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212Y1 -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212Y1
KR940005212Y1 KR2019910008117U KR910008117U KR940005212Y1 KR 940005212 Y1 KR940005212 Y1 KR 940005212Y1 KR 2019910008117 U KR2019910008117 U KR 2019910008117U KR 910008117 U KR910008117 U KR 910008117U KR 940005212 Y1 KR940005212 Y1 KR 940005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ing
expansion
lif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554U (ko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최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최성대 filed Critical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212Y1/ko
Publication of KR930000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제1도는 본 고안 견인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견인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견인장치의 작용설명도로서, 제3(a)도는 절첩부의 절첩상태도, 제3(b)도는 신축실린더의 신축상태도, 제3(c)도는 승강실린더의 승강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 견인장치의 안착수단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안착수단의 작용도로서, 제5(a)도는 접힌상태의 단면도, 제5(b)도는 타이어 크기에 따른 안착, 인양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절수단 5 : 안착수단
5A : 고정부 5B : 절첩부
5C : 안착부 32 : 신축실린더
35 : 승강실린더 52 : 안내축
53 : 지지축 54 : 제한돌기
55 : 걸림돌기 56 : 지지대
57 : 고정구멍 58 : 안착대
본 고안은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더욱 상세히는 프레임의 후단에 자동신축, 승강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절첩할 수 있는 견인장치를 설치하여, 피견인 차량의 인양, 견인 작업을 자동으로 신속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고, 견고한 견인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 견인차량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견인차량은 통상, 프레임 상부의 적재판에 소정형상의 인양대를 설치하고, 그 상단에는 체인블록(Chain Block)등의 인양수단을 구비하였으며, 체인블록의 인양측 체인하단에는 피견인차량의 차륜을 고정하는 연결수단을 설치한 등의 구성으로 일어져 있다.
따라서, 차량의 견인시에는 우선, 연결수단을 피견인차량의 하부로 밀어넣어 주변부품에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지연되고, 이러한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중의 높은 안전 사고 발생율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인양수단으로 피견인차량의 전륜측을 들어 올려야 하는데, 작은 힘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체인블록 자체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장시간 핸드체인을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견인차량 자체는 그 적재한에 인양대와 체인블록,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단순히 견인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도 시급히 해소되어야할 또 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피견인차량의 인양, 견인작업을 자동으로 신속히 수행하여 작업효율 극대화의 안전사고 방지를 도모함은 물론, 그 설치부위가 견인차량의 프레임 하단에 국한되어 견인차량의 적재함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견인차량의 견인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견인장치(1)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견인차량(2)의 프레임(21) 후단에 신축, 승강될 수 있도록 구비된 조절수단(3)과, 조절수단(3)에 선택적인 절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견인차량(4)을 지지고정하는 안착수단(5)으로 구성된다.
조절수단(3)은, 후단의 연결구(31a)가 프레임(21)에 고정된 신축실린더(32)와 신축실린더(32)내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출몰작동되는 신축로드(33)와, 신축실린더(32)상면의 연결구(31b)와 프레임(21) 사이에 경사상으로 구비되어 유,공압에 의해 승강로드(34)가 신축실린더(32)를 소정각도로 회동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5)로 구성된다.
안착수단(5)은; 상기 신축로드(3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틀(51)과, 고정틀(51)후면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안내축(52)과, 안내축(5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지지되는 지지축(53)으로 구성된 고정부(5A)와; 상기 안내축(52)의 양측 소정부위에 구비된 제한돌기(54)에 제한돌기(54)에 걸림지지되어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축(53)에 구비된 걸림돌기(55)로 구성된 절첩부(5B)와; 상기 지지축(53) 후단 양측에 각각 소정길이로 연장 설치되며 한쌍의 대향하는 판체로된 지지대(56)와, 지지대(56)에 소정간격으로 대향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멍(57)과, 고정구멍(57)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어 피견인차량(4)의 타이머(T)를 안착지지하는 한 쌍의 안착대(58)로 구성된 안착부(5C)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59)는 힌지축이고 (22)는 프레임(21)에 구비된 설치대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 견인장치(1)는 이동중 또는 평상시에 제3(a)도에서와 같이, 조절수단(3)의 신축, 승강실린더(32,35)는 최대 긴축이고 안착수단(5)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안착수단(5)의 절첩회동은 즉, 제4도에서와 같이, 고정부(5A)의 안내축(52)에 삽입지지된 지지축(53)의 걸림돌기(55)가 안내축(52)의 제한돌기(54)에 선택적으로 걸림지지되어 위치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착수단(5)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제5(a)도에서와 같이 지지축(53)의 걸림돌기(55)가 안내축(52)의 제한돌기(54)하면에 걸림지지되어 지지축(55)에 구비된 지지대(56)는 접혀진 상태가 됨을 의미한다.
피 견인차량(4)의 인양, 견인시에는 우선, 안착수단(5)을 펼쳐주게 되는데, 안착부(5C)의 지지대(5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지지축(53)이 안내축(52)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며, 지지대(56)가 180°정도 회전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가 되면 지지축(53)의 걸림돌기(55)가 안내축(52)의 제한돌기(54) 상면에 걸림지지되어 제5(b)도의 상태가 된다.
한편, 안착수단(5)의 안착부(5C)는 피견인차량(4)의 타이머(T)하부로 삽입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작동은 조절수단(3)에 의해 진행된다.
즉, 견인차량(2)에 설치된 견인장치(1)로 부터 피견인차량(4)까지의 거리는 신축실린더(32)의 유,공압에 의해 신축로드(33)가 신장되어 그 끝단에 연결된 안착수단(5) 전체가 피견인차량(4)측으로 수평이동 접근 하게 된다(제3(b)도참조).
또한, 견인장치(1)의 위치와 피견인차량(4)의 타이머(T)간에 높이차이는 승강실린더(35)의 유,고압에 의한 승강로드(34)의 신축에 의해 보상하게 되는데, 신축실린더(32)는 그 일단에 연결구(31a)가 프레임(21)에 힌지 고정된 상태이고, 타단의 연결구(31b)에는 승강로드(34)가 힌지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강로드(34)의 신축은 연결구(31a)를 힌지로 한 신축실린더(32)의 회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신축로드(32)의 끝단에 고정된 안착수단(5)도 회동정도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된다(제3(c)도참조).
안착수단(5)의 지지대(56)가 타이머(T)의 하단에 근접된 상태에서는 지지대(56)의 안착대(58)를 제거한 상태, 또는 간격을 조정한 상태로 타이머(T)를 적재하게 된다.
안착대(58)의 간격조정은 제5(b)도에서와 같이 피견인차량(4)의 타이머(T)크기에 맞추어 지지대(56)의 고정구멍(57)에 안착대(58)를 고정시킴으로써 완료되며, 안착대(58)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지지대(56)가 타이어(T)의 양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 타이머(T)의 크기에 맞추어 고정구멍(57)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타이머(T)의 안착은 완료되며 이후 조절수단(3)의 작동에의해 인양이 개시된다.
우선, 승강실린더(35)의 유,공압에 의해 승강로드(34)가 긴축되며, 신축실린더(32) 및 이에 연결된 안착수단(5)은 수평상태로 복귀되어, 안착부(5C)에 타이어(T)가 안착된 피견인차량(4)은 소정의 높이로 인양되며, 계속하여 신축실린더(32)의 신축로드(33)가 긴축되어 제1도에서와 같은 견인상태가 된다.
이후, 소정장소로의 견인완료후 피견인차량(4)의 분리는 상기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본 고안 견인장치(1)는 조절수단(3)에 의해 피견인차량(4)의 인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행되고, 안착수단(5)에 의해 타이머(T)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견고한 안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21)의 후단 하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신축, 절첩할 수 있으므로 견인차량(2)의 사용범위가 넓어짐은 물론 최소한의 설치공간을 요구하는 등의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Claims (1)

