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587B1 -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587B1
KR102035587B1 KR1020190042116A KR20190042116A KR102035587B1 KR 102035587 B1 KR102035587 B1 KR 102035587B1 KR 1020190042116 A KR1020190042116 A KR 1020190042116A KR 20190042116 A KR20190042116 A KR 20190042116A KR 102035587 B1 KR102035587 B1 KR 10203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rope
frame
woun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근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산기
Priority to KR102019004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유닛의 좌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제1와이어 로프 및 제3와이어 로프와, 상기 케이지 유닛의 우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제4와이어 로프 및 제2와이어 로프와, 제1 및 제3와이어 로프가 당겨지면 제2 및 제4와이어 로프가 풀리도록 하거나 제1 및 제3와이어 로프가 풀리면 제2 및 제4와이어 로프가 당겨지도록 하여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1수평 유지부; 및
상기 제1와이어 로프와 제4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2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는 곤도라 수평유지장치.

Description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FOR GONDOLA}
본 발명은 곤도라의 승강 및 작업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유닛의 수평을 유지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도라는 건물의 신축이나 유지보수 작업시 건축물의 실외 공사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곤도라는 와이어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승강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유닛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 유지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1997-062279(1997년 12월 10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물 적재 케이지와, 와이어 로프를 권취시킨 드럼과, 와이어 로프 보상수단을 포함하고, 와이어 로프 보상수단은 와이어 로프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아이들 기어와, 제1아이들 기어와 일체로 되는 제2아이들 기어와, 제2아이들 기어에 맞물리고 모터축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기어와와, 종동기어에 연결되는 전자 클러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는 전자 클러치를 필요로 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정밀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1997-062279(1997년 12월 10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유지 및 전후방향 수평유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유닛의 좌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제1와이어 로프 및 제3와이어 로프와, 상기 케이지 유닛의 우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제4와이어 로프 및 제2와이어 로프와, 제1 및 제3와이어 로프가 당겨지면 제2 및 제4와이어 로프가 풀리도록 하거나 제1 및 제3와이어 로프가 풀리면 제2 및 제4와이어 로프가 당겨지도록 하여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1수평 유지부와, 상기 제1와이어 로프와 제4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2수평 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 유지부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스크류 바와,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스크류 바에 나사 결합되어 제1스크류 바가 회전되면 직선 이동되는 제1풀리 브라켓과, 상기 제1풀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프레임의 좌측에 배치되며 제2와이어 로프가 그 좌측면에 감겨지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1와이어 로프가 우측면에 감겨지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4와이어 로프가 좌측면에 감겨지는 제3풀리와, 상기 제3풀리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3와이어 로프가 우측면에 감겨지는 제4풀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면에 제1와이어 로프가 감기고, 그 우측면에 제2와이어 로프가 감기도록 하여 제1와이어 로프와 제2와이어 로프가 교차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 풀리와, 상기 제3풀리와 제4풀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면에 제3와이어 로프가 감기고, 우측면에 제4와이어 로프가 감기도록 하여 제3와이어 로프와 제4와이어 로프가 교차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풀리 브라켓은 상기 제1스크류 바에 나사 결합되어 제1스크류 바가 회전되면 직선 이동되는 제1너트부재가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제1풀리, 제2풀리, 제3풀리 및 제4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양쪽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에는 가이드 롤러가 구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제1풀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풀리 브라켓이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평 유지부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양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측에 우나사부가 형성되고 우측에 좌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스크류 바와,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프레임의 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제1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제5풀리와, 상기 제2프레임의 좌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제4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제6풀리와, 상기 제5풀리와 제6풀리 사이에 배치되고 제3와이어 로프와 제2와이어 로프가 각각 감겨지는 제7풀리 및 제8풀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5풀리에는 제2너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제2너트부재는 상기 제2스크류 바의 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6풀리에는 제3너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제3너트부재는 상기 제2스크류 바의 좌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에는 제1와이어 로프와 제3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 풀리와, 제2와이어 로프 및 제4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 폴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프레임에는 제2풀리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제2풀리 브라켓에는 제7풀리, 제8풀리, 제3가이드 풀리 및 제4가이드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는 제1수평 유지부가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을 조절하고, 제2수평 유지부가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조절하여 케이지 유닛의 승강 및 작업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장치의 제1수평 유지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장치의 제2수평 유지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사각형 형태의 케이지 유닛과, 케이지 유닛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와이어 로프(12,14,16,18)와, 제1 내지 제4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드럼 구동부와, 제1, 제2, 제3 및 제4와이어 로프(12,14,16,18)를 보상하여 케이지 유닛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유지장치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 로프(12)는 케이지 유닛의 좌측 전방 모서리에 연결되고, 제2와이어 로프(14)는 케이지 유닛의 우측 후방 모서리에 연결되고, 제3와이어 로프(16)는 케이지 유닛의 좌측 후방 모서리에 연결되고, 제4와이어 로프(18)는 케이지 유닛의 우측 전방 모서리에 연결된다.
