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507B1 -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507B1
KR101758507B1 KR1020150183946A KR20150183946A KR101758507B1 KR 101758507 B1 KR101758507 B1 KR 101758507B1 KR 1020150183946 A KR1020150183946 A KR 1020150183946A KR 20150183946 A KR20150183946 A KR 20150183946A KR 101758507 B1 KR101758507 B1 KR 10175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r
guide roller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104A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5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프레임부; 상기 설치프레임부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거치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유동을 완충 지지토록 제공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설치프레임부의 사이를 탄성 연결하여,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유동을 완충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설치프레임부의 사이를 힌지 연결하여,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APPARATUS FOR GUIDING CABLE AND MOVING CARE FOR CABLE}
본 발명은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바닥면과 마찰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공정에서 예를 들면, 제강공정에서 예비처리된 쇳물을 전로공정에서 용강을 생산하기 위하여 쇳물 이송차량을 이용하는데, 쇳물 이송차량은 릴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그 동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은 이송차량이 이동하는 만큼 케이블 릴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차량의 이동시 케이블이 땅 바닥에 끌리면서 피복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면서 케이블의 사용연한이 줄어들고, 케이블 피복이 손상되면서 대형 전기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바닥면과 마찰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형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설치프레임부; 상기 설치프레임부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거치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유동을 완충 지지토록 제공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설치프레임부의 사이를 탄성 연결하여,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유동을 완충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설치프레임부의 사이를 힌지 연결하여,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롤러부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거치면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 상기 회전지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지지롤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이 설치되는 롤러베이스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설치프레임부; 상기 설치프레임부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거치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유동을 완충 지지토록 제공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거치면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 상기 회전지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지지롤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이 설치되는 롤러베이스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롤러는,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의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롤러본체; 및, 상기 롤러본체의 양단부측에 구비되고, 케이블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와는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설치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하측과 상기 링크부재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저판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저판프레임의 양측 단부영역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양측 단부영역과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 연결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지지롤러의 상측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상면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면가이드롤러부는, 회전되면서 케이블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상면지지롤러; 상기 상면지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지지롤러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이 지지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상면지지롤러의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상기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설치프레임부가 설치되고, 하부에 설치된 차륜을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대차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동대차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바닥면과 마찰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형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이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바닥면과 마찰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사용연한을 연장시켜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롤러부의 회전지지롤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가이드롤러부 상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동대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장치는 설치프레임부(100), 가이드롤러부(200) 및 완충지지부(300)를 포함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일블 가이드장치는 상면가이드롤러부(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장치는 설치프레임부(100)와, 상기 설치프레임부(10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C)을 거치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200)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10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200) 상에서의 케이블(C)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이동을 완충 지지토록 제공되는 완충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부(100)는 저판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프레임부(100)는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일측과 상기 완충지지부(300)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저판프레임(110) 및, 상기 저판프레임(11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양측면과 완충지지부(300)를 매개로 탄성 연결되는 측면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판프레임(110)은 가이드롤러부(200)의 하측과 상기 링크부재(330)를 매개로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측면프레임(130)은 가이드롤러부(2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저판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영역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양측 단부영역과 상기 탄성부재(310)를 매개로 탄성 연결될 수 있다.
설치프레임부(100)는 측면프레임(130)과 저판프레임(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부재(310)의 압축력 및, 인장력에 의해 측면프레임(130)에 가해지는 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리브(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150)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판프레임(110)은 링크부재(330)를 매개로 롤러베이스판(250)과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측면프레임(130)은 롤러베이스판(250) 및, 롤러브라켓(230)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탄성부재(31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부(200)는 회전지지롤러(210), 롤러브라켓(230) 및, 롤러베이스판(25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부(200)는 케이블(C)을 지지하는 거치면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케이블(C)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210)와, 상기 회전지지롤러(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지지롤러(210)의 회전축(2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브라켓(230) 및, 상기 롤러브라켓(230)이 설치되는 롤러베이스판(2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롤러(210)는 롤러본체(211) 및, 회전날개(21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지지롤러(210)는 