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59B1 -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59B1
KR101859459B1 KR1020160180870A KR20160180870A KR101859459B1 KR 101859459 B1 KR101859459 B1 KR 101859459B1 KR 1020160180870 A KR1020160180870 A KR 1020160180870A KR 20160180870 A KR20160180870 A KR 20160180870A KR 101859459 B1 KR101859459 B1 KR 10185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inge
arm
bracket
hang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더블유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6018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설치된 호이스트(미도시)에 지지되는 행거몸체(10)와; 행거몸체(10) 일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힌지(h1)에 연결되는 제1회동브라켓(21)을 가지는 제1힌지아세이(20)와; 행거몸체(10)의 타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2힌지(h2)에 연결되는 제2회동브라켓(31)을 가지는 제2힌지아세이(30)와; 제1회동브라켓(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차체 루프의 일측이 로딩되는 제1패드유니트(41)가 설치된 제1행거아암(40)과; 제2회동브라켓(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상기 차체 루프의 타측이 로딩되는 제2행거아암(50)과; 행거몸체(10)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제1힌지(h) 하부측의 제1회동브라켓(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힌지(h2) 상부측의 제2회동브라켓(31)에 연결되는 연동와이어(60)와; 행거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동와이어(60)가 위치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blurring of transfer hanger}
본 발명은 호이스트 차체 로딩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공정으로 이송되는 이송대차에 차체를 로딩하기 위한 호이스트 차체 로딩행거에 관한 것이다.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생산라인에의 차체(BIW ; Body In white)는 다양한 각종 구조물, 즉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는 패널류들의 용접 과정을 통해 일체로 완성된다. 이러한 차체는 행거장치에 의하여 이송되어 다양한 여러 공정을 진행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도 1은 종래의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는, 천정에 설치된 이송레일(R)을 따라 이송하는 행거몸체(1)와, 행거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체(S) 바닥을 지지하는 한쌍의 행거아암(2)(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행거아암(2)(3)에 의하여 지지되는 차체(S)는 특정 공정, 예를 들면 도장 공정으로 이송되는 이송대차로 로딩된 후 이송된다. 이와 같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0-0021641호에 차체 이송용 행거의 열림각도 조절구조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행거장치는, 한쌍의 행거아암(2)(3)을 차체에 로딩시키기 위하여, 2 명의 작업자가 행거아암(2)(3)을 동시에 벌린 후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로딩 과정에서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한명의 작업자가 작동시킬 수 있어 로딩 과정에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대부분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는, 천정에 설치된 호이스트(미도시)에 지지되는 행거몸체(10); 상기 행거몸체(10) 일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힌지(h1)에 연결되는 제1회동브라켓(21)을 가지는 제1힌지아세이(20); 상기 행거몸체(10)의 타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2힌지(h2)에 연결되는 제2회동브라켓(31)을 가지는 제2힌지아세이(30); 상기 제1회동브라켓(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차체(S)의 루프 일측이 로딩되는 제1패드유니트(41)가 설치된 제1행거아암(40); 상기 제2회동브라켓(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상기 차체(S)의 루프 타측이 로딩되는 제2행거아암(50); 상기 행거몸체(10)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제1힌지(h) 하부측의 제1회동브라켓(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h2) 상부측의 제2회동브라켓(31)에 연결되는 연동와이어(60); 및 상기 행거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동와이어(60)가 위치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70)을 포함하고; 상기 행거몸체(10)의 양단에는 길게 대향되는 제1,2가이드공(15a)(15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아세이(20)(30)의 제1,2힌지브라켓(22)(32)에는 상기 제1,2가이드공(15a)(15b) 각각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4)(34)가 설치되고; 상기 행거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된 연동와이어(60)는 턴버클(65)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행거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행거아암(40)을 회동시킬 때 그 행거몸체(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행거몸체(10)는, 상기 호이스트에서 연장된 후크가 걸어지는 고리(11a)가 각각 설치되는 고리브라켓(11)과; 