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323B1 -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323B1
KR101072323B1 KR1020090056516A KR20090056516A KR101072323B1 KR 101072323 B1 KR101072323 B1 KR 101072323B1 KR 1020090056516 A KR1020090056516 A KR 1020090056516A KR 20090056516 A KR20090056516 A KR 20090056516A KR 101072323 B1 KR101072323 B1 KR 10107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ipe
connection
mounting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132A (ko
Inventor
임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32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4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passing two or more work-stations whilst being com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타이어를 정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위치결정유닛과 충격저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유낙하로 공급된 타이어를 정위치에서 공급받고, 타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한 구조로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공급된 타이어를 차체의 타이어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타이어 로딩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하향 장착되는 장착 파이프;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자유낙하 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저감유닛;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충격저감유닛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부에 장착되며, 공급된 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 바스켓;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타이어 바스켓을 작업장에 정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파이프를 작업장에 설치된 포스트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위치결정유닛; 및 작업장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부 타측에 장착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타이어, 자유낙하, 충격력, 위치결정유닛, 충격저감유닛

Description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A LOADING DEVICE FOR TI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자유낙하로 공급되어 타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한 대의 완성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선택에서부터 제품양산까지 여러 가지 공정라인을 거쳐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들은 공장 자동화의 추세에 맞추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는 상기한 여러 공정들 중, 의장공장에서 차체에 장착될 타이어는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고, 타이어 로딩장치를 통해 차체의 타이어 장착위치로 이동되어 작업자가 차체에 조립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01) 상에서 롤러유닛(103)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10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05)의 중앙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직 프레임(107)이 하향 설치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7)의 하부에는 로더 프레임(109)이 설치되는데, 상기 로더 프레임(109)은 상기 수직 프레임(107)의 일측에 하향 설치되는 작동실린더(111)의 작동로드(113) 선단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107) 상에서 상기 작동실린더(113)의 왕복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로더 프레임(109)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프레임(115)의 일단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115)의 타단에는 타이어 바스켓(117)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타이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타이어가 자유낙하를 통해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00)의 타이어 바스켓(117)에 안착되면, 작업자는 미도시된 차체의 타이어 장착 위치에 맞도록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00)를 상기 레일(101) 상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 프레임(115)을 통해 상기 타이어 바스켓(117)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작동실린더(111)를 작동시켜 타이어 장착위치에 맞도록 상기 로더 프레임(109)을 승하강 시키면서 미세 조정작업을 통해 상기 타이어를 차체에 정위치 시킨 상태로 차체에 장착한 후, 다시 상기 타이어 바스켓(117)을 하강시켜 상기 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는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타이어가 타이어 바스켓에 자유낙하에 의해 안착됨으로써, 타이어 바스켓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 충격력은 전체적인 시스템에 결함을 발생시킴에 따라 설비 고장 및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체의 타이어 장착 위치에 상기 타이어를 정위치시키기 위하여 타이서 바스켓을 회전시키고, 작업자가 구부린 상태로 높이 조절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타이어를 정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위치결정유닛과 충격저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유낙하로 공급된 타이어를 정위치에서 공급받고, 타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한 구조로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는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공급된 타이어를 차체의 타이어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타이어 로딩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하향 장착되는 장착 파이프;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자유낙하 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저감유닛;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충격저감유닛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부에 장착되며, 공급된 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 바스켓;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타이어 바스켓을 작업장에 정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파이프를 작업장에 설치된 포스트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위치결정유닛; 및 작업장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부 타측에 장착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저감유닛은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에 하향 설치되는 상부 쇽 업소버; 및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 파이프와 상기 상부 쇽 업소버의 로드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연결 파이프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더; 상기 가이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와 함께 상기 가이더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브라켓으로 통해 장착되는 연결 바; 및 상기 연결 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 바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파이프를 포스트 파이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포스트 파이프의 일측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 기 연결 파이프에 장착 플레이트를 통하여 장착되고, 상호 대응하는 양측면에 각각 홀이 형성되는 홀더 파이프;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 파이프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 바의 타단에 고정되는 작동블록; 및 상기 작동블록의 상, 하 이동 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서 각 일측이 각각의 고정핀을 통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홀더 파이프의 양측 각 홀로 각각 돌출되게 장착되는 걸림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걸림링크는 일단에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서 각 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 후단은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바는 상부로 이동한 후,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홀더 파이프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지며, 상면이 상기 연결 바의 외주면 양측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 링; 및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과 지지와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부 쇽 업소버; 상기 하부 쇽 업소버의 로드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각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양측이 각각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힌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각 장착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와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캐스터의 상, 하 유동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와 지지대는 상기 완충 스프링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완충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바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 파이프는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에 의하면,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타이어를 정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위치결정유닛과 충격저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유낙하로 공급된 타이어를 정위치에서 공급받고, 타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는 상부 쇽 업소버가 적용된 충격저감유닛과 링크구조가 적용된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그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원가를 절감시키며, 이동유닛을 통해 타이어를 쉽게 이동시켜 차체에 장착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저감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위치결정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C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는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타이어(70)를 정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위치결정유닛(30)과 충격저감유닛(1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유낙하로 공급된 타이어(70)를 정위치에서 공급받고, 타이어(70)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한 구조로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 장착 파이프(5), 연결 파이프(7), 충격저감유닛(10), 타이어 바스켓(20), 위치결정유닛(30), 및 이동유닛(60)으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작업장의 상부에 미도시된 레일과 롤러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3)의 하부에는 장착 파이프(5)가 하향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파이프(5)는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파이프(5)의 내부에는 연결 파이프(7)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충격저감유닛(1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파이프(5)의 내부에는 상기 타이어 바스켓(20)으로 타이어의 자유낙하 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저감유닛(10)이 설치된다.
