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55B1 -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55B1
KR102208655B1 KR1020190098674A KR20190098674A KR102208655B1 KR 102208655 B1 KR102208655 B1 KR 102208655B1 KR 1020190098674 A KR1020190098674 A KR 1020190098674A KR 20190098674 A KR20190098674 A KR 20190098674A KR 102208655 B1 KR102208655 B1 KR 10220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at
bar
vertical suppor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식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이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산업 filed Critical (주)이화산업
Priority to KR102019009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하는 수직지지바와 수직지지바들 사이에 연장되는 수평고정바로 구성되고,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형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소장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시트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적재판, 상기 회동형 고정바의 수직지지바들을 베이스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시트 고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베이스에 고정된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지지바의 하단에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돌출부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브라켓: 상기 수직지지바의 흘러내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으로서, 중앙에 수직지지바가 회동할 수 있는 긴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경에 수직지지바의 돌출부가 쉽게 끼워지지만 잘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잠금턱을 포함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형 고정바를 손쉽게 들어 올리거나 내일 수 있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을 방지하고, 시트적재판이 이송 중에 빠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생산라인 정지, 설비 파손, 팔레트 파손, 및 작업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SEAT FIXING INSTRUMENT AND PALLET OF TRANSPORTING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를 시트 팔레트에 고정하는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1, 2열 시트를 하나의 팔레트에 동시에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생산 공정을 살펴보면, 하나의 공장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 시트를 차체 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부품고로부터 각종 켄베이어라인을 통해 차체가 대기하고 있는 위치 또는 테스트 장소로 이송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공장에서 원격지에 있는 다른 공장으로 장거리 이송될 경우 자동차의 시트 자체 또는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이송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를 먼저 적재한 후 그 위에 뒷좌석 시트를 올린 후 이를 팔레트 밖으로 떨어지거나 뒷좌석 시트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를 이용하여 시트 전체를 고정하여, 보관하거나 자동차 조립공장으로 이송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앞좌석 시트 위에 올려있는 뒷좌석 시트에 의해 눌림이 발생하여 앞좌석 및 뒷좌석 시트 모두 변형 및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시트를 고정하는 벨트를 사용함에 있어 벨트가 지나가는 자리에 자국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자동차에서 조립 후 시트공장으로 회수하는 과정 중 벨트가 팔레트 밖으로 흘러내려 컨베어 라인에 걸리거나 운송용 자동차에 걸려 생산라인 정지 및 이를 해결하려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벨트가 오염되어도 이를 세탁하기가 어려워서 그대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자동차 시트를 오염시키게 되며, 벨트가 분실되는 경우에는 작업에 사용할 수가 없게 되고, 분실 방지를 위해 별도의 회수 박스를 구비해야 하고, 벨트의 내구성이 낮아 사용 주기가 매우 짧은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제1897537호에서,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팔레트 베이스에 적재되는 하나의 시트의 둘레를 고정하는 ㄷ자형의 제1 고정바 유니트와 제1 자동차 시트 위에 적재되는 다른 자동차 시트의 둘레를 고정하는 ㄷ자형의 제2 고정바 유니트, 및 상기 제2 고정바 유니트에 회동가능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고, 제2 자동차 시트를 지지하는 접이식 시트 지지판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서는 고정바가 고정 브라켓에 힌지로 고정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시트를 눌러 주는데, 이러한 고정바는 단순히 작업자의 힘으로 올리고 내리고는 방식이어서, 작업자의 피로도가 너무 심하고 어깨통증, 허리통증 등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고정바가 양 측면의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어 회동하므로, 좌우 밸런스가 약간만 흐트러져도 작동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프링 장력에만 의존하는 시트 고정 방식이므로, 컨베이어 운송 중 또는 자동차 운송 중에 고정바가 흘러내려 시트가 이탈되고 분실되나, 심지어는 도로에 떨어져 대형사고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시트 팔레트는 시트 하역 후 접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시트적재판이 시트 팔레트의 외각으로 빠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고, 빠져나온 시트적재판이 컨베어 가이드에 걸려 생산라인 정지 및 그 충격으로 인한 설비 파손, 팔레트 파손, 