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909Y1 -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909Y1
KR200155909Y1 KR2019950053160U KR19950053160U KR200155909Y1 KR 200155909 Y1 KR200155909 Y1 KR 200155909Y1 KR 2019950053160 U KR2019950053160 U KR 2019950053160U KR 19950053160 U KR19950053160 U KR 19950053160U KR 200155909 Y1 KR200155909 Y1 KR 200155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ate roll
car
support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383U (ko
Inventor
윤희복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53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909Y1/ko
Publication of KR970027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립의 연속적인 생산을 위하여 그 스트립을 루프카의 이동에 의하여 적정한 정도 임시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프카가 이동하는 레일의 양측 임의 개소에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된 게이트롤을 설치한 루퍼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루프카(110)에 그 폭방향 위치가 레일 양측에 설치된 게이트롤(150)이 작동되어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 사이에 있도록 설정되고 그 상하방향 위치가 상기 게이트롤(150) 보다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스트립(130)을 하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휠(16)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루퍼설비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일반적인 게이트롤의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 지지장치를 가지는 루프카를 도시하며,
제3(a)도는 정면도.
제3(b)도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베어링블럭 14 : 축
16 : 휠 18 : 스트립지지부재
110 : 루프카 130 : 스트립
140 : 롤 150 : 게이트롤
본 고안은 스트립의 연속적인 생산을 위하여 그 스트립을 루프카의 이동에 의하여 적정한 정도 임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루퍼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카에 그 폭방향 위치가 레일 양측에 설치된 게이트롤이 작동되어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 사이에 있도록 설정되고 그 상하방향 위치가 상기 게이트롤 보다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스트립을 하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휠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서, 스트립의 게이트롤에 대하여 더 상부측에 위치하게 하여, 게이트롤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연속 생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압연설비는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들중 루퍼라고 하는 설비는 주기적인 작업이 행하여져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지 못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전체적인 스트립 이송 작업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설비이다.
이러한 루퍼는 주기적인 작업 실시를 위하여 스트립의 연속적인 이송이 불가능하여지는 경우에 그 스트립을 저장하고 그러한 주기적인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스트립을 정상적으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반복한다.
상기 루퍼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스트립의 이송 경로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여주는 루프카를 필요로 하고,이러한 루프카(11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당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레일 상부를 와이어로프(112)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부에는 스트립(130)을 감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롤(140)을 장착함으로서, 레일(120) 상을 따라 이동하여 스트립(130)의 저장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연속된 스트립(130)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루퍼설비는 상당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레일(120)의 전길이에 걸쳐 스트립(130)을 저장하는 관계로 그 스트립(130)의 하부 처짐을 방지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스트립(130)의 하부 처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 스트립(130)의 하부측으로는 그 스트립(130)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회전하도록 된 지지롤을 길이방향으로 적정한 간격 떨어지도록 연속하여 설치함으로서 하부 스트립(130)이 하부측으로 쳐져 레일(120) 사이의 상부측에 있게 되는 이물질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스트립(130)의 하부 처짐을 게이트롤이라는 스트립 지지설비를 이용하여 방지하고 있다.
상기 게이트롤(150)은 레일(1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그 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적정간격 떨어지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되는바, 이는 루프카(110)등의 이동설비에 간섭됨이 없이 그 작동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레일(120)의 좌우측 적정개소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지지축(152)을 갖추며, 상기 회전지지축(152)에는 회전지지부재(151)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151)는 그 일측에 적정한 길이를 갖추어 스트립(130)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그 스트립(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게이트롤(150)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151)의 타측, 즉 회전지지축(152)에 대하여 게이트롤(150)의 타측에는 요홈형성부재(153)가 형성되어 고정되고, 이러한 요홈형성부재(153)는 그 길이방향, 즉 회전지지축(15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된 요홈(154)을 형성한다.
