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873A - 차량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873A
KR20020081873A KR1020010021316A KR20010021316A KR20020081873A KR 20020081873 A KR20020081873 A KR 20020081873A KR 1020010021316 A KR1020010021316 A KR 1020010021316A KR 20010021316 A KR20010021316 A KR 20010021316A KR 20020081873 A KR20020081873 A KR 2002008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ylinder
rod
fastening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남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1873A/ko
Publication of KR2002008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22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e.g. thermosiphon radi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인차량에 구비된 견인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인시 피견인차량에서 발생하는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견인차량을 간단하게 견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은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차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차체에 체결된 승강실린더(110)와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승강봉(100)과; 일측은 상기 승강봉(100)의 후측 단부에 체결되고,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틸드실린더(210)가 구비된 틸드봉(200)과; 일측은 상기 틸드봉(200)의 하측 단부에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신장실린더(310)가 구비된 신장봉(300)과;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장봉(300)과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체결봉(400)과; 상기 체결봉(40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각으로 회동하는 체결단(510)을 제어하는 체결실린더(520)와; 상기 승강실린더(110), 틸드실린더(210), 신장실린더(310) 및 체결실린더(520)에 연결되어 유압을 송출시키는 기어펌프(600)와; 상기 기어펌프(600)에서 상기 승강실린더(110), 틸드실린더(210), 신장실린더(310) 및 체결실린더(520)로 송출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710)로 이루어진 제어부(700)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800)로 구성되어, 견인시 발생하는 피견인차량의 차체 손상을 저하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을 간단하게 견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견인장치 {Apparatus for tracing a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인차량에 구비된 견인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인시 피견인차량에서 발생하는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견인차량을 간단하게 견인하기 위한 장치로써, 견인시 발생하는 피견인차량의 차체 손상을 저하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을 간단하게 견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견인장치는 차량이 주행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이 자력으로 운행할 수 없을 때, 또는 주정차금지위치에 차량을 주정차 하여 이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이러한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하여 견인차량에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견인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견인장치는 견인차량의 적재함 전방에 윈치(10)와 크레인(20)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10)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30)는 크레인(20)을 통하여 후방에 2개 이상의 후크(40)와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 견인장치는, 윈치(10)를 작동시켜 상기 윈치(10)에 권선되어 있던 와이어(30)를 풀어주게 되면, 크레인(20)을 통하여 견인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던 와이어(30)가 풀려, 상기 와이어(30)에 체결된 후크(4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크(40)를 피견인차량의 저면에 형성된 고리에 관통시켜 체결하고 상기 피견인차량과 와이어(30) 사이에 완충부재를 삽입한 후, 견인차량의 윈치(10)를 작동시켜 와이어(30)를 감아주게 되면 피견인차량의 전륜이 지면으로부터 이격 상승하게되어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을 견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나무토막 등을 사용하여 견인시 상기 와이어(30)에 의하여 피견인차량의 저면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견인장치는 견인시 완충부재가 항상 필요하며, 상기 완충부재를 피견인차량과 와이어 사이에 삽입하여도 피견인차량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고급차량을 견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견인시 피견인차량의 후륜은 항상 지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후륜을 제동시키는 주차브레이크가 작동 중에는 견인이 불가능하여 피견인차량의 도어로크장치를 해제한 후, 주차브레이크를 해제시켜야 피견인차량을 견인 가능하여 견인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좁은 골목에 피견인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피견인차량을 밀집주정차한 경우에는 견인이 불가능하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견인시 발생하는 피견인차량의 차체 손상을 저하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을 간단하게 견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견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은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차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차체에 체결된 승강실린더와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승강봉과; 일측은 상기 승강봉의 후측 단부에 체결되고,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틸드실린더가 구비된 틸드봉과; 일측은 상기 틸드봉의 하측 단부에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신장실린더가 구비된 신장봉과;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장봉과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각으로 회동하는 체결단을 제어하는 체결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 틸드실린더, 신장실린더 및 체결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송출시키는 기어펌프와; 상기 기어펌프에서 상기 승강실린더, 틸드실린더, 신장실린더 및 체결실린더로 송출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제어부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견인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승강봉110 : 승강실린더
200 : 틸드봉210 : 틸드실린더
300 : 신장봉310 : 신장실린더
400 : 체결봉510 : 체결단
520 : 체결실린더530 : 타이어고정체
540 : 타이어고정벨트600 : 기어펌프
700 : 제어부710 : 솔레노이드밸브
800 : 스위치900 : 후륜안착부
910 : 구름수단920 : 지지봉
C : 피견인차량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은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차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차체에 체결된 승강실린더(110)와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승강봉(100)과; 일측은 상기 승강봉(100)의 후측 단부에 체결되고,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틸드실린더(210)가 구비된 틸드봉(200)과; 일측은 상기 틸드봉(200)의 하측 단부에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신장실린더(310)가 구비된 신장봉(300)과;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장봉(300)과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체결봉(400)과; 상기 체결봉(40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각으로 회동하는 체결단(510)을 제어하는 체결실린더(520)와; 상기 승강실린더(110), 틸드실린더(210), 신장실린더(310) 및 체결실린더(520)에 연결되어 유압을 송출시키는 기어펌프(600)와; 상기 기어펌프(600)에서 상기 승강실린더(110), 틸드실린더(210), 신장실린더(310) 및 체결실린더(520)로 송출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제어부(700)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8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는, 작업자가 운전석의 계기판에 구비된 스위치(800)를 작동시키면, 견인차량의 트랜스미션과 연결된 기어펌프(600)가 작동하게 되어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기어펌프(600)에서 발생된 유압은 차량의 저면에 구비되어 제어부(700)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710)를 통하여 승강실린더(110), 틸드실린더(210), 신장실린더(310) 및 체결실린더(520)에 송출된다.