상기 행거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12)과; 상기 고리브라켓(11)을 관통하여 특정 나사공(12)에 체결되는 볼트(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기된 상기 제1행거아암(40)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1서브아암(45); 및 분기된 상기 제2행거아암(50)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2서브아암(55);을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행거몸체(10), 제1,2행거아암(40)(50) 및 제1,2서브아암(45)(55)을 감싸는 쿠션(9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를 로딩하기 위한 제1행거아암과 제2행거아암은, 제1행거아암을 회동시킬 때 제2행거아암이 동일 각도로 회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명의 작업자가 행거장치를 작동시켜 차체를 로딩할 수 있어, 로딩 과정에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호이스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송용 행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이송용 행거장치에 있어서, 제1,2행거아암의 간격을 가변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연동와이어와 턴버클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행거몸체, 제1,2행거아암, 제1,2서브아암이 쿠션을 감싸여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이송용 행거장치에 차체가 로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송용 행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차체 이숑용 행거장치는, 천정에 설치된 호이스트(미도시)에 지지되는 행거몸체(10)와; 행거몸체(10) 일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힌지(h1)에 연결되는 제1회동브라켓(21)을 가지는 제1힌지아세이(20)와; 행거몸체(10)의 타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2힌지(h2)에 연결되는 제2회동브라켓(31)을 가지는 제2힌지아세이(30)와; 제1회동브라켓(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차체(S)의 루프 일측이 로딩되는 제1패드유니트(41)가 설치된 제1행거아암(40)과; 제2회동브라켓(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상기 차체(S)의 루프 타측이 로딩되는 제2행거아암(50)과; 행거몸체(10)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제1힌지(h) 하부측의 제1회동브라켓(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힌지(h2) 상부측의 제2회동브라켓(31)에 연결되는 연동와이어(60)와; 행거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동와이어(60)가 위치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70)과; 행거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행거아암(40)을 회동시킬 때 그 행거몸체(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행거몸체(10)는, 이송레일에 지지되는 호이스트에서 연장된 체인의 후크가 걸어지는 고리(11a)가 각각 설치되는 고리브라켓(11)과; 행거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12)과; 고리브라켓(11)을 관통하여 특정 나사공(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3);를 포함한다. 이때 나사공(12)은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볼트(13)는 나사공(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리브라켓(11)은 2 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행거몸체(10)의 중앙측에 1 개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고정브라켓(11)이 2 개가 설치될 경우, 각각의 고정브라켓의 고리(11a)가 호이스트와 연결된 후크에 각각 걸어지므로, 차체 이송과정에서 행거장치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볼트(13)를 분리한 후 고리브라켓(11)을 행거몸체(10)로부터 특정 위치로 이동하고, 이후 볼트(13)가 특정 위치의 나사공(12)에 결합시킴에 의하여 고리브라켓(11)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행거몸체(10)에서 고리브라켓(11) 사이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체의 크기에 따라 고리브라켓(11)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할 수 있어, 차체 이송과정에서 흔들림을 더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행거몸체(10)의 일단 하부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멍(10a)이 형성되고, 타단 상부측에는 제2구멍(10b)이 형성되며, 행거몸체(10) 내부에는 공간(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구멍(10a)과, 공간(10c) 및 제2구멍(10b)은 제1,2회동브라켓(21)(31)을 연결하는 연동와이어(60)가 행거몸체(10)를 관통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힌지아세이(20)는 제1회동브라켓(21)이 힌지연결된 제1힌지(h1)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행거몸체(10)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제1힌지브라켓(22)을 포함한다.
제2힌지아세이(30)는 제2회동브라켓(31)이 힌지연결된 제2힌지(h2)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행거몸체(10)의 타측단에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32)을 포함한다. 이때 제2힌지브라켓(32)의 상부측에는 그 제2힌지브라켓(3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브라켓돌부(33)가 형성되고, 상기한 연동와이어(60)의 타단이 브라켓돌부(33)에 연결된다.