심지어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상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단순히 작업자의 힘으로 올리고 내리는 방식을 개선하여, 고정바를 올릴 때는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여 손쉽게 올리고, 내릴 때에도 갑자기 떨어지는 현재의 사양대비 압축스프링에 의해 부드럽게 내려오도록 구성한 시트 고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적재판 끝면에 턱을 형성하고 팔레트 바닥에 각도 블록을 설치하여 경사지게 내려가면서 자연스럽게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트 팔레트의 회수 중에 시트적재판이 빠지지 않아서, 생산라인 정지, 설비 파손, 팔레트 파손, 및 작업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고정 바 및 이를 이용하는 시트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 고정 기구의 고정바의 위치 및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시트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이송용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대향하는 수직지지바와 수직지지바들 사이에 연장되는 수평고정바로 구성되고,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형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소장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시트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적재판, 상기 회동형 고정바의 수직지지바들을 베이스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시트 고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베이스에 고정된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지지바의 하단에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돌출부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브라켓: 상기 수직지지바의 흘러내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으로서, 중앙에 수직지지바가 회동할 수 있는 긴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경에 수직지지바의 돌출부가 쉽게 끼워지지만 잘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잠금턱을 포함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의 힌지브라켓에 삽입되는 힌지축 내에 회동형 고정바를 들어 올릴 때에 무게감을 감소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기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시트를 추가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작업자가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핸들형 시트적재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바의 둘레에는 고정바가 슬라이딩되어 내려가도록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슈퍼 볼 부시와 슈퍼 볼 부시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형 시트적재판은 수평고정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시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시트이탈방지 어태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바는 일단이 팔레트의 베이스에 고정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스프링 타입 실린더; 일단이 회동형 고정바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 타입 실린더; 및 상기 제1 스프링 타입 실린더와 상기 제2 스프링 타입 실린더 중간에 형성되는 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고정 기구는 상기 수평고정바와 수직지지바가 연결되는 코너에 형성된 회동형 고정바를 일정한 위치 및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각도 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적재판들은 경량화를 위해 다수의 살빼기 홈을 포함하고, 앞부분에 시트 팔레트 상의 시트적재판 이탈방지용 어태치에 끼워지는 어태치 삽입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시트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연결된 상술한 본 발명의 시트 고정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열 시트 위에 적재된 제2열 시트의 상단을 고정하는 제2 회동형 고정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형 고정바는 2단으로 구성된 가스스프링과 그 사이에 삽입되는 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에는 고정바가 접힌 후에도 시트적재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시트적재판의 어태치 삽입부가 끼워지는 이탈방지용 스토퍼 어태치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스토퍼 어태치의 상단에는 시트적재판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시트 고정 기구에 의하면, 고정바를 올릴 때는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여 손쉽게 올리고, 내릴 때에도 갑자기 떨어지는 현재의 사양 대비 압축스프링에 의해 부드럽게 내려오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큰 무리 없이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어 각종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밸런스가 다소 흐트러지더라도 문제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형 고정바가 베이스 상의 스토퍼 어태치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내려가면서 자연스럽게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트 팔레트의 회수 중에 시트적재판이 빠지지 않아서, 생산라인 정지, 설비 파손, 팔레트 파손, 및 작업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형 고정바의 가스스프링이 2개의 가스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밸런스 유지를 위한 부시가 삽입되어, 수평고정부의 정중앙부 이외에 가장자리를 잡고 작동하여도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회동형 고정바의 핸들형 시트적재판을 살짝 눌러주기만 하면 회동형 고정바가 저절로 접혀서 내려가고,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스토퍼 