  1. 후단이 견인차량(2)의프레임(21)에 힌지고정되고 출몰하는 신축로드(33)를 구비한 신축실린더(32)와, 상기 프레임(21)과 신축실린더(32)의 전면에 연결설치되어 신축실린더(32)를 회동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5)로 이루어진 조절수단과, 상기 신축로드(33)에 고정설치되며 그 후단에 안내축(52)을 구비한 고정틀(51)과 상기 안내축(5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지지되는 지지축(53)과, 지지축(53)의 후단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 한쌍으로 구성된 지지대(56)와, 지지대(56)의 전후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어 타이머(T)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안착대(58)로 이루어지는 안착수단(5)과, 상기 안내축(52)과 지지축(53)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54)와, 제한돌기(54)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돌기(55)로 구성된 절첩부(5A)와, 상기 지지대(56)의 측면에 복수개의 고정구멍(57)을 소정간격으로 형성하여 타이머(T)의 크기에 따라 안착대(58)를 선택 고정시키게된 안착부(5C)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KR2019910008117U 1991-06-03 1991-06-03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KR940005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17U KR940005212Y1 (ko) 1991-06-03 1991-06-03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17U KR940005212Y1 (ko) 1991-06-03 1991-06-03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54U KR930000554U (ko) 1993-01-20
KR940005212Y1 true KR940005212Y1 (ko) 1994-08-05

Family

ID=1931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117U KR940005212Y1 (ko) 1991-06-03 1991-06-03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2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73A (ko) * 2001-04-20 2002-10-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견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210B1 (ko) * 2000-11-16 2003-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토우윙 디바이스 어댐터 연결구조
KR100858866B1 (ko) * 2006-08-04 2008-09-16 황승하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73A (ko) * 2001-04-20 2002-10-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54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2871A (en) Wheel lift apparatus
US3871695A (en) Folding truck bumper
US4932830A (en) Motor vehicle and boat trailer
US11130436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5993133A (en) Retractable spare tire carrier
US4492506A (en) Under vehicle carrier for a spare wheel
US4787600A (en) Transmission jack attachment
US4904146A (en) Wheel retainer blade for wheel lift apparatus
US4516423A (en) Vehicle frame clamping and support apparatus
US4993909A (en) Wheel retainer blades for wheel lift apparatus
KR940005212Y1 (ko)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US5908280A (en) Wheel lift apparatus for vehicle towing and related methods
US5294098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car door
US4859134A (en) Foldable ramp extension for wheel lift apparatus
JPH04502745A (ja) 自動車持ち上げ装置
US5101654A (en) Apparatus for pulling deformations from metal frame structures
US5544861A (en) Adjustable riser-ramp assembly
US3999419A (en) Body and frame straightening machine
US6925848B2 (en) Multiple movable carriages with multi-radius tracks and tilted rollers
KR100235052B1 (ko) 차량 견인 후크의 강도 및 내구성 시험장치
US4862727A (en) Hois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US11565559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JPH07306122A (ja)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固定装置
US3652056A (en) Vehicle jack
US3762585A (en) Adjustable spacer block system for use in tow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