제1행거아암(40)은 제1회동브라켓(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차체 루프의 일측을 로딩되는 한쌍의 제1패드유니트(41)가 설치된다. 이때 제1패드유니트(41)는 제1행거아암(40)의 양단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라켓(41a) 및 제1브라켓(41a)에 결합되는 제1안착패드(41b)로 구성되고, 제1안착패드(41b)는 루프 내측이 손상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고무등과 같은 탄성적 재질로 된다.
제2행거아암(50)은 제2회동브라켓(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차체 루프 내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제2패드유니트(51)가 설치된다. 이때 제2패드유니트(51)는 제2행거아암(50)의 양단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51a) 및 제2브라켓(51a)에 결합되는 제2안착패드(51b)로 구성되고, 제2안착패드(51b)는 루프 내측이 손상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적 재질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2패드유니트(4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행거아암(40)과 제2행거아암(5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폭이 큰 차체에 적용할 경우 제1,2패드유니트(41)(51)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제1,2행거아암(40)(50)에서 움직이고, 반대로 차폭이 작은 차체에 적용할 경우 제1,2패드유니트(41)(51)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제1,2행거아암(40)(50)에서 움직인다. 즉 제1,2패드유니트(41)(51) 사이의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차폭이 다른 차체에도 본원의 이송용 행거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2안착패드(41b)(51b)가 마모될 때, 제1,2브라켓(41a)(51a)으로부터 제1,2안착패드(41b)(51b)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분기된 제1행거아암(40)의 하부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아암(45)이 연결된다. 따라서 분기된 제1행거아암(40)과 제1서브아암(45)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행거아암(40)은 무거운 차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하학적 내구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무거운 차체를 로딩할 때 분기된 제1행거아암(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기된 제2행거아암(50)의 하부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브아암(55)이 연결된다. 따라서 분기된 제2행거아암(50)과 제2서브아암(55)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행거아암(50)은 무거운 차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하학적 내구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무거운 차체를 로딩할 때 분기된 제1행거아암(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힌지아세이(20)는, 제1회동브라켓(2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1행거아암(40)을 지지하는 제1아암브라켓(25a)(25b)을 포함한다.
또한 제2힌지아세이(30)는, 제2회동브라켓(3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2행거아암(50)을 지지하는 제2아암브라켓(35a)(35b)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볼트 및 너트의 조임상태를 달리함으로써, 제1행거아암(40)을 제1아암브라켓(25a)(25b)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 가변하고, 제2행거아암(50)을 제2아암브라켓(35a)(35b)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차종 차체의 전후방 무게중심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연동와이어(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거몸체(10)에 형성된 제1,2구멍(10a)(10b) 및 공간(10c)을 통하여 행거몸체(10)를 관통하여 일단이 제1힌지(h1) 하부측의 제1회동브라켓(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힌지(h2) 상부측의 제2회동브라켓(31), 엄밀하게는 제1회동브라켓(32)의 상부측으로 연장된 브라켓돌부(3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행거아암(40)을 잡아당기면, 연동와이어(60)는 잡아당겨지면서 제2힌지(h2) 상부측의 브라켓돌부(33)를 잡아당기게 되고, 제2행거아암(50)은 제2힌지(h2)를 축으로 제1행거아암(40)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1행거아암(40)을 원위치로 회동시키면, 제2행거아암(50)과 연결된 연동와이어(60)가 느슨해지면서 제2행거아암(50)은 자중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귀환한다.
