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866B1 -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866B1
KR100858866B1 KR1020060073779A KR20060073779A KR100858866B1 KR 100858866 B1 KR100858866 B1 KR 100858866B1 KR 1020060073779 A KR1020060073779 A KR 1020060073779A KR 20060073779 A KR20060073779 A KR 20060073779A KR 100858866 B1 KR100858866 B1 KR 10085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support
support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637A (ko
Inventor
황승하
Original Assignee
황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하 filed Critical 황승하
Priority to KR102006007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8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4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n elongated single bar or tube
    • B60D1/15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n elongated single bar or tube comprising telescopic or fold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여 휴대가 편리한 차량의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립식 견인장치는 차량의 우측 휠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측을 이동시키는 우측이동유닛;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대향 되도록 상기 차량의 좌측 휠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측을 이동시키는 좌측이동유닛; 및, 상기 우측이동유닛 및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 결합되는 차량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이동유닛, 상기 우측이동유닛 및 상기 차량지지유닛을 분리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차량 견인시에는 이들을 조립하여 차량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견인, 조립식, 견인장치, 차량지지, 이동유닛

Description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a knockdown tow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의한 조립식 견인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견인장치의 구성요소 중, 우측이동유닛과 우측버팀보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견인장치의 구성요소 중, 좌측휠받침부재와 좌측버팀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견인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모두 조립한 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견인축유닛과 좌,우측휠받침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조립된 것을 차량의 앞바퀴 밑으로 밀어넣은 후, 좌,우측이동유닛 및 좌,우측버팀보부재를 추가로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추가로 연결지지대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 상태에서 지렛대를 지렛대삽입구에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 상태에서 지렛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량지지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 상태에서 견인축유닛의 고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립식 견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조립식 견인장치 20:우측이동유닛
40:좌측이동유닛 58:차량지지유닛
60:견인축유닛 70:좌측휠받침부재
100:좌측버티보부재 98:차량좌측지지유닛
100:좌측버팀님보부재 130:우측휠받침부재
160:추측버팀보부재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하게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차량 견인이 필요할 때에 신속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 고장이 났거나, 주차 위반한 경우 등 차량을 견인하여야할 경우에는 견인차량을 이용한다. 견인차량은 차량 견인을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차량으로 견인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운전도중 고장이나 사고로 인해 견인이 필요한 경우, 주위에 동료차량이 있거나 지나가는 다른 차들이 도와 줄려고 해도 일반적인 차량을 이용하여 차를 견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고장 난 차량의 운전자는 반드시 견인차를 불러야 했고, 견인차가 오는 동안 두 손 놓고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또한, 견인차가 오기 힘든 지역인 경우에는 상황이 더욱 심각했다.
특히, 요즘에는 대부분의 보험가입 운전자들이 차량 고장 시, 보험출동서비스를 요청하는데, 막상 현장에서 서비스 기사가 차량의 고장 정도를 확인하면 차량을 견인하여 정비소에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서비스 기사는 견인할 수 없고 견인차를 다시 불러 견인작업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물론,이럴 경우 시간낭비도 많고, 비용면에서도 운전자의 부담액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차량에 적재하여 다닐 수 있도록, 분해가 가능하며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즉석에서 조립하여 차량을 견인할 수 있는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조립식 견인장치는, 차량의 우측 휠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측을 이동시키는 우측이동유닛;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대향 되도록, 상기 차량의 좌측 휠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측을 이동시키는 좌측이동유닛; 