어태치의 경사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어 내려가면서 자연스럽게 걸릴 수 있도록 하여 회수 중에 이탈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적재판 이외에 핸들형 시트적재판이 추가되어, 시트 고정 기구의 작동을 손쉽게 하면서도 다양한 길이 비율의 시트들도 편리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회동형 고정바의 회전축 내에 토션 스프링이 삽입되어 들어올리는 것도 손쉽게 할 수 있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형 고정바에 각도 캠이 적용되어, 차량 시트 팔레트에 시트를 적재할 때에 그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a는 기존의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시트를 고정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b는 종래의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회동형 고정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고정클립이 잠긴 상태와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시트적재판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시트적재판이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베이스상의 스토퍼 어태치에 끼워진 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회동형 고정바의 회전축 내에 토션스프핑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회동형 고정바의 슈퍼 볼 부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제2 회동형 고정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서 시트 적재후 회동형 고정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표시하였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공장 라인에서 생산되는 각종 차량 시트를 차체 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 시트를 적재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 라인을 타고 이동하며 적재된 차량 시트를 자동차 조립 라인 등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포함되는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시트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차량 시트를 적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 라인을 타고 이동하며 차체 조립 라인으로 차량 시트를 이송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회동형 고정바의 작동 방식을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트 고정 기구의 고정클립이 잠긴 상태와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시트 고정 기구는,
본 발명의 시트 고정 기구는 대향하는 수직지지바(120, 120')와 수직지지바들 사이에 연장되는 수평고정바(110)로 구성되고,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형 고정바(100), 상기 회동형 고정바에 소장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시트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적재판(130, 130'), 상기 회동형 고정바(100)의 수직지지바들(120, 120')을 베이스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시트 고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베이스에 고정된 힌지브라켓(151);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지지바의 하단에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돌출부(155)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브라켓(152): 상기 수직지지바의 흘러내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150)으로서, 중앙에 수직지지바가 회동할 수 있는 긴 중공부(156)가 형성되고, 내경에 수직지지바의 돌출부가 쉽게 끼워지지만 잘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잠금턱(154)을 포함하는 고정클립(153)을 포함한다.
한 쌍의 수직지지바(120, 120')는 상기 수평고정부(110)에 대해서 90도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기 때문에, 회동형 고정바(100)는 시트를 ㄷ자 형상으로 둘러싼다. 상기 회동형 고정바(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어 시트 안착후 고정 시에는 짧아지고, 시트를 안착할 시에는 길게 늘여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150, 150')은 베이스(10)에 고정된 힌지브라켓(151); 상기 힌지브라켓(151)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지지바(120)의 하단에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돌출부(155)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바(120)를 회전시키는 회전브라켓(152): 상기 수직지지바의 흘러내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153)으로서, 중앙에 수직지지바가 회동할 수 있는 긴 중공부(156)가 형성되고, 내경에 수직지지바의 돌출부(155)가 쉽게 끼워지지만 잘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잠금턱(1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동형 고정바(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돌출부(155)로 연장되고, 돌출부(155)가 고정클립(153)의 중공부(156)에 끼워지되, 상기 중공부(156)의 내경에 원형의 잠금턱(154)이 양쪽에 형성되어 돌출부(155)가 끼워지므로, 시트 팔레트의 운송 중 발생하는 충격에도 회동형 고정바(100)가 이탈하지 않는다. 이러한 잠금턱(154)에 걸린 돌출부(155)는 작업자가 작동 시에는 원활히 빠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트 고정 기구에서는 고정수단의 힌지브라켓(151)에 삽입되는 힌지축(157) 내에 토션 스프링(158)이 삽입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58)은 회동형 고정바를 내릴 때에는 스프링이 감겨서 장력이 모아지고, 회동형 고정바를 들어 올릴 때에는 모아진 장력이 풀리면서 들어올리는 힘을 튕겨주므로,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시트를 적재하고 시트 고정 기구의 회동형 고정바를 들어 올릴 때에 무게감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손쉽게 회동형 고정바를 들어 올릴 수 있게 한다.