상기 충격저감유닛(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쇽 업소버(11)와 연결 브라켓(13)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상부 쇽 업소버(11)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파이프(5)의 내부에서 상부 쇽 업소버(11)의 로드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향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13)은 상기 장착 파이프(5)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 파이프(7)와 상기 상부 쇽 업소버(11)의 로드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충격저감유닛(10)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 파이프(7)는 하부 일측에 타이어 바스켓(20)이 장착된다.
상기 타이어 바스켓(20)은 바닥에 롤러(21)가 장착되어 자유낙하에 의해 공급된 타이어(70)가 안착되며, 상기 타이어(70)가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 바(2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 바(23)는 작업자(80)가 핸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이어 바스켓(20)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25)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은 상기 연결 파이프(7)의 하단부 일 측에 장착되며, 상기 타이어 바스켓(20)을 작업장에 정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파이프(7)를 작업장에 설치된 포스트 파이프(8)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위치결정유닛(30)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더(31), 손잡이(33), 연결링크(35), 연결 바(37), 및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더(31)는 상기 연결 파이프(7)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더(31)에는 손잡이(3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3)는 2개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가이더(31)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링크(35)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33)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33)와 함께 상기 가이더(3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링크(31)는 그 형상이 “L”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바(37)는 상기 연결링크(35)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7)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브라켓(39)을 통해 장착된다.
즉, 상기 연결 바(37)는 상기 손잡이(33)와 연결되어 작업자(80)가 상기 손잡이(33)를 상, 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손잡이(33)와 연결된 연결링크(35)와 함께 상, 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연결 바(37)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 바(37)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파이프(7)를 상기 포스트 파이프(8)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40)은 홀더 파이프(41), 작동블록(45), 및 걸림링크(47)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홀더 파이프(41)는 일단이 상기 포스트 파이프(8)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홀(9)로 삽입되도록 타단이 상기 연결 파이프(7)에 장착 플레이트(42)를 통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홀더 파이프(41)는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되며, 상호 대응하는 양측 면에 각각 홀(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파이프(41)는 일단에 상기 포스트 파이프(8)로 삽입 시, 포스트 파이프(8)와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키고, 포스트 파이프(8)의 삽입홀(9)로 삽입 될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을 하는 완충부재(44)가 장착된다.
이러한 완충부재(44)는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블록(45)은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상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 바(37)의 타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링크(47)는 각각 두 개가 구성되며, 상기 작동블록(45)의 이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내부에 각 일측이 각각의 고정핀(46)을 통해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 걸림링크(45)는 상기 작동블록(45)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핀(46)은 상기 각 걸림링크(47)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내부에 핀 하우징(48)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각 걸림링크(47)는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양측 각 홀(43)로 각각 돌출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각 걸림링크(47)는 일단에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내부에서 상기 각 홀(4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9)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 후단은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1)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51)은 상기 각 걸림링크(47)에 스프링 핀(53)을 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작동블록(45)이 상승하여 상기 각 걸림링크(47)를 회동시킨 후, 다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각 걸림링크(47)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51)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바(37)는 작업자(80)에 조작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 후,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복원수단(55)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복원수단(55)은 하우징(56), 지지 링(57), 및 탄성부재(59)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56)은 상기 연결 바(37)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 링(57)은 상기 연결 바(37)에 끼워지며, 상면이 상기 연결 바(37) 의 외주면 양측에 장착되는 스토퍼(58)를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9)는 상기 연결 바(37)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56)과 지지 링(57)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9)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탄성복원수단(55)은 작업자(80)가 힘을 가하여 상기 손잡이(33)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힘을 빼면, 상기 손잡이(33)와 함께 상부로 이동된 상기 연결 바(37)를 탄성부재(59)의 탄발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유닛(60)은 작업장에서 작업자(80)에 의해 연결 파이프(7)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7)의 하단부 타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동유닛(6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쇽 업소버(61), 플레이트(63), 고정 브라켓(64), 캐스터(67) 및 완충 스프링(68)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부 쇽 업소버(61)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7)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플레이트(63)는 상기 하부 쇽 업소버(61)의 로드에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트(63)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64)이 각각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캐스터(67)는 상기 각 고정 브라켓(64) 사이에서 양측이 각각 장착 브라켓(65)을 통하여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스프링(39)은 상기 각 장착 브라켓(65)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66)와 상기 플레이트(63)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완충 스프링(68)은 상기 캐스터(67)의 상, 하 유동 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63)와 지지대(66)는 상기 완충 스프링(68)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완충 스프링(6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바(69)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는, 도 6의 (S1)과 같이, 작업자(80)의 조작에 의해 타이어(70)를 공급받도록 작업장에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8)에 고정된 상태로 정위치된다.