및, 상기 우측이동유닛 및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 결합되는 차량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이동유닛, 상기 우측이동유닛 및 상기 차량지지유닛을 분리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차량 견인시에는 이들을 조립하여 차량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차량에 적재가 가능하고 조립이 간편하고,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지지유닛은, 일 측이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힌지 결합되며, 차량의 우측 휠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차량우측지지유닛; 상기 차량우측지지유닛과 대향 되도록, 일 측이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결합되며, 차량의 좌측 휠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차량좌측지지유닛; 및, 일 측이 상기 차량우측지지유닛 및 상기 챠량좌측지지유닛과 조립되며, 타 측이 견인차와 연결되는 견인축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량우측지지유닛은,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힌지 결합되는 우측버팀보부재와, 상기 우측버팀보부재와 결합되는 우측휠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좌측지지유닛은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결합되는 좌측버팀보부재와, 상기 좌측버팀보부재와 결합되는 좌측휠받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측휠받침부재 및 우측휠받침부재 각각은, 상기 좌측휠 또는 상기 우측휠의 3면을 감쌀 수 있는 제 1 내지 제 3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를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시키는 별도의 분리 가능한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이동유닛 및 상기 좌측이동유닛 각각은, 바퀴, 상기 바퀴에 연결된 홀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지지유닛은 상기 홀더부재의 일 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재가 높이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차량지지유닛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a)견인될 차량과 접촉되어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는 차량지지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견인될 차의 양 앞바퀴 밑으로 밀어 넣는 단계; b)상기 견인될 차량의 양 앞바퀴 하부에서 상기 차량지지유닛의 일부가 폐루프를 형성되도록, 연결봉을 상기 견인될 차량의 양 앞바퀴 후방에서 상기 차량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 c)바퀴가 달린 좌, 우측이동유닛을 상기 차량지지유닛에 연결시키는 단계; d)상기 차량지지유닛에 견인차와 연결되는 견인축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e)상기 차량지지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e)단계는, 상기 좌,우측이동유닛의 각각에 구비된 홀더의 지렛대삽입구에 지렛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렛대를 회전시켜 상기 좌,우측이동유닛의 홀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립식 견인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립식 견인장치(12)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좌측이동유닛(40)과 차량지지유닛(58) 중 좌측버팀보부재(100)를 설 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좌측버팀보부재(100)와 좌측휠받침부재(7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립식 견인장치(12)는, 차량지지유닛(58), 좌측이동유닛(40), 우측이동유닛(20) 및 견인축유닛(60)을 포함한다.
차량지지유닛(5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우측이동유닛(20)과 힌지 결합되고 타 단이 견인축유닛(60)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는 차량우측 지지유닛(128)과, 일단이 좌측이동유닛(40)과 힌지 결합되고 타 단이 견인축유닛(60)에 삽입되는 차량좌측 지지유닛(98)으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좌측 지지유닛(98)은, 좌측버팀보부재(100) 및 좌측휠받침부재(70)로 구성되며, 차량우측지지유닛(128)은, 우측버팀보부재(160) 및 우측휠받침부재(130)로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버팀보부재(100,160) 각각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직보(106,166), 제 1보(102,162) 및 제 2보(104,164)를 포함하며,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수직보(106,166)는, 수직축(Y)에 대하여 전방으로 일정각도(θ) 기울어져 있고(도 2 및 3 참조), 좌측 또는 우측이동유닛(40,20)의 홀더(44,24)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hinge connection) 되어 있다. 제 1 보(102,162)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보(106,166)와는 'T'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제 2 보(104,164)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1 보(102,162)와는 'ㄱ'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보(102,162)의 일단, 즉 제 2보(104,164)와 연결된 단과 반대 편 끝단에는 제 2 보(104,164)와 평행한 방향으로 약간 꺽어진 돌출부(109,169)가 구비된다. 이 돌출부(109,169)는 후술될 좌측 또는 우측휠받침부재(100,130)의 삽입구(89,139)에 삽입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볼트구멍이 제 2 보(104,164)에는 각각 3개씩(105,108)(165,168), 돌출부(109,169)에 각각 1개씩(107)(167)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된 좌측 또는 우측휠받침부재(70,130) 및 견인축유닛(60)과 조립된 후 조립이 풀리지 않도록 볼트 또는 핀(181)(도 4 참조)이 체결되는 구멍들이다.