상기 요홈형성부재(153)의 요홈(154)에는 핀(155)이 끼워져 그 요홈(15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핀(155)은 대략의 ㄴ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56)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156)의 중앙 절곡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레일의 양측 적정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지지축(157)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되고, 이러한 연결부재(156)의 타측 단부는 핀(158)을 매개로 또다른 연결막대(159)에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막대(159)의 타측 단부는 핀(160)을 매개로하여 대략의 자형으로 된 게이트롤 작동부재(161)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롤 작동부재(161)의 절곡된 중앙부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레일이 양측 적정위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핀(162)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게이트롤 작동부재(161)의 타측 단부는 하부측에 상방향으로 된 휠(163)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이러한 게이트롤(150)의 작동을 위하여는, 루프카(110)의 상부측에 레일(120)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가이드부재(170)를 복수개 설치하여 고정하는바, 이러한 가이드부재(170)는형 단면의 요홈을 형성하여 스트립(130)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프카(110)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고정된 가이드부재(170)는 루프카(110)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게이트롤(150)을 레일(120)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 또는 수평한 상태로 있게 하는 것으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루프카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초기상태이고,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루프카가 스트립을 더 많이 저장하기 위하여 휠(163)이 가이드부재(170)의홈을 통과하는데에 따른 링크부재들의 작동에 의하여 게이트롤(150)이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회전하여 그 스트립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게이트롤(150)은그 구성상 스트립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있어야만 하는데, 만약 루프카의 최초 장력 부여전에 그 루프카가 게이트롤 부근에 정지되어 있을 경우, 즉 루프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진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에 장력을 가하여 루프카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로 쳐진 상태의 스트립이 미처 상부측으로 장력을 받아 상승하기 전에 루프카의 이동에 의한 게이트롤의 작동으로 그 게이트롤이 스트립의 상부측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에는 스트립의 장력에 의하여 게이트롤 및 그를 작동시키기 위한 여려 구성요소들이 함께 변형 및 파손되게 되고, 따라서 이를 위한 조업정지가 있게 되어 생산성등에 커다란 손해를 입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단지 작업자가 스트립을 상부측으로 받쳐들고 루프카 이동을 위한 작업자와의 상호연락하에 스트립에 서서히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었고, 이렇게 수동에 의한 게이트를 파손 방지작업은 다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 이외에도, 불안정한 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루프카에 의한 스트립의 저장량 확보 작업시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지는 것을 지지하도록 된 게이트롤이 항상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회전되어 위치되게 함으로서, 게이트롤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연속 생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스트립의 연속적인 생산을 위하여 그 스트립을 루프카의 이동에 의하여 적정한 정도 임시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프카가 이동하는 레일의 양측 임의 개소에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된 게이트롤을 설치한 루퍼설비에 있어서,상기 루프카의 스트립이 위치하는 측으로 지지프레임과 베어링블럭을 매개로 스트립 폭방향으로 된 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축의 중앙부에는 우레탄 고무등으로 된 스트립지지부재를 외주면에 코팅한 휠이 그 폭방향 위치가 레일 양측에 설치된 게이트롤이 작동되어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 사이에 있도록 설정되고 그 상하방향 위치가 상기 게이트롤 보다더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스트립을 하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 지지장치를 장착한 루프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제3(a)도는 정면도이고, 제3(b)도는 측면도이다.
루프카(110)의 대략의 구성 및 그 주변 설비의 구성은 종래와 같고, 따라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 루프카(110)의 전방측, 즉 스트립(130)이 위치하는 측으로 지지프레임(10)을 설치하고, 이러한 지지프레임(10)은 폭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있도록 된 복수개로 되어 각각의 상부에 베어링블럭(12)을 장착하며, 상기 베어링 블럭(12)에는 루프카(110)의 폭방향으로 된 축(14)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지고, 상기 축(14)의 중앙부에는 휠(16)이 고정되며, 상기 휠(16)의 외주면에는 적정한 정도의 탄성과 경도를 가지는 우레탄 고무등으로 된 스트립지지부재(18)를 코팅하여 고정한다.
