된 다수개의 도어(10)중 운전자가 선택한 도어(10)를 개방하고자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가 작동되면서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그리고,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의 잠금상태를 해제되면 이때의 신호는 인너핸들작동기(64)로 전달되고, 상기 인너핸들작동기(64)는 잠금해제 신호를 이용해 도어(10)가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인너핸들(11)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의 개방을 위해 도어인너핸들(11)이 작동되면 이와 동시에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의 구동모터(53)가 구동되면서 모터축(도시않됨)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축과 결합된 피니언기어(52)가 회전되면서 랙기어(5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이때, 상기 피니언기어(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축을 통해 구동모터(53)와 결합된 상태이고, 또한 상기 구동모터(53)는 도시되지 않은 마운팅브라켓트를 통해 도어(10)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피니언기어(52)가 랙기어(5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이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상기 랙기어(51)는 실선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도어(10)는 피니언기어(52)가 이동된 거리만큼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여기서, 상기 도어(10)의 개방동작은 운전자가 도어스위치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진행되며, 이후 상기 도어(10)의 개방동작이 계속해서 진행되다가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가 작동되면 도어(10)의 완전개방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도어(10)의 개방동작을 종료시키게 된다.한편, 개방된 도어(10)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도어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의 작동유무에 따라 모터축의 회전방향이 변경되면서 개방되었던 도어(10)가 밀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도어(10)의 밀폐를 위해 운전자가 도어스위치를 조작할 때 상기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가 작동되지 않았으면 모터축의 회전은 도어(1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52)가 랙기어(51)를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다가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와 접촉되면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가 작동되게 되며, 이로 인해 모터축의 회전은 도어(10)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던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도어(10)의 밀폐를 위해 운전자가 도어스위치를 조작할 때 상기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가 작동된 상태이면 모터축의 회전은 도어(10)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던 방향의 역방향으로 바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축의 회전방향이 도어(10)의 밀폐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기어(52)가 랙기어(51)를 따라 이동하면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게 되고, 이에 따라 개방되었던 도어(10)가 점차적으로 밀폐되게 된다.또한, 상기 도어(10)가 밀폐됨에 따라 도어개폐제어수단(60)의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가 서로 결합되게 되면,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는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의 결합상태를 구속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상기 도어완전밀폐스위치(65)는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10)의 완전밀폐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도어(10)의 밀폐동작을 종료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되면, 다수개의 도어중 운전자가 원하는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도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되고 차량의 고급화이미지에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도어인너핸들(11) 및 도어아웃터핸들(12)과 도어키(13) 및 도어잠금버튼(14)을 구비하고서 도어힌지(21)를 매개로 제1필러(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와, 일단은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도어(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석에 구비된 도어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도어(10)를 자동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과, 상기 제1필러(22)로부터 이격된 제2필러(24) 및 이 제2필러(24)에 마주 대하는 도어(1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의 작동에 따라 도어(10)의 개방상태를 결정하고 밀폐상태를 구속하는 도어개폐제어수단(6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도어자동개폐제어수단(50)은, 일단은 상기 제1필러(22)의 플랜지(22a)에 힌지축(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10)의 내부으로 삽입되어 도어(10)와 간섭됨이 없도록 설치되는 랙기어(51)와, 이 랙기어(51)에 치합되어 랙기어(5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2)와, 상기 힌지축(23)을 향하는 도어(1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모터축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52)와 결합되어 도어스위치의 조작신호를 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52)가 랙기어(5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피니언기어(5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와, 상기 랙기어(5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피니언기어(5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도어(10)의 완전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완전개방스위치(54)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개폐제어수단(60)은, 상기 제2필러(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도어스트라이커(61)와, 상기 도어(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도어(10)의 밀폐시 도어스트라이커(41)와 결합되면서 도어(10)의 잠금상태를 구속하는 도어래치(62)와, 상기 도어래치(62)로부터 근접된 도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도어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와, 상기 도어래치(62)로부터 근접된 도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도어(10)의 개방을 위해 도어개폐전자작동기(63)가 작동될 때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10)가 개방되도록 도어인너핸들(11)을 작동시키는 인너핸들작동기(64)와, 상기 제2필러(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도어(10)의 밀폐를 위해 상기 도어스트라이커(61)와 도어래치(62)가 결합될 때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10)의 완전밀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완전밀폐스위치(65)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75845A 2001-12-03 2001-12-03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KR10045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845A KR100456873B1 (ko) 2001-12-03 2001-12-03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845A KR100456873B1 (ko) 2001-12-03 2001-12-03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19A KR20030045919A (ko) 2003-06-12
KR100456873B1 true KR100456873B1 (ko) 2004-11-10

Family

ID=2957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845A KR100456873B1 (ko) 2001-12-03 2001-12-03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681B1 (ko) * 2002-10-02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의 급속 개폐 방지장치
KR100802817B1 (ko) * 2006-09-29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내측 버튼장치
KR102083279B1 (ko) * 2019-01-08 2020-03-03 (주)현보 차량 도어 개폐 속도 조절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19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300A (en) Vehicle door lock system
EP1076141B1 (en) Door lock device for motor vehicles
JP3773731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6565131B2 (en) Power-assisted closing device
US5802894A (en) Central locking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with structurally identical door locks
JPH08177285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5718465A (en) Child-proof for vehicle sliding door latch device
US5947536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KR20010033082A (ko) 특히 자동차용 회전 래치 자물쇠
US5730028A (en) Linkage for a power liftgate lock system
JP2008267138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用選択型ワンモーション開扉機構
GB2269850A (en) Vehicle door lock device with super lock mechanism
JPH11514060A (ja) オーバーライドの可能性を持ったパワーストライカー
KR100456873B1 (ko) 자동차의 도어어셈블리
US6213524B1 (en) Rotary link deadbolt locking actuator and method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JPH0711259Y2 (ja) 自動車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H0750535Y2 (ja) 自動車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H09144410A (ja) 盗難防止装置及び方法
JPH0736035Y2 (ja) 自動車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H089331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施解錠検出装置
KR100539421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안전 장치
JPH0784828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JPH0739785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520717B2 (ja) 自動車用リッドロッ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