좌측휠받침부재(70) 및 우측휠받침부재(130) 각각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지지대(72,74,76)(132,134,136) 및 연결지지대(80)(140)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지지대(72,74)(132,134)는 차량의 타이어 광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타이어의 지름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제 3지지대(76)(136)는 제 1 및 제 2 지지대(72,74)(132,134)를 직각으로 연결하고, 견인축유닛(60)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도록 제 2 지지대(74)(734)를 지나 견인축유닛(60)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지지대(74)(134)의 연장부분(76a,136a)을 제외하면 제 1 내지 제 3 지지대(72,74,76)(132,134,136)는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지지대(74,134)의 일 측면은 좌측 또는 우측버팀보부재(100,160)의 돌출부(109,16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89,139)와 볼트구멍(77,1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대(72)(132)와 제 2 지지대(74)(134)의 일단에는 제 3 지지대(76)(136)와 평행하게 제 1 및 제 2 받침판(84,86)(154,156)이 각각 일정길이 마주 보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받침판(84,86)(154,156)의 상면에는 제 1 및 제 2 덕트(81,83)(151,153)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지지대(80)(140)는 후방플레이트(78)(138)와 연결봉(82)(142)으로 구성된다. 후방플레이트(78)(138)는 'ㄱ'자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저면에 제 3덕트(85)와 제 4덕트(87)를 구비한다(도 3 참조)-도 3에서 좌측휠받침부재(70)의 후방플레이트(78)에 구비된 제 3 및 제 4 덕트(85,87)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우측휠받침부재(130)의 후방플레이트(138)에도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다. 연결봉(82)(142)각각은, 좌측휠받침부재(70)를 예로들면, 제 1 내지 제 4덕트(81,83,85,87)를 관통하면서 제 1 내지 제 3 지지대(72,74,76)와 함께 사각형상의 폐루프(closed loope)를 형성한다. 후술 되겠지만, 이 4각형 내에 견인될 차량의 전방 타이어가 위치된다.
좌측이동유닛(40) 및 우측이동유닛(2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또는 우측바퀴(42,22), 홀더(44,24)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홀더(44,24)는, 도 2에 우측이동유닛(20)을 예로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상이며, 길이(D)의 중심축(X)에서 전단으로 편향된 위치에 바퀴(22)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2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후단 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버팀보부재(100,160)의 수직보(106,166) 상부가 연결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hinge conection)되어 있다. 홀더(24)의 상면(21)에는 지렛대를 삽입할 수 있는 지렛대삽입구(28)가 홀더(24)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반시계방향, 즉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홀더(24)를 회전시키면 수직보(166)가 같이 회전되면서 홀더(24)의 'ㄷ'자 내부공간(27)으로 삽입되면서 높이가 상승되어 우측버팀보부재(16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우측이동유닛(2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좌측이동유닛(40)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작동한다.
견인축유닛(60)은, 도 1을 참조하면, 중앙보(64)와 견인축(62)을 구비한다. 중앙보(64)는 내부가 빈 덕트형상이며, 양측 단으로 좌측 및 우측휠받침부재(70,130)의 제 3 지지대(76,136) 중 돌출부분(76a,136a)이 삽입된 후, 중앙보(64) 및 제 3지지대(76,136)에 형성된 볼트구멍(75,135)에 볼트나 핀을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견인축(62)은 중앙보(64)와 'T'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 단에 견인하는 차량에 연결될 고리(65)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견인축(62) 일단의 높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높게 형성되어있으나, 이는 견인할 차의 종류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고 이 부분을 모든 차에 적용가능하도록 플렉서블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조립식 견인장치(12)의 각 구성요소가 모두 조립된 후, 좌측 및 우측이동유닛(40,20)의 각 홀더(42,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좌, 우버팀보부재(100,160)의 수직보(106,166)가 홀더(42,22)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도 1 및 도 2 참조). 차량지지유닛(58) 전체는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상승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보(106,166)가 홀더(42,22) 내부공간에서 빠지지 않도록 홀더(42,22)에 형성된 구멍(25)에 핀(181)을 끼운다. 다른 홀더구멍들에도 핀(181)이 꽂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한 조립식 견인장치(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견인방법의 일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축유닛(60)과 좌,우측휠받침부재(70,130)를 연결한다(S1)(도 11참조). 이들의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지지대(76,136)의 돌출부분(76a,136a)을 견인축유닛(60)의 중앙보(64)에 양측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차량지지유닛(58)의 일부를, 도 5와 같이, 견인될 차의(300) 앞바퀴(320)가 좌,우측휠받침부재(70,160)의 제 1 및 제 2 지지대(72,74)(132,134) 사이에 위치되도록 차량 밑으로 밀어 넣는다(S2)(도 11참조).