곤도라는 케이지 유닛이 제1 내지 제4와이어 로프(12,14,16,18)에 매달린 상태이고, 드럼이 회전되면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이때, 수평유지장치가 제1 내지 제4와이어 로프(12,14,16,18)의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 및 전후방향 수평을 유지하여 케이지 유닛이 승강 중 또는 작업 중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도모한다.
수평유지장치는 제1와이어 로프(12) 및 제3와이어 로프(16)와 제2와어어 로프(14) 및 제4와이어 로프(18)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1수평 유지부(20)와, 제1와이어 로프(12)와 제4와이어 로프(18)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2수평 유지부(30)를 포함한다.
제1수평 유지부(20)는 전방에는 드럼과 연결되는 제1와이어 로프(12)와 제2와이어 로프(14)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풀리(42)와, 제3와이어 로프(16)와 제4와이어 로프(18)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풀리(44)가 배치된다.
제1와이어 로프(12)는 제1가이드 풀리(42)의 좌측면에 접촉되어 안내되고, 제2와이어 로프(14)는 제1가이드 풀리(42)의 우측면에 접촉되어 안내된다. 그리고 제3와이어 로프(16)는 제2가이드 풀리(44)의 좌측면에 접촉되어 안내되고, 제4와이어 로프(18)는 제2가이드 풀리(44)의 우측면에 접촉되어 안내된다.
제2수평 유지부(30)의 후방에는 제2수평 유지부(30)에서 인출되는 제1 내지 제4와이어 로프(12,14,16,18)를 케이지 유닛으로 안내하는 제3가이드 풀리(46) 및 제4가이드 풀리(48)가 배치된다.
제3가이드 풀리(46)의 우측면으로 제1와이어 로프(12) 및 제3와이어 로프(16)가 함께 안내되고, 제4가이드 풀리(48)의 좌측면으로 제2와이어 로프(14) 및 제4와이어 로프(18)가 함께 안내된다. 제3가이드 풀리(46)에 의해 안내되는 제1와이어 로프(12) 및 제3와이어 로프(16)는 케이지 유닛의 좌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고, 제4가이드 풀리(48)에 의해 안내되는 제4와이어 로프(18) 및 제2와이어 로프(14)는 케이지 유닛의 우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된다.
제1수평 유지부(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22)과, 제1프레임(22)의 양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스크류 바(24)와, 제1프레임(22)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스크류 바(24)와 연결되어 제1스크류 바(24)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26)와, 제1스크류 바(24)에 나사 결합되어 제1스크류 바(24)가 회전되면 직선 이동되는 제1너트부재(70)와, 제1 및 제2가이드 풀리(42,44)에 의해 안내된 제1 내지 제4와이어 로프(12,14,16,18)가 각각 감겨지는 4개의 풀리(52,54,56,58)와, 4개의 풀리(52,54,56,5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4개의 풀리(52,54,56,58)가 함께 직선 운동되고 제1너트부재(70)가 고정되는 풀리 브라켓(28)을 포함한다.
제1스크류 바(24)는 외면에 우나사부가 형성되고 제1프레임(22)의 양단에 베어링(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스크류 바(24)의 일단에는 피동기어(62)가 장착되고, 제1구동모터(26)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64)가 장착되며, 피동기어(62)와 구동기어(64) 사이는 체인(66)으로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26)가 구동되면 제1스크류 바(24)가 회전된다.