이 때,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는, 도 7의 (S10)처럼, 상기 포스트 파이프(8)의 삽입홀(9)에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 걸림링크(47)의 걸림돌기(49)가 상기 각 홀(4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포스트 파이프(8)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작업장에서 정위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타이어(70)는 자유낙하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타이어 바스켓(20)에 안착되며, 이 때, 상기 충격저감유닛(10)은 상기 타이어(70)의 자유낙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킨다.
이 경우, 상기 충격저감유닛(10)의 상부 쇽 업소버(11)는 상기 타이어(70)가 자유 낙하되어 타이어 바스켓(20)에 안착 시, 상기 상부 쇽 업소버(11)의 로드가 전진되면서 상기 타이어(70)의 무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타이어(70)가 타이어 바스켓(20)에 안착이 완료되면, 작업자(80)는, 도 6의 (S2)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의 손잡이(33)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33)는 상기 가이더(31) 상에서 상승되고, 동시에, 상기 상기 손잡이(33)와 연결링크(35)를 통해 연결된 연결 바(37)가 상승된다.
이 경우, 상기 작동블록(45)은, 도 7의 (S20)과 같이, 상기 연결 바(37)와 함께 상승되면서, 상기 각 걸림링크(47)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걸림링크(47)는 상기 고정핀(4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8)의 내부에서 홀더 파이프(41)의 각 홀(43) 외측으로 돌출되었던 각 걸림링크(47)의 걸림돌기(49)는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 파이프(8)로부터 타이어 로딩장치(1)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작업자(80)는 상기 손잡이(33)와 핸들(25)을 잡고,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를 상기 포스트 파이프(8)에서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이동유닛(60)은 작업장 상에서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가 포스트 파이프(8)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작업자는, 도 6의 (S3)와 같이,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를 차체(81)의 타이어 장착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작업자(80)는 상기 손잡이(33)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했던 힘을 빼게 되는데, 그러면, 상기 연결 바(37)에 장착된 탄성복원수단(55)의 스프링(58)이 탄발력을 발휘하여 상기 연결 바(37)를 초기위치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바(37)와 연결된 작동블록(45)은 하강되고, 이 경우, 상기 각 걸림링크(47)는 스프링(5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다시 회동되어 상기 홀더 파이프(41)의 홀(43) 외측으로 각 걸림돌기(49)가 돌출된 상태인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하부 쇽 업소버(61)의 로드는 상기 이동유닛(60)을 통한 타이어 로딩장치(1)의 이동 시, 후진과 전진을 반복하면서, 상기 타이어 바스켓(20) 상에 안착된 타이어(70)의 무게와, 이동 중 작업장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캐스터(67)와 플레이트(63) 사이에 개재된 상기 완충 스프링(68)은 상기 캐스터(67)의 상, 하 유동 시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가 차체(81)의 타이어 장착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작업자(80)는, 도 6의 (S4)와 같이, 상기 타이어(70)를 차체(81)에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타이어(70)의 장착이 완료되면, 작업자(80)는 도 6의 (S5)와 같이, 다시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다시 손잡이(33)를 상승시킨 상태로, 상기 포스트 파이프(8)의 삽입홀(9)로 상기 위치결정유닛(30)의 홀더 파이프(41)를 삽입시킴으로서, 상기 타이어 로딩장치(1)를 작업장 상에서 정위치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유닛(30)과 고정수단(40)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반복 수행하여 작동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를 적용하면,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타이어(70)를 정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위치결정유닛(30)과 충격저감유닛(1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유낙하로 공급된 타이어(70)를 정위치에서 공급받고, 타이어(70)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1)는 상부 쇽 업소버(11)가 적용된 충격저감유닛(10)과 링크구조가 적용된 위치결정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그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원가를 절감시키며, 이동유닛(60)을 통해 타이어(70)를 쉽게 이동시켜 차체(81)에 장착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저감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위치결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C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의 구성도이다.