이때, 각각의 실린더는 상기 기어펌프(600)로부터 송출된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어, 일측은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승강봉(100)에 힌지 결합된 승강실린더(110)는 일측이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된 승강봉(100)을 회동시키게 되고, 일측은 상기 승강봉(100)에 체결되고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틸드봉(200)의 내측에 구비된 틸드실린더(210)는 상기 틸드봉(2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된 신장봉(300)을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일측은 상기 틸드봉(200)과 힌지 결합하여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신장봉(300)의 내측에 구비된 신장실린더(310)는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상기 신장봉(30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게 되며, 중단이 상기 신장봉(300)과 힌지 결합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봉(400)에 구비된 체결실린더(520)는 상기 체결봉(400)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된 체결단(510)을 회동시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기어펌프(600)에서 발생한 유압을 작업자가 제어부(700)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7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710)를 작동시켜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된 승강실린더(110)에 유압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110)가 수축하게 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10)와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된 승강봉(100)을 A위치로 회동시켜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도록 체결봉(400)을 지면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봉(400)을 지면에 접촉시킨 후,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이 평행하게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장봉(300)에 힌지 결합된 체결봉(400)을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평행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봉(300)에 힌지 결합된 체결봉(400)을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평행하게 회동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펌프(600)에서 발생한 유압을 작업자가 제어부(700)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7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710)를 작동시켜 틸드봉(200)에 힌지 결합되어 신장봉(300)의 내측에 구비된 신장실린더(310)에 유압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신장봉(300)이 B위치로 신장되어 체결봉(400)이 피견인차량의 전륜 전방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체결봉(400)을 피견인차량의 전륜 전방에 위치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펌프(600)에서 발생한 유압을 작업자가 제어부(700)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7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710)를 작동시켜 체결봉(400)에 구비된 체결실린더(520)에 유압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체결봉(400)에 힌지 결합된 체결단(510)이 직각으로 회동하여 피견인차량의 전륜 후방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피견인차량의 전륜 전후방에 각각 체결봉(400)과 체결단(510)이 위치하게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110)에 의하여 승강봉(100)을 회동시킴으로써 피견인차량의 전방부를 들어올리게 되어,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을 견인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체결봉(400)과 체결단(510) 사이에 위치한 피견인차량의 전륜이 측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봉(400)의 양측단과 두 체결단(510)의 단부 사이에 쇠사슬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타이어고정체(530)를 추가로 체결하거나, 피견인차량의 전륜이 체결봉(400)과 체결단(510) 사이에서 상하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고정벨트(5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펌프(600)에서 발생한 유압을 작업자가 제어부(700)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70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710)를 작동시켜 틸드봉(200)의 내측에 구비된 틸드실린더(210)에 유압을 송출함으로써, 틸드실린더(210)가 유압에 의하여 신장하게 되면 상기 틸드봉(200)에 힌지 결합된 신장봉(300)이 틸드봉(200)이 구비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진 상태로 되며, 견인차량은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여 주행하게 된다.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한 상태에서 주행할 때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견인차량(C)의 후륜 저면에 다수개의 구름수단(910)이 구비되어 양측의 구름수단(910)을 연결시키는 지지봉(920)으로 이루어지는후륜안착부(900)를 위치시켜 피견인차량(C)의 후륜을 상기 후륜안착부(900)에 올려놓음으로써 피견인차량(C)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견인시 발생하는 피견인차량의 차체 손상을 저하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을 간단하게 견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일측은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차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차체에 체결된 승강실린더와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승강봉과;