회전축(215)을 매개로 롤러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C)의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롤러본체(211)와, 상기 롤러본체(211)의 양단부측에 구비되어 케이블(C)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날개(21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날개(213)는 롤러본체(211)의 단부영역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테이퍼형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고, 회전날개(213)의 내부에서 제2 베어링(214)이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되고, 제2 베어링(214)의 통공에 회전축(21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개(213)는 회전축(215)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고, 롤러본체(211)와는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롤러본체(211)의 상측의 거치면에 케이블(C)이 거치된 상태에서 케이블(C)이 이동할 수 있고, 롤러본체(211)가 회전되면서 케이블(C)을 지지함으로써, 케이블(C)의 마찰이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본체(211) 및, 회전날개(213)는 별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롤러본체(211)는 제1 베어링(212)을 매개로 회전축(2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회전날개(213)는 제2 베어링(214)을 매개로 회전축(2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본체(211)와 회전날개(213)는 상이한 회전수를 가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날개(213)는 롤러본체(211)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축(21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경우 회전날개(213)에 대응되는 부분이 회전되지 않고, 롤러본체(211)에 대응되는 부분만 회전되면서 회전날개(213) 대응부분과 케이블(C)이 마찰되면서 케이블(C)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축(215)은 롤러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215)의 양단부에는 내입된 형태의 내부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나사산에 볼트부재가 체결되면서 회전축(215)은 롤러브라켓(2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롤러브라켓(230)에는 회전축(215)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회전축(215)은 롤러브라켓(230)과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215)과 롤러브라켓(230)이 착탈이 가능한 볼트부재에 의해 체결되면서 회전축(215)에 설치된 롤러본체(211) 또는 회전날개(213)가 마모시 볼트부재를 풀어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지지부(300)는 탄성부재(310) 및, 링크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지지부(300)는 설치프레임부(10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롤러부(200) 상에서의 케이블(C)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하중의 변화에 따른 가이드롤러부(200)의 이동을 완충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완충지지부(300)는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와 상기 설치프레임부(100)의 사이를 탄성 연결하여, 케이블(C)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이동을 완충 지지하는 탄성부재(310)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와 상기 설치프레임부(100)의 사이를 힌지 연결하여, 케이블(C)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의해 가이드롤러부(200)는 폭방향 및, 높이방향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하중이 탄성부재(310)에 가해지면서 탄성부재(310)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가이드롤러부(200)는 탄성부재(310)를 매개로 설치프레임부(100) 상에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설치프레임부(10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사이의 거리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0)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부재는 설치프레임부(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재는 설치프레임부(100)의 각각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브라켓(230) 또는 롤러베이스판(25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는 롤러브라켓(230), 롤러베이스판(250)의 어느 하나와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롤러브라켓(230), 롤러베이스판(250)의 각각과 측면프레임(130) 사이에 중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프링부재는 롤러브라켓(230)과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부재 및, 롤러베이스판(250) 및,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0)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프레임부(100)와 가이드롤러부(200)를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C)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를 완충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330)는 복수 개의 링크와, 링크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절을 매개로 설치프레임부(100)와 가이드롤러부(200)를 힌지 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프레임부(100)의 저판프레임(110)과, 가이드롤러부(200)의 롤러베이스판(250)을 복수 개의 링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매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판프레임(110)의 상면과 롤러베이스판(250)의 저면의 사이에는 3개의 링크부재(330)가 설치되어 저판프레임(110)과 롤러베이스판(250)을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링크부재(330)는 복수 개의 링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매개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각각의 링크부재(330)가 3개의 링크가 2개의 관절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링크와 관절을 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복수 개의 링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는 가이드롤러부(200) 상에서의 케이블(C)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블(C)이 가이드롤러부(200)의 회전지지롤러(210) 상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케이블(C)이 이동하는 일측 폭방향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부(200)는 링크부재(330)를 매개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기울어진 가이드롤러부(200)는 탄성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폭방향 좌측방향으로 쏠림이 발생할 경우, 롤러베이스판(250)의 좌측단부와 좌측의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10)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롤러베이스판(250)의 우측단부와 우측의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10)에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롤러베이스판(25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폭방향 우측방향으로 쏠림이 발생할 경우, 롤러베이스판(250)의 좌측단부와 좌측의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10)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롤러베이스판(250)의 우측단부와 우측의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10)에 압축력이 작용하면서 롤러베이스판(25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장치는 상기 회전지지롤러(210)의 상측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부(200)와 함께 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면서 케이블(C)을 지지하는 상면가이드롤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면가이드롤러부(400)는 상면지지롤러(410), 지지브라켓(430) 및, 슬라이드홈(4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면가이드롤러부(400)는 회전되면서 케이블(C)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상면지지롤러(410)와, 상기 상면지지롤러(4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지지롤러(410)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이 지지브라켓(430) 및, 상기 지지브라켓(430)에 내입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롤러브라켓(2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바(2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C)의 직경에 따라 상기 상면지지롤러(410)의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홈(450)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홈(450)의 내부로 지지바(231)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면지지롤러(4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지지바(231) 및, 슬라이드홈(450)에는 복수 개의 조절공이 높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231)와 슬라이드홈(450)의 조절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양자의 조절공을 관통하여 봉상부재의 핀부재, 볼트부재 등이 체결되면서 