Claims (9)

  1. 타이어 조립공정에서 공급된 타이어를 차체의 타이어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타이어 로딩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하향 장착되는 장착 파이프;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자유낙하 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저감유닛;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충격저감유닛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부에 장착되며, 공급된 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 바스켓;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타이어 바스켓을 작업장에 정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 파이프를 작업장에 설치된 포스트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위치결정유닛; 및
    작업장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부 타측에 장착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유닛은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에 하향 설치되는 상부 쇽 업소버; 및
    상기 장착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 파이프와 상기 상부 쇽 업소버의 로드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연결 파이프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더;
    상기 가이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와 함께 상기 가이더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브라켓으로 통해 장착되는 연결 바; 및
    상기 연결 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 바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파이프를 포스트 파이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포스트 파이프의 일측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 파이프에 장착 플레이트를 통하여 장착되고, 상호 대응하는 양측면에 각각 홀이 형성되는 홀더 파이프;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 파이프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 바의 타단에 고정되는 작동블록; 및
    상기 작동블록의 상, 하 이동 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서 각 일측이 각각의 고정핀을 통해 힌지 연결되며, 상기 홀더 파이프의 양측 각 홀로 각각 돌출되게 장착되는 걸림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링크는 일단에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서 각 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 후단은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부로 이동한 후,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홀더 파이프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 징;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지며, 상면이 상기 연결 바의 외주면 양측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 링; 및
    상기 연결 바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과 지지와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부 쇽 업소버;
    상기 하부 쇽 업소버의 로드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각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양측이 각각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힌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각 장착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와 상기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캐스터의 상, 하 유동 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지지대는 상기 완충 스프링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완충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바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파이프는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KR1020090056516A 2009-06-24 2009-06-24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KR10107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16A KR101072323B1 (ko) 2009-06-24 2009-06-24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16A KR101072323B1 (ko) 2009-06-24 2009-06-24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132A KR20100138132A (ko) 2010-12-31
KR101072323B1 true KR101072323B1 (ko) 2011-10-11

Family

ID=4351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16A KR101072323B1 (ko) 2009-06-24 2009-06-24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651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포인테크 변형방지 와이어가 구비된 타이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685B1 (ko) 1996-12-30 2000-07-15 정몽규 스페어 타이어 로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685B1 (ko) 1996-12-30 2000-07-15 정몽규 스페어 타이어 로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651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포인테크 변형방지 와이어가 구비된 타이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시스템
KR102465805B1 (ko) 2021-02-25 2022-11-11 주식회사 포인테크 변형방지 와이어가 구비된 타이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132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0094C (zh) 用于使汽车头枕弯曲的装置
KR101897537B1 (ko) 자동차 시트 이송용 팔레트
KR101072323B1 (ko)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CN112032251A (zh) 一种具有减震效果的便携式机电设备摆放平台
CN111003081A (zh) 带有能够转动车身部件的侧支撑件的车身部件支架
US2921643A (en) Retractable step structure
US10589944B2 (en) Vehicle restraints with a barrier having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tion
KR102038933B1 (ko) 차량용 시트
WO2015030059A1 (ja) 車両の組立ライン
CN212738932U (zh) 一种物流无损周转器
KR100997103B1 (ko) 행거 고정장치와 이를 구비한 행거
KR100693138B1 (ko) 전동차 차체 받침대
JP3118643U (ja) 組付け装置
KR20140000836U (ko) 선박용 스텝 장치
KR102208655B1 (ko) 시트 고정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이송용 팔레트
CN109367526A (zh) 主动式安全防御制动装置
KR102488099B1 (ko) 터널형 세차기의 컨베이어 커버 소음 감소 장치
CN218930807U (zh) 一种送料机构
CN112775382B (zh) 一种汽车控制臂检验装置
KR100979048B1 (ko) 압연기 작업롤 지지장치
KR20100112398A (ko) 연속 주조기의 세그먼트 롤 운반장치용 받침장치
KR20100048441A (ko) 이동식 작업용 지지 장치
JP7020319B2 (ja) 運搬台車
CN110386040B (zh) 一种智能儿童安全座椅
KR970004083Y1 (ko) 고층건물용 화물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