이런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좌측이동유닛(40)과 힌지 결합된 좌측버팀보부재(100)의 제 2보(104)를 좌측휠받침부재(70)의 제 3 지지대(76) 내부로 삽입시키고, 우측이동유닛(20)과 힌지 결합된 우측버팀보부재(160)의 제 2 보(164)를 우측휠받침부재(130)의 제 3 지지대(135)(도 1참조) 내부로 삽입시킨다(S3)(도 11참조). 이와 같이 삽입되면, 좌,우측 버팀보부재(100,160)의 제 1 보(102,162) 일단에 돌출된 돌출부(109,169)가 제 2지지대(74,134)의 삽입구(89,139)(도 1 참조)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끼워지면 각 부재의 볼트구멍들이 서로 일치되며(133과 168이 일치됨, 73과 108이 일치됨,107과 77이 일치됨,167과 137이 일치됨, 75와 105가 일치됨)(도 1 참조) 각 볼트구멍들에 볼트 또는 핀을 끼워 각각의 부재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측휠받침부재(70,130)의 연결봉(82,142)을, 상기 차량지지유닛의 일부가 폐루프를 형성되도록, 제 1 및 제 2 지지 대(72,74)(132,134)(도 1참조), 후방플레이트(78,138)의 제 1 내지 제 4 덕트(81,83,85,87)(도 3참조)에 삽입시킨다(S4)(도 11참조).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지지유닛(58), 견인축유닛(60) 및 좌,우측이동유닛(40,20)이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견인될 차량의 우측바퀴(340)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그런 다음, 도 8과 같이, 길이가 긴 지렛대(170)를 좌,우측이동유닛(40,20)의 홀더(42,22) 상단에 형성된 지렛대삽입구(113,28)(도 1 참조)에 끼운다(S5)(도 11참조), 도 9와 같이, 지렛대(170)를 회전시키으로써, 좌,우측이동유닛(40,20)의 홀더(42,22)의 길이방향이 높이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킨다(S6)(도 11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42,22)가 회전되면 이와 힌지결합된 수직보(166)가 상승되면서 홀더(42,22)의 내부공간(27)(도 2 참조)으로 삽입되고 차량지지유닛(58)은 지면으로부터 상승된다(도 4 참조). 그런 다음 수직보(106,166)가 홀더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홀더(42,22)의 구멍(25)에 핀을 꽂아 고정시킨다.
이렇게 견인될 차량(300)의 앞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견인축유닛(60)의 고리(65)를 견인할 차(200)에 연결하여 견인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립식 견인장치는, 각 구성요소로 분해하여 자신의 차량에 탑재하고 다니면서, 차량의 견인이 필요할 시에 이를 즉석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견인차량을 기다릴 필요없이 신속하고 저렴하게 견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험회사의 서비스 기사도 차량고장으로 출장서비를 실시할 시, 현장에서 수리하지 못하고 견인해야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견인차가 올 동안 고객을 기다리게 할 필요가 없이 모든 서비스를 원스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차량의 우측 휠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측을 이동시키는 우측이동유닛;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대향 되도록 상기 차량의 좌측 휠 측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측을 이동시키는 좌측이동유닛; 및,
    상기 우측이동유닛 및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 결합되는 차량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이동유닛, 상기 우측이동유닛 및 상기 차량지지유닛을 분리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차량 견인시에는 이들을 조립하여 차량을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유닛은,
    일 측이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힌지 결합되며, 차량의 우측 휠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차량우측지지유닛;
    상기 차량우측지지유닛과 대향 되도록, 일 측이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결합되며, 차량의 좌측 휠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차량좌측지지유닛; 및,
    일 측이 상기 차량우측지지유닛 및 상기 챠량좌측지지유닛과 조립되며, 타 측이 견인차와 연결되는 견인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우측지지유닛은, 상기 우측이동유닛과 힌지결합되는 우측버팀보부재와, 상기 우측버팀보부재와 결합되는 우측휠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좌측지지유닛은 상기 좌측이동유닛과 힌지결합되는 좌측버팀보부재와, 상기 좌측버팀보부재와 결합되는 좌측휠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휠받침부재 및 우측휠받침부재 각각은,
    상기 좌측휠 또는 상기 우측휠의 3면을 감쌀 수 있는 제 1 내지 제 3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를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시키는 별도의 분리 가능한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이동유닛 및 상기 좌측이동유닛 각각은, 바퀴, 상기 바퀴에 연결된 홀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지지유닛은 상기 홀더부재의 일 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재가 높이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차량지지유닛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장치.