상기 휠(16)의 위치는 레일 양측에 설치된 게이트롤(150)이 작동되어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 사이에 있도록 설정되고, 이러한 휠(16), 보다 엄밀하게는 휠(16)의 외부면에 코팅되어 고정된 스트립 지지부재(18)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기 게이트롤(150)의 상단부보다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스트립(130)을 하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루프카(110)의 전방측, 즉 스트립(130)이 위치하는 측으로 설치되어 게이트롤(150)보다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는 휠(16)의 스트립 지지부재(18)는 루프카(110)에고정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항상 스트립(130)의 하부면 중앙부를 지지하면서 루프카(11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휠(16)은 루프카(110)가 게이트롤(150)의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여 그 게이트롤(150)이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립(130)의 폭방향으로 일치하는 방향에 있게 되는 경우에도 이들 게이트롤(150) 전단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므로 그 게이트롤(150)의 작동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대신에, 본 고안의 휠(16)은 스트립(130)을 게이트롤(150)의 위치보다 더 상부측에 있도록 지지하여주기 때문에, 루프카의 최초 장력 부여전에 그 루프카가 게이트롤 부근에 정지되어 있을 경우, 즉 루프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지려고 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트립(130)을 게이트롤(150) 상부측에 있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게이트롤(150)이 스트립의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그가 파손되는 등의 설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에 의하면, 루프카(110)의 전방측, 즉 스트립(130)이 위치하는 측으로 설치되어 게이트롤(150)보다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는 휠(16)을 설치하여 그 휠(16)에 의하여 스트립(130)이 항상 게이트롤(150)보다 더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루프카의 최초 장력 부여전에 그 루프카가 게이트롤 부근에 정지되어 있을 경우등에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지려고 하는 경우에도, 게이트롤(150)이 스트립의 상부측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그 게이트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저장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여 스트립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실용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스트립의 연속적인 생산을 위하여 그 스트립을 루프카의 이동에 의하여 적정한 정도 임시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스트립이 하부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프카가 이동하는 레일의 양측 임의 개소에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된 게이트롤을 설치한 루퍼설비에 있어서, 상기 루프카(110)의 스트립(130)이 위치하는 측으로 지지프레임(10)과 베어링블록(12)을 매개로 스트립 폭방향으로 된 축(14)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축(14)의 중앙부에는 우레탄 고무등으로 된 스트립지지부재(18)를 외주면에 코팅한 휠(16)이 그 폭방향 위치가 레일 양측에 설치된 게이트롤(150)이 작동되어 스트립의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그들 사이에 있도록 설정되고 그 상하방향 위치가 상기 게이트롤(150) 보다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스트립(130)을 하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KR2019950053160U 1995-12-29 1995-12-29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KR200155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160U KR200155909Y1 (ko) 1995-12-29 1995-12-29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160U KR200155909Y1 (ko) 1995-12-29 1995-12-29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383U KR970027383U (ko) 1997-07-24
KR200155909Y1 true KR200155909Y1 (ko) 1999-09-01

Family

ID=1944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160U KR200155909Y1 (ko) 1995-12-29 1995-12-29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12B1 (ko) 2003-04-25 2010-04-14 주식회사 포스코 스윙롤이 구비된 스트립 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831B1 (ko) * 2002-10-02 2005-08-11 주식회사 포스코 수평 루퍼용 스트립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12B1 (ko) 2003-04-25 2010-04-14 주식회사 포스코 스윙롤이 구비된 스트립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383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507B1 (ko)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JP3105559B2 (ja) 矯正装置
KR200155909Y1 (ko)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US4347916A (en) Roll guide shoe for elevators or the like
KR200237481Y1 (ko) 보조지지롤을갖춘벨트콘베이어
KR20040087753A (ko) 루퍼카의 스트립 센터링 유도장치
KR19990013570U (ko)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JPH0230082Y2 (ko)
KR101975629B1 (ko) 모헤어 공급장치
US5769201A (en) Safety apparatus for a novice ski lift
KR200205980Y1 (ko) 벨트콘베이어의 굴곡부 절손 방지장치
KR20000013988U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더스트 커버장치
US2865576A (en) Reel stand
KR100973903B1 (ko) 선재 가이드장치
KR200308353Y1 (ko) 스크래치방지장치를구비한코일카
KR0133643Y1 (ko) 전자총의 s-링 공급장치
JPS63235012A (ja) ストリツプ貯蔵装置
KR100770197B1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
KR200215193Y1 (ko) 강판의 흔들림 방지 및 비상 정지장치
JPH1034236A (ja) テンションレベラ
KR200227475Y1 (ko) 복수개로이루어진스노버롤장치
KR0116812Y1 (ko) 랜스 변형 교정장치
JPH06304638A (ja) 帯材貯蔵装置
JP3783668B2 (ja) 横型ルーパーにおけるワイヤサポート装置
US2614382A (en) Thread guide support in spinn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