    일측은 상기 승강봉의 후측 단부에 체결되고,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틸드실린더가 구비된 틸드봉과;
    일측은 상기 틸드봉의 하측 단부에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신장실린더가 구비된 신장봉과;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장봉과 힌지 결합하여 일정구간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각으로 회동하는 체결단을 제어하는 체결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 틸드실린더, 신장실린더 및 체결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송출시키는 기어펌프와;
    상기 기어펌프에서 상기 승강실린더, 틸드실린더, 신장실린더 및 체결실린더로 송출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제어부와;
    운전석의 계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의 양측단과 두 체결단의 단부 사이에 쇠사슬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타이어고정체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과 체결단 사이에는 피견인차량의 전륜이 상하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고정벨트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에 일정구간 이격되어 다수개의 구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견인차량의 양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름수단을 연결시키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후륜안착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
KR1020010021316A 2001-04-20 2001-04-20 차량 견인장치 KR20020081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316A KR20020081873A (ko) 2001-04-20 2001-04-20 차량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316A KR20020081873A (ko) 2001-04-20 2001-04-20 차량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873A true KR20020081873A (ko) 2002-10-30

Family

ID=2770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316A KR20020081873A (ko) 2001-04-20 2001-04-20 차량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18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151B1 (ko) * 2014-10-23 2016-03-14 손영철 견인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216A (en) * 1993-02-25 1994-07-05 Russ Calvin W Self-auto load stealth device
KR940005212Y1 (ko) * 1991-06-03 1994-08-05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KR950013879U (ko) * 1993-11-19 1995-06-16 주식회사 기아정기 견인차량의 견인제어장치
JP2000203331A (ja) * 1999-01-13 2000-07-25 Shin Meiwa Ind Co Ltd レッカ―車及び車両牽引方法
KR200217839Y1 (ko) * 2000-10-12 2001-03-15 황상민 견인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212Y1 (ko) * 1991-06-03 1994-08-05 부성산업기계 주식회사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US5326216A (en) * 1993-02-25 1994-07-05 Russ Calvin W Self-auto load stealth device
KR950013879U (ko) * 1993-11-19 1995-06-16 주식회사 기아정기 견인차량의 견인제어장치
JP2000203331A (ja) * 1999-01-13 2000-07-25 Shin Meiwa Ind Co Ltd レッカ―車及び車両牽引方法
KR200217839Y1 (ko) * 2000-10-12 2001-03-15 황상민 견인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151B1 (ko) * 2014-10-23 2016-03-14 손영철 견인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5214A (en) Tow bar for semi-tractors having triangulated support system and adjustable dual cylinder hydraulic control
KR101908687B1 (ko) 선로주행유닛이 구비된 무한궤도 굴삭기
WO2005051832A3 (en) Improved wheel-lift assembly for wreckers
JP2000006855A (ja) 構内自走式トレーラダンプ
US7448839B2 (en) Vehicular towing apparatus using air lift
KR20020081873A (ko) 차량 견인장치
US5215425A (en) Tractor towing apparatus
JPH08276832A (ja) 車両運搬用台車
US3460643A (en) Wheel device for laterally moving an automotive vehicle from rest
CN104925166B (zh) 自行可牵引平台拖车
JP3315514B2 (ja) 車両の突入防止装置
KR100711260B1 (ko) 피견인차량용 안전 브레이크 장치
GB2229682A (en) Assembly for laterally displacing a vehicle
US2307611A (en) Wrecking truck
KR102591590B1 (ko)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RU2618611C1 (ru) Способ буксировки самоле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логабаритного буксировщика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KR200250858Y1 (ko) 자동차의 견인장치
KR200334036Y1 (ko) 트레일러의 케이블식 관성브레이크 장치
KR100405421B1 (ko) 구난차량에 구비되는 견인장치
KR20050002199A (ko)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JP2581766Y2 (ja) トラクタのトレーラ連結装置
KR100522053B1 (ko) 견인차량용 붐의 헤드 롤러
KR200237910Y1 (ko) 보조타이어 승강장치
JP4326917B2 (ja) 荷役車両の牽引装置
KR19980038113U (ko) 차량용 유압식 타이어 버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