상기 시트적재판(130, 130')은 접이식으로, 상기 회동형 고정바(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동형 고정바(100)와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시트 팔레트 위에 앞좌석 시트를 적재한 후에 제2 회동형 고정바(200)를 들어 올려 세운 후 접이식 시트적재판(130, 130')을 회전시켜 펼쳐야 하는데, 이때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고 되접히지 않고 일정한 위치와 각도를 유지하도록 각도 캠(미도시)이 수평고정바(110)의 양쪽에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시트적재판(130, 130')을 접은 상태로 상기 제2 회동형 고정바(200)를 시트 위에 세우고 상기 시트적재판 (130, 130')을 잡고 회전하여 펼치면, 상기 시트적재판(130, 130') 위에 다른 시트가 적재되어도 아래에 있는 시트가 눌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고정기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 130') 사이에 시트를 추가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작업자가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핸들형 시트적재판(1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형 시트적재판(140)은 시트적재판의 기능도 하면서 작업자가 회동형 고정바를 내리고 올리기 위한 핸들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2개의 시트적재판만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차량의 뒷좌석 시트는 모델에 따라서 반드시 좌우 폭의 비율이 1:1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모델에 따라서는 2:1 정도의 비로 길이가 상이한 경우가 있는데, 기존의 시트적재판에 그대로 올릴 경우에 밸런스가 맞지 않아 길이가 긴 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에 핸들형 시트적재판을 형성하여, 뒷좌석 시트의 길이의 비율에 관계없이 어떤 모델의 시트라도 안전하게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지지바(120)의 둘레에는 고정바가 슬라이딩되어 내려가도록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슈퍼 볼 부시(121)와 슈퍼 볼 부시를 수용하는 케이스(123)가 장착되고, 슈퍼 볼 부시(121)가 장착된 회동형 고정바(100)가 수평 방향에 대해서 약15。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슈퍼 볼 부시(121)는 슈퍼 볼 부시 케이스(123) 내에 조립된 상태이며, 회동형 고정바가 슈퍼 볼 부시를 따라서 시트 하부 공간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슈퍼 볼 부시가 장착된 회동형 고정바가 수평 방향에 대해서 약15。 경사지게 형성되면, 작업자가 ④번의 위치에서 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시트 하부공간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며 자동으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형 시트적재판(140)은 수평고정바(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시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시트이탈방지 어태치(14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바(110)와 수직지지바(120, 120')가 연결되는 코너에 형성된 고정바를 일정한 위치 및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각도 캠(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캠으로 인해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 회동형 고정바의 위치 및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적재판들(130, 130') 및 핸들형 적재판(140)은 경량화를 위해 다수의 살빼기 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적재판들(130, 130')은 접힐 때에 시트 팔레트 상의 시트적재판 이탈방지용 어태치(20)에 끼워지는 어태치 삽입부(131)를 앞부분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가 접힐 때에, 시트 팔레트 상의 시트적재판 이탈방지용 어태치(20)에 회동형 고정바(100)의 시트적재판(130)의 어태치 삽입부(131)가 슬라이딩하면서 끼워지기 때문에 이동 중에 시트적재판이 밖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시트 고정 기구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금속소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강도 특성을 갖는 것이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시트 고정 기구의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시트적재판 및 회전축 브라켓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동형 고정바(100)는 비록 바(bar)라고 표현하기는 하였으나, 고정 브라켓이 고정될 수 있고, 시트 둘레를 잡아 줄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봉의 형상이거나 각 파이프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소정의 형상의 프레임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형 고정바(100)의 수직지지바(120, 120')에는 세워진 수평고정부(1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스스프링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2단 이상의 다단 구조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수평고정부(110)를 잡고 당길 경우 수직지지바(120, 120')의 길이가 길어지고, 외력을 제거하여 수직지지바(120, 12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바(120, 120')가 각각 고정수단(150, 15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의 시트를 시트 팔레트에 적재한 후에 수평고정부(110)를 돌려서 세우기 위해 작동 시에 길어지고, 수평고정부(110)를 시트위에 타이트하게 고정한 이후에는 다시 짧은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회동형 고정바의 수직지지바(220, 220')는 일단이 팔레트의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스프링 타입 실린더(231); 일단이 회동형 고정바(100)의 수평고정부(210)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 타입 실린더(233); 및 상기 제1 스프링 타입 실린더(231)와 상기 제2 스프링 타입 실린더(233) 사이에 형성되는 부시(232)로 구성된다. 종래의 시트 팔레트에서는 회동형 고정바의 정중앙을 잡지 않으면 걸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 내부 스프링(231, 233)을 둘로 나누고, 이들 사이에 부시(232)를 삽입하여 수평고정부(110)의 어느 곳을 잡더라도 균형이 유지되어 걸림이 없이 회동형 고정바(100)를 조작할 수 있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시트를 지지하는 베이스(10) 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술한 시트 고정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 위에는 다양한 모델의 자동차 시트에 공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수 개의 합성수지 헤드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 개의 합성수지 헤드들은 자동차 시트를 시트 이송용 팔레트 위에 안착시키거나 시트 팔레트로부터 자동차 시트를 꺼낼 때 자동차 부품에 스크래치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완충장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합성수지 헤드들의 소재는 폴리우레탄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예컨대, 에폭시, 합성고무 