  6. a)견인될 차량과 접촉되어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는 차량지지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견인될 차의 양 앞바퀴 밑으로 밀어 넣는 단계;
    b)상기 견인될 차량의 양 앞바퀴 하부에서 상기 차량지지유닛의 일부가 폐루프를 형성되도록, 연결봉을 상기 견인될 차량의 양 앞바퀴 후방에서 상기 차량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
    c)바퀴가 달린 좌, 우측이동유닛을 상기 차량지지유닛에 연결시키는 단계;
    d)상기 차량지지유닛에 견인차와 연결되는 견인축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e)상기 차량지지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좌,우측이동유닛의 각각에 구비된 홀더의 지렛대삽입구에 지렛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렛대를 회전시켜 상기 좌,우측이동유닛의 홀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견인방법.
KR1020060073779A 2006-08-04 2006-08-04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KR10085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79A KR100858866B1 (ko) 2006-08-04 2006-08-04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79A KR100858866B1 (ko) 2006-08-04 2006-08-04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017U Division KR200430766Y1 (ko) 2006-08-04 2006-08-04 조립식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37A KR20080012637A (ko) 2008-02-12
KR100858866B1 true KR100858866B1 (ko) 2008-09-16

Family

ID=3934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779A KR100858866B1 (ko) 2006-08-04 2006-08-04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8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3513A1 (en) * 2015-09-22 2017-03-30 Tran Khoa Van Towing systems
USD823732S1 (en) 2016-09-21 2018-07-24 Khoa Van Tran Motorcycle transport trailer
USD1009708S1 (en) 2021-04-05 2024-01-02 Khoa Van Tran Tow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73B1 (ko) * 2013-11-05 2015-05-12 (주)태진이엔지 차량의 견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911A (ja) 1986-11-04 1988-05-21 Toshio Kondo 二輪車牽引具
JPH01132435A (ja) * 1987-11-18 1989-05-24 Tsuneo Takanami 車輌運搬方法
KR930000554U (ko) * 1991-06-03 1993-01-20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KR970000831U (ko) * 1995-06-14 1997-01-21 승용차의 트레일러 견인장치
JP2003104119A (ja) 2001-10-01 2003-04-09 World:Kk 牽引台車の牽引方法及び牽引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6911A (ja) 1986-11-04 1988-05-21 Toshio Kondo 二輪車牽引具
JPH01132435A (ja) * 1987-11-18 1989-05-24 Tsuneo Takanami 車輌運搬方法
KR930000554U (ko) * 1991-06-03 1993-01-20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KR970000831U (ko) * 1995-06-14 1997-01-21 승용차의 트레일러 견인장치
JP2003104119A (ja) 2001-10-01 2003-04-09 World:Kk 牽引台車の牽引方法及び牽引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3513A1 (en) * 2015-09-22 2017-03-30 Tran Khoa Van Towing systems
US10005504B2 (en) 2015-09-22 2018-06-26 Khoa Van Tran Towing systems
USD823732S1 (en) 2016-09-21 2018-07-24 Khoa Van Tran Motorcycle transport trailer
USD1009708S1 (en) 2021-04-05 2024-01-02 Khoa Van Tran Tow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37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8983A1 (en) Underbed hitch mounting system
KR100858866B1 (ko) 조립식 견인장치 및 방법
JP3690713B2 (ja)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US4175768A (en) Collapsible trailers
US20230406053A1 (en) Underbed hitch mounting system
JP2007523000A (ja) 自動車のフレーム
US20110001303A1 (en) Tow assembly for heavy trucks
FR2983125A1 (fr) Ensemble d&#39;atte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de traction
CN102421657B (zh) 用于将支柱附接到车架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车辆
US8123244B2 (en) Low profile saddle mount
KR200430766Y1 (ko) 조립식 견인장치
EP1233901B2 (en) Conn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fifth wheel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US11672363B2 (en) Connec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clined display of a vehicle
JP2024044970A (ja)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構成部材ユニット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構成部材ユニットの搬送方法
JP2023554403A (ja) 厚物分配ブームを装着するためのブーム台座を有するフレーム
JP6521361B2 (ja) 車軸の支持構造
RU2260536C2 (ru) Модульная ра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с пониженной безбортовой платформой
WO1998008658A1 (en) Device for assembling a vehicle frame
KR200460354Y1 (ko) 길이가 가변되는 틸팅 트레일러
CN216590321U (zh) 一种用于过风管的台车立柱和台车
JP2017198060A (ja) スロープ装置
KR100885046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CN219297090U (zh) 演出装置
KR20050039993A (ko) 트레일러 견인용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