가이드롤(70)은 행거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연동와이어(6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제1구멍(10a) 측에 설치된 제1롤러(71)와, 제2구멍(10b) 측에 설치된 제2롤러(72)를 포함한다. 이때 연동와이어(60)는 제1롤러(71)의 상부면을 경유한 후 제1구멍(10a)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제2롤러(72)의 하부면을 경유한 후 제2구멍(10b)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손잡이(80)는 제1행거아암(40)측의 행거몸체(10)에 고정된다. 손잡이(80)는 작업자의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제1행거아암(40)을 회동시킬 때, 호이스트에 지지되는 행거몸체(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의 이송용 행거장치에 있어서, 제1,2행거아암의 간격을 가변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연동와이어와 턴버클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가 다양한 크기의 차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차종의 무게중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1,2행거아암(40)(50) 사이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행거몸체(10)의 양단에는 길게 대향되는 제1,2가이드공(15a)(15b)이 형성되고, 제1,2힌지브라켓(22)(32)에는 제1,2가이드공(15a)(15b) 각각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4)(34)가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부재(24)(34)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제1,2힌지브라켓(22)(32) 및 제1,2가이드공(15a)(15b) 각각을 관통하여 상호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행거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된 연동와이어(60)는 턴버클(65)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연결와이어(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65)의 양단으로 나사결합되는 양단고리(65a)(65b)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턴버클(65)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양단고리(65a)(65b)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면서 연동와이어(60) 전체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대형 차체를 이송하고자 할 때, 제1,2가이드공(15a)(15b)을 따라 제1,2힌지아세이(20)(30)를 이동시킨 후 제1,2행거아암(40)(50)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24)(34)로 위치고정하고, 이후 턴버클(65)을 회전시켜 연동와이어(60) 전체길이를 늘림으로써, 제1,2행거아암(40)(50) 사이의 간격을 대형 차체를 로딩하기 위한 크기로 가변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2의 행거몸체, 제1,2행거아암, 제1,2서브아암이 쿠션을 감싸여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몸체(10), 제1,2행거아암(40)(50), 제1,2서브아암(45)(55)은 쿠션(미도시)에 의하여 감싸여진다. 따라서 본원의 행거장치가 차체를 로딩하는 과정에서 차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차체 표면에 상처가 나거나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이송용 행거장치에 차체가 로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에 따르면, 한명의 작업자가 한손으로 손잡이(8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제1행거아암(40)을 잡아당기면, 제1행거아암(40)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연동와이어(60)는 제2힌지(h2) 상부측의 브라켓돌부(33)를 잡아당기고, 이에 따라 제2행거아암(50)은 제2힌지(h2)를 축으로 제1행거아암(40)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행거아암(40)(50) 하단의 제1,2패드유니트(41)(51)를 차체 루프 내측(WS)에 위치시키고, 이후 제1행거아암(40)을 원위치로 회동시키면, 제2행거아암(50)과 연결된 연동와이어(60)가 느슨해지면서 제2행거아암(50)은 자중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귀환하면서 제1,2패드유니트(41)(51)는 루프 내측(WS)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를 로딩하기 위한 제1행거아암(40)과 제2행거아암(50)은, 제1행거아암(40)을 회동시킬 때 제2행거아암이 동일 각도로 회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명의 작업자가 행거장치를 작동시켜 차체(S)를 로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호이스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행거몸체 10a, 10b ... 제1,2구멍
10c ... 공간 11 ... 고리브라켓
11a ... 고리 12 ... 나사공
13 ... 볼트 15a, 15b ... 제1,2가이드공
20 ... 제1힌지아세이 21 ... 제1회동브라켓
22 ... 제1힌지브라켓 25a, 25b ... 제1아암브라켓
30 ... 제2힌지아세이 31 ... 제2회동브라켓
32 ... 제2힌지브라켓 35a, 35b ... 제2아암브라켓
40 ... 제1행거아암 41 ... 제1패드유니트
41a ... 제1브라켓 41b ... 제1안착패드
45 ... 제1서브아암 50 ... 제2행거아암
51 ... 제2패드유니트 51a ... 제2브라켓
51b ... 제1안착패드 55 ... 제2서브아암
60 ... 연동와이어 65 ... 턴버클
65a, 65b ... 양단고리 70 ... 가이드롤
71, 72 ... 제1,2롤러 80 ... 손잡이
90 ... 쿠션

Claims (6)

  1. 천정에 설치된 호이스트(미도시)에 지지되는 행거몸체(10);
    상기 행거몸체(10) 일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힌지(h1)에 연결되는 제1회동브라켓(21)을 가지는 제1힌지아세이(20);
    상기 행거몸체(10)의 타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2힌지(h2)에 연결되는 제2회동브라켓(31)을 가지는 제2힌지아세이(30);