제1너트부재(70)는 풀리 브라켓(28)에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1프레임(22)의 내면에는 제1스크류 바(24)의 위치되는 부분의 양쪽 측면에는 가이드 홈부(74)가 형성되고, 가이드 홈부(74)에는 가이드 롤러(76)가 구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 롤러(76)는 풀리 브라켓(2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풀리 브라켓(28)이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풀리는 제1풀리 브라켓(28)의 좌측에 배치되고 그 좌측면에 제2와이어 로프(14)가 감겨지는 제1풀리(52)와, 제1풀리(52)의 우측에 배치되고 그 우측면에 제1와이어 로프(12)가 감겨지는 제2풀리(54)와, 제2풀리(54)의 우측에 배치되고 그 좌측면에 제4와이어 로프(18)가 감겨지는 제3풀리(56)와, 제3풀리(56)의 우측에 배치되고 그 우측면에 제3와이어 로프(16)가 감겨지는 제4풀리(58)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 로프(12)는 제1가이드 풀리(42)의 좌측면에 감겨지고, 제2풀리(54)의 우측면에 감겨진다. 그리고 제2와이어 로프(14)는 제1가이드 풀리(42)의 우측면에 감겨지고, 제1풀리(52)의 좌측면에 감겨진다.
따라서, 제1와이어 로프(12)와 제2와이어 로프(14)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풀리 브라켓(28)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풀리(52)에 감겨진 제2와이어 로프(14)는 당겨지게 되어 길이가 줄어들고, 제2풀리(54)에 감겨진 제1와이어 로프(12)는 풀리게 되어 길이가 늘어난다.
제3와이어 로프(16)는 제2가이드 풀리(44)의 좌측면에 감겨지고, 제4풀리(58)의 우측면에 감겨진다. 그리고 제4와이어 로프(18)는 제2가이드 풀리(44)의 우측면에 감겨지고, 제3풀리(56)의 좌측면에 감겨진다.
따라서, 제3와이어 로프(16)와 제4와이어 로프(18)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풀리 브라켓(28)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3풀리(56)에 감겨진 제4와이어 로프(18)는 당겨지게 되어 길이가 줄어들고, 제4풀리(58)에 감겨진 제3와이어 로프(16)는 풀리게 되어 길이가 늘어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수평 유지부(20)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2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스크류 바(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스크류 바(24)에 나사 결합된 제1너트부재(70)가 화살표 A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제1너트부재가 고정된 풀리 브라켓(28)이 같이 이동된다.
그러면 제1풀리(52)에 감겨진 제2와어어 로프(14)와 제3풀리(56)에 감겨진 제4와이어 로프(18)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당겨지게 되고, 제2풀리(54)에 감겨진 제1와이어 로프(12)와 제4풀리(58)에 감겨진 제3와이어 로프(16)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풀리게 된다. 이때, 케이지 유닛의 좌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로프(12) 및 제3와이어 로프(16)는 하강되고, 케이지 유닛의 우측에 연결되는 제4와이어 로프(18) 및 제2와이어 로프(14)는 상승되어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을 맞춘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풀리 브라켓(28)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케이지 유닛은 좌측이 상승되고, 우측이 하강되어 케이지 유닛의 좌우 방향 수평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1수평 유지부(20)는 케이지 유닛의 좌우 수평을 맞출 때 좌측은 상승, 우측은 하강 또는 좌측은 하강, 우측은 상승하도록 하여 보다 빠르게 수평을 맞출 수 있고, 수평 조절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2수평 유지부(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2프레임(102)과, 제2프레임(102)의 양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스크류 바(104)와, 제1프레임(102)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2스크류 바(104)와 연결되어 제2스크류 바(104)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106)와, 제2프레임(102)의 좌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와이어 로프(12)가 감겨지는 제5풀리(110)와, 제2프레임(102)의 우측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4와이어 로프(16)가 감겨지는 제6풀리(112)와, 제5풀리(110)와 제6풀리(112) 사이에 배치되고 제3가이드 풀리(46) 및 제4가이드 풀리(48)와 함께 제2풀리 브라켓(130)에 고정되며, 제3와이어 로프(16)와 제2와이어 로프(14)가 각각 감겨지는 제7풀리(114) 및 제8풀리(116)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102)의 일측에는 제2구동모터(106)가 장착되고, 제2구동모터(106)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140)가 장착되며, 제2스크류 바(104)에는 피동기어(142)가 장착되고 구동기어(140)와 피동기어(142) 사이는 체인(144)으로 연결되어 제2구동모터(106)가 구동되면 제2스크류 바(106)가 회전된다.