상면지지롤러(410)의 높이는 케이블(C)의 직경에 대응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동대차(500)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이동대차(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이동대차(500)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상기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설치프레임부(100)가 설치되고, 하부에 설치된 차륜(530)을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대차(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대차(500)는 상측에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설치프레임부(100)가 설치되는 대차본체(510) 및, 상기 대차본체(510)의 저면에 설치된 상기 대차본체(5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5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이동대차(500)는 제철소의 제강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된 용강(쇳물)을 이송하는 이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C)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이동대차(500)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케이블 이동대차(500)에서 활용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설치프레임부(100), 지지롤러부, 완충지지부(300), 상면지지롤러(410)부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설치프레임부 110: 저판프레임
130: 측면프레임 150: 보강리브
200: 가이드롤러부 210: 회전지지롤러
211: 롤러본체 212: 제1 베어링
213: 회전날개 214: 제2 베어링
215: 회전축 230: 롤러브라켓
231: 지지바 250: 롤러베이스판
300: 완충지지부 310: 탄성부재
330: 링크부재 400: 상면가이드롤러부
410: 상면지지롤러 430: 지지브라켓
450: 슬라이드홈 500: 이동대차
510: 대차본체 530: 차륜
C: 케이블

Claims (8)

  1. 설치프레임부;
    상기 설치프레임부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거치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유동을 완충 지지토록 제공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설치프레임부의 사이를 탄성 연결하여,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유동을 완충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설치프레임부의 사이를 힌지 연결하여,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거치면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
    상기 회전지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지지롤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이 설치되는 롤러베이스판;을 구비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3. 설치프레임부;
    상기 설치프레임부 상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거치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설치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 상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유동을 완충 지지토록 제공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거치면이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
    상기 회전지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지지롤러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이 설치되는 롤러베이스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롤러는,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의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롤러본체; 및,
    상기 롤러본체의 양단부측에 구비되고, 케이블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개는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와는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하측과 상기 링크부재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저판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저판프레임의 양측 단부영역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양측 단부영역과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로 탄성 연결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롤러의 상측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상면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가이드롤러부는,
    회전되면서 케이블의 상측을 가이드하는 상면지지롤러;
    상기 상면지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면지지롤러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이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내입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롤러브라켓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상면지지롤러의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상기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설치프레임부가 설치되고, 하부에 설치된 차륜을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대차;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동대차.
KR1020150183946A 2015-12-22 2015-12-22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KR10175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46A KR101758507B1 (ko) 2015-12-22 2015-12-22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46A KR101758507B1 (ko) 2015-12-22 2015-12-22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104A KR20170075104A (ko) 2017-07-03
KR101758507B1 true KR101758507B1 (ko) 2017-07-27

Family

ID=5935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946A KR101758507B1 (ko) 2015-12-22 2015-12-22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04U (ko) * 2020-06-08 2021-12-15 노희순 릴 장치용 케이블 가이드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8747A (zh) * 2017-11-20 2018-04-24 合肥昊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导向装置
CN108305720A (zh) * 2018-01-15 2018-07-20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新型线缆导向器
KR102157046B1 (ko) * 2018-11-15 2020-09-17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포드용 롤러형 지지장치
KR102359475B1 (ko) * 2019-09-25 2022-02-07 주식회사 한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KR102374358B1 (ko) * 2021-09-14 2022-03-15 정석만 케이블포설장치
CN115043259A (zh) * 2022-06-17 2022-09-13 海门喜满庭纺织品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导纱转盘
KR102553798B1 (ko) * 2022-11-01 2023-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534674B1 (ko) 2022-12-19 2023-05-26 주식회사 현이엔지 전기 케이블 가이드 시스템
KR102535742B1 (ko) 2022-12-26 2023-05-26 주식회사 현이엔지 가이드 레일부에 설치되는 전기 케이블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04U (ko) * 2020-06-08 2021-12-15 노희순 릴 장치용 케이블 가이드롤러
KR200494830Y1 (ko) 2020-06-08 2022-01-04 노희순 릴 장치용 케이블 가이드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104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507B1 (ko)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RU2016108798A (ru) Пере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насыпного материала c поворачивающимся транспортером
WO2013082642A1 (en) Tracking apparatus for trough conveyors
KR20140102437A (ko) 행거
KR101859459B1 (ko)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KR100870759B1 (ko)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20150141857A (ko) 물품의 수직 상하 이송장치
JP5068565B2 (ja) コンベヤ自動調芯装置
KR101615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60124617A (ko) 바닥용 트롤리
JP2008162800A (ja) マンコンベアの従動輪支持装置
KR102042695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CN105916613A (zh) 用于加工具有由金属制成的带体的环形带的设备
KR101174222B1 (ko) 전력선 점검용 이동대차
KR2018003479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KR101789733B1 (ko) 열처리로 소재 장입 가이드 장치
KR101555762B1 (ko) 곡면 주행 용접 캐리지 장치
JP5777573B2 (ja) パンタグラフ支持装置
JP6581416B2 (ja) 巻き取り装置
JP6079491B2 (ja) レール上移動装置
KR101489203B1 (ko) 코일 변형방지 이송대차
KR20190047188A (ko) 장입소재의 요동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제조용 냉간 코일와이어 디스펜서
JP5800965B1 (ja) 搬送装置
CN202832565U (zh) 臂架及工程机械
KR102035587B1 (ko)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