    상기 제1회동브라켓(2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차체(S)의 루프 일측이 로딩되는 제1패드유니트(41)가 설치된 제1행거아암(40);
    상기 제2회동브라켓(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으로서, 단부 각각에 상기 차체(S)의 루프 타측이 로딩되는 제2행거아암(50);
    상기 행거몸체(10)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제1힌지(h1) 하부측의 제1회동브라켓(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h2) 상부측의 제2회동브라켓(31)에 연결되는 연동와이어(60); 및
    상기 행거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동와이어(60)가 위치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70)을 포함하고;
    상기 행거몸체(10)의 양단에는 길게 대향되는 제1,2가이드공(15a)(15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아세이(20)(30)의 제1,2힌지브라켓(22)(32)에는 상기 제1,2가이드공(15a)(15b) 각각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4)(34)가 설치되며;
    상기 행거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된 연동와이어(60)는 턴버클(65)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행거아암(40)을 회동시킬 때 그 행거몸체(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몸체(10)는,
    상기 호이스트에서 연장된 후크가 걸어지는 고리(11a)가 각각 설치되는 고리브라켓(11)과;
    상기 행거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12)과;
    상기 고리브라켓(11)을 관통하여 특정 나사공(12)에 체결되는 볼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분기된 상기 제1행거아암(40)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1서브아암(45); 및
    분기된 상기 제2행거아암(50)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제2서브아암(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몸체(10), 제1,2행거아암(40)(50) 및 제1,2서브아암(45)(55)을 감싸는 쿠션(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KR1020160180870A 2016-12-28 2016-12-28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KR10185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870A KR101859459B1 (ko) 2016-12-28 2016-12-28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870A KR101859459B1 (ko) 2016-12-28 2016-12-28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59B1 true KR101859459B1 (ko) 2018-06-27

Family

ID=6278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870A KR101859459B1 (ko) 2016-12-28 2016-12-28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18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KR20220108515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이송용 흡착행거
KR20220108514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행거
KR20220108521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헤밍작업용 턴오버행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27A (ko) * 2002-03-08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27A (ko) * 2002-03-08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18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KR20220108515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이송용 흡착행거
KR20220108514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행거
KR20220108521A (ko)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헤밍작업용 턴오버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459B1 (ko)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JP6023321B2 (ja) 風力発電装置のロータブレードの取り扱い装置
KR101758507B1 (ko)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CN105113374B (zh) 一种便捷路面铺卷机械化装置
JP5703363B1 (ja) 連続ベルトコンベヤ装置のコンベヤベルト支持部材の設置方法
US11352809B2 (en) Automated fence pulling assembly
KR101181966B1 (ko) 롤 로딩 장치
EP3064418B1 (fr) Chariot de manutention
KR20210149339A (ko) 파이프 설치용 지그장치
JP5004697B2 (ja) 乗客コンベア用運搬装置
JP5320963B2 (ja) チルトハンガーを備えた搬送車
JP2014210666A (ja) 把持装置
US102870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ditioning railcar side frames
KR100534747B1 (ko) 차량 도어 행거장치
KR101821546B1 (ko)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JP6787223B2 (ja) ワイヤリング方法、およびクレーン
KR102208655B1 (ko)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CN212531634U (zh) 纺织面料加工用移动机架
JP3775863B2 (ja) 車輪搬送装着装置
JP2008087657A (ja) 搭載式車両運搬車
JP2018040575A (ja) 車両の車輪固定装置
JP7322481B2 (ja) リール運搬用台車
CN210760902U (zh) 一种转运小车
CN219620662U (zh) 一种可翻转的吊具
CN111823125A (zh) 过滤套内外抛光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