제5풀리(110)는 제2너트부재(152)에 고정되고, 제2너트부재(152)는 제2스크류 바(104)의 좌측 외면에 형성되는 우나사부(156)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6풀리(112)는 제3너트부재(154)에 고정되고, 제3너트부재(154)는 제2스크류 바(104)의 우측 외면에 형성되는 좌나사부(158)에 나사 결합된다.
제2스크류 바(104)는 좌측에 우나사부(156)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좌나사부(158)가 형성되며, 제2너트부재(152)는 우나사부(156)에 나사 결합되고, 제3너트부재(154)는 좌나사부(158)에 나사 결합되어 제2스트류 바(104)가 회전되면 제5풀리(110)와 제6풀리(11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크류 바(10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5풀리(110)는 화살표 E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제6풀리(112)는 화살표 F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제2스크류 바(104)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5풀리(110)는 우측방향으로 제6풀리(112)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5풀리(110)에 감겨지는 제1와이어 로프(12)와 제6풀리(112)에 감겨지는 제4와이어 로프(16)가 함께 당겨지거나 풀리게 되어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맞춘다.
제7풀리(114)에는 제3와이어 로프(16)가 감겨지고, 제8풀리(116)에는 제2와이어 로프(14)가 감겨지며, 제7풀리(114) 및 제8풀리(116)는 제2풀리 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현재 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수평 유지부(30)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모터(106)가 구동되면 제2스크류 바(104)가 회전된다. 그러면, 제2스크류 바(104)의 우나사부(156)에 나사 결합된 제5풀리(110)는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제2스크류 바(104)의 좌나사부(158)에 나사 결합된 제6풀리(112)는 우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그러면 제5풀리(110)에 감겨진 제1와이어 로프(12)와, 제6풀리(112)에 감겨진 제4와이어 로프(18)가 당겨지면서 케이지 유닛의 전방을 상승시켜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맞춘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수평 유지부(30)는 제5풀리(110)와 제6풀리(112)가 직선 이동되면서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조절하므로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2: 제1와이어 로프 14: 제2와이어 로프
16: 제3와이어 로프 18: 제4와이어 로프
20: 제1 수평유지부 22: 제1프레임
24: 제1스크류 바 26: 제1구동모터
30: 제2수평 유지부 42: 제1가이드 풀리
44: 제2가이드 풀리 46: 제3가이드 풀리
48: 제4가이드 풀리 52: 제1풀리
54: 제2풀리 56: 제3풀리
58: 제4풀리 102: 제2프레임
104: 제2스크류 바 106: 제2구동모터
110: 제5풀리 112: 제6풀리
114: 제7풀리 116: 제8풀리

Claims (9)

  1.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유닛의 좌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제1와이어 로프 및 제3와이어 로프; 상기 케이지 유닛의 우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제4와이어 로프 및 제2와이어 로프; 제1 및 제3와이어 로프가 당겨지면 제2 및 제4와이어 로프가 풀리도록 하거나 제1 및 제3와이어 로프가 풀리면 제2 및 제4와이어 로프가 당겨지도록 하여 케이지 유닛의 좌우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1수평 유지부; 및 상기 제1와이어 로프와 제4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지 유닛의 전후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제2수평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 유지부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스크류 바;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스크류 바에 나사 결합되어 제1스크류 바가 회전되면 직선 이동되는 제1풀리 브라켓;
    상기 제1풀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프레임의 좌측에 배치되며 제2와이어 로프가 그 좌측면에 감겨지는 제1풀리;
    상기 제1풀리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1와이어 로프가 우측면에 감겨지는 제2풀리;
    상기 제2풀리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4와이어 로프가 좌측면에 감겨지는 제3풀리; 및
    상기 제3풀리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3와이어 로프가 우측면에 감겨지는 제4풀리를 포함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면에 제1와이어 로프가 감기고, 그 우측면에 제2와이어 로프가 감기도록 하여 제1와이어 로프와 제2와이어 로프가 교차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 풀리; 및