포함)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상기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열 시트 위에 적재되는 제2열 시트의 상단을 고정하는 제2 회동형 고정바(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동형 고정바(200)는 길이조절 실린더(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0)에 대해서 측면 길이가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동형 고정바(100)와 제2 회동형 고정바(200)의 길이조절 또는 회동 메커니즘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형 고정바(200)의 좌측 및 우측 측면 부분에는 수평고정부(2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스스프링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2단 이상의 다단 구조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서, 수평고정부(210)를 당겨서 수직지지부(220, 220')의 길이를 늘이고, 외력을 제거하여 길이가 원래 길이로 복원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형 고정바(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실린더 구조의 길이조절 실린더와 회동브라켓에 상기 길이조절 실린더를 연결하는 가스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스스프링은 길이를 2등분하고, 그 중간에 밸런스 유지를 위한 부시가 삽입될 수 있다. 부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인해서 회동형 고정바의 밸런스 유지를 향상시켜서, 회동형 고정바의 중앙부 이외의 어디를 잡아도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베이스(10) 위에 시트의 구조물을 받치기 위한 다수의 헤드들이 형성되고, 제1 회동형 고정바(100), 및 선택적으로 제2 회동형 고정바(200)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상에는 고정바가 접힌 후에도 시트적재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시트적재판의 어태치 삽입부(131)가 끼워지는 이탈방지용 스토퍼 어태치(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어태치(20)의 상단에 시트적재판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21)이 형성된다. 시트적재판이 경사면(21)을 따라서 내려가 스토퍼 어태치(20)에 빠지지 않도록 확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를 하역하고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를 접어서 이동하는 중에 시트적재판이 팔레트 밖으로 빠져나와서 컨베어 가이드에 걸려 팔레트 또는 생산 설비를 파손하거나 작업자의 부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제1열 시트를 베이스(10)의 위에 올려놓게 되면, 베이스(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헤드들에 의해서 제1열 시트가 자리가 잡히면서 일차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작업자가 회동형 고정바(100)를 이용하여 제1열 시트가 운반 및 이송 도중에 넘어지지 않도록 제1열 시트를 고정시킨다. 회동형 고정바(100)는 제1열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열 시트를 고정한다.
제1열 시트를 적재한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바(100)를 세워야 하는데, 수직지지부(120) 내의 부시(232)에 의해서 수평고정부(110)의 좌우 불균형 문제가 해소되어, 수평고정부(110)를 잡아당기면 내부 로드가 길게 빠져나와 서로 걸리지 않도록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가스스프링에 의해서 정해진 위치까지 회전한 후 수평고정부(110)를 당겼던 손을 놓으면, 수평고정부(110)가 다시 내려가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시트를 고정하는 힘은 길이조절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바(200)는 측면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길이가 가변된 후에 외부의 작용력이 없어지게 되면 길이조절 실린더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회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동차 시트를 고정할 때는 고정바(200)를 당겨서 시트 둘레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자동차 시트를 하역한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상으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스토퍼 어태치
100: 회동형 고정바 120: 수평고정부
120, 120’: 수직지지바 130, 130': 시트적재판
140: 핸들형 적재판
150, 150’: 고정수단
151: 힌지브라켓 152: 회전브라켓
153: 고정클립 154: 잠금턱
155: 돌출부
200: 제2 회동형 고정바
210: 수평고정부 220, 220’: 수직지지부
231, 233: 가스스프링 232: 부시

Claims (12)

  1. 대향하는 수직지지바와 수직지지바들 사이에 연장되는 수평고정바로 구성되고, 시트 이송용 팔레트의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형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소장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시트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적재판, 상기 회동형 고정바의 수직지지바들을 베이스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시트 고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베이스에 고정된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되는 수직지지바의 하단에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돌출부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브라켓: 상기 수직지지바의 흘러내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으로서, 중앙에 수직지지바가 회동할 수 있는 긴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경에 수직지지바의 돌출부가 쉽게 끼워지지만 잘 빠지지 않도록 록킹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잠금턱을 포함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힌지브라켓에 삽입되는 힌지축 내에 토션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기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시트를 추가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작업자가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핸들형 시트적재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형 시트적재판은 수평고정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시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시트이탈방지 어태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바는 일단이 팔레트의 베이스에 고정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스프링 타입 실린더; 일단이 회동형 고정바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 타입 실린더; 및 상기 제1 스프링 타입 실린더와 상기 제2 스프링 타입 실린더 중간에 형성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고정바와 수직지지바가 연결되는 코너에 형성된 회동형 고정바를 일정한 위치 및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각도 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적재판들은 다수의 살빼기 홈들을 포함하고, 앞부분에 시트 팔레트 상의 시트적재판 이탈방지용 어태치에 끼워지는 어태치 삽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 기구.
  9. 제1항 또는 제8항의 시트 고정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베이스 상에 시트 고정 기구가 고정되고, 베이스 상에는 고정바가 접힌 후에도 시트적재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시트적재판의 어태치 삽입부가 끼워지는 이탈방지용 스토퍼 어태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스토퍼 어태치의 상단에 시트적재판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열 시트 위에 적재되는 제2열 시트의 상단을 고정하는 제2 회동형 고정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실린더 구조의 길이조절 실린더와 회동브라켓에 상기 길이조절 실린더를 연결하는 가스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스스프링은 길이를 2등분하고, 그 중간에 밸런스 유지를 위한 부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KR1020190098674A 2019-08-13 2019-08-13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KR10220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74A KR102208655B1 (ko) 2019-08-13 2019-08-13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74A KR102208655B1 (ko) 2019-08-13 2019-08-13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55B1 true KR102208655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74A KR102208655B1 (ko) 2019-08-13 2019-08-13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50Y1 (ko) * 2005-12-14 2006-02-24 상은미 주식회사 우편함
KR101636227B1 (ko) * 2016-03-23 2016-07-04 노홍일 시트 이송용 팔레트
KR101834668B1 (ko) * 2016-10-13 2018-03-05 노홍일 이송용 팔레트
KR20180049637A (ko) * 2016-11-03 2018-05-11 (주)이화산업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50Y1 (ko) * 2005-12-14 2006-02-24 상은미 주식회사 우편함
KR101636227B1 (ko) * 2016-03-23 2016-07-04 노홍일 시트 이송용 팔레트
KR101834668B1 (ko) * 2016-10-13 2018-03-05 노홍일 이송용 팔레트
KR20180049637A (ko) * 2016-11-03 2018-05-11 (주)이화산업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742A (en) Car door separating and attaching device
US7325848B2 (en) Moveable guard assembly for all terrain vehicle
KR101897537B1 (ko)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
JP2006290340A (ja) 横転可能な取付け・取外し工具を備える着脱装置
US20100092269A1 (en) Wheel handling apparatus
KR102208655B1 (ko)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KR101859459B1 (ko) 호이스트 차체 이송용 행거장치
US5449031A (en) Tire support and safety cage apparatus and method
US6044928A (en) Tire mountable stepstool
EP1118454B1 (en) Supportive pin rack for green tire storage
US20220258533A1 (en) Vehicle Tire/Wheel Changing Device
US6328168B1 (en) Supportive pin rack for green tire storage
JP4291332B2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格納装置
KR20100066048A (ko) 이송대차
US5099757A (en) Spring rate control in a screen printing device
CN113978219B (zh) 一种皮卡用减震顶棚及其使用方法
CN109649781B (zh) 料架
US3951279A (en) Truck mounted extendable flexible conveyor
CN210259840U (zh) 制动器转运器具
JP2563733Y2 (ja) 予備タイヤ支持装置
KR101643565B1 (ko) 타이어 운반장치
CN110949424B (zh) 防脱装置及具有其的运输车
KR940005212Y1 (ko)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KR101565289B1 (ko) 금형 교체 가이드 부재
KR101072323B1 (ko)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