    상기 제3풀리와 제4풀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면에 제3와이어 로프가 감기고, 우측면에 제4와이어 로프가 감기도록 하여 제3와이어 로프와 제4와이어 로프가 교차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 브라켓은 상기 제1스크류 바에 나사 결합되어 제1스크류 바가 회전되면 직선 이동되는 제1너트부재가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제1풀리, 제2풀리, 제3풀리 및 제4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양쪽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에는 가이드 롤러가 구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제1풀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풀리 브라켓이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 유지부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의 양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측에 우나사부가 형성되고 우측에 좌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스크류 바;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프레임의 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제1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제5풀리;
    상기 제2프레임의 좌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제4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제6풀리; 및
    상기 제5풀리와 제6풀리 사이에 배치되고 제3와이어 로프와 제2와이어 로프가 각각 감겨지는 제7풀리 및 제8풀리를 포함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풀리에는 제2너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제2너트부재는 상기 제2스크류 바의 우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6풀리에는 제3너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제3너트부재는 상기 제2스크류 바의 좌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에는 제1와이어 로프와 제3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 풀리와, 제2와이어 로프 및 제4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 폴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제2풀리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제2풀리 브라켓에는 제7풀리, 제8풀리, 제3가이드 풀리 및 제4가이드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KR1020190042116A 2019-04-10 2019-04-10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KR10203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16A KR102035587B1 (ko) 2019-04-10 2019-04-10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16A KR102035587B1 (ko) 2019-04-10 2019-04-10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587B1 true KR102035587B1 (ko) 2019-10-23

Family

ID=6846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116A KR102035587B1 (ko) 2019-04-10 2019-04-10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279A (ko) 1996-02-24 1997-09-12 한승준 차량용 흡기포트의 와류발생장치
JP2001262853A (ja) * 2000-03-17 2001-09-26 Kawasaki Heavy Ind Ltd 立体駐車装置用リフト
JP2018003283A (ja) * 2016-06-27 2018-01-11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ケージ姿勢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279A (ko) 1996-02-24 1997-09-12 한승준 차량용 흡기포트의 와류발생장치
JP2001262853A (ja) * 2000-03-17 2001-09-26 Kawasaki Heavy Ind Ltd 立体駐車装置用リフト
JP2018003283A (ja) * 2016-06-27 2018-01-11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ケージ姿勢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JP2009113989A (ja) 巻ロール用の巻解き装置
CN112811328B (zh) 一种通过起重机对工件进行稳定上料的方法
KR20150039941A (ko) 중량물 인양장치
JP2009114809A (ja) 昇降式天井裏収納装置
KR101281201B1 (ko)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JP2009173386A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KR102035587B1 (ko)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JP612748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搬送システム
JPH10226429A (ja) 残り紙葉パイルと主紙葉パイルを統合して1つの全体パイルにする装置
KR100975914B1 (ko) 초전도 선재의 권선 장치
KR101416983B1 (ko) 무대 커튼 승,하강용 와이어 안내장치
CN208914434U (zh) 一种薄膜压延装置
JP2020117929A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237462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CN220431288U (zh) 一种钢带张紧装置
KR101062714B1 (ko)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CN215329413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门式架桥机
KR200260901Y1 (ko) 와이어 장력 자동조절장치
KR101880044B1 (ko) 설치가 용이한 승강용 무대장치
KR20190090176A (ko) 다단 승강장치
CN113501368B (zh) 一种放卷设备及簇绒机
JP4416532B2 (ja) ワイヤロープ巻取装置
JP6937269B2 (ja) 建材用持ち上げ装置
KR102151699B1 (ko) 안내유도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