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714B1 -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714B1
KR101062714B1 KR1020090019119A KR20090019119A KR101062714B1 KR 101062714 B1 KR101062714 B1 KR 101062714B1 KR 1020090019119 A KR1020090019119 A KR 1020090019119A KR 20090019119 A KR20090019119 A KR 20090019119A KR 101062714 B1 KR101062714 B1 KR 10106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wire rope
plate glass
body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303A (ko
Inventor
김호석
Original Assignee
김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석 filed Critical 김호석
Priority to KR102009001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7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유리를 고층건물의 상층까지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건물 옥상에 연결되는 서브가이드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로 판유리를 승강함으로써, 낮은 위치에 이송장치를 위치하여도 고층건물의 원하는 위치에 판유리를 승강하여 이송할 수 있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향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기울어져 연장형성하되 다수가 절곡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환봉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으로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지지하고 전방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동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하부에 구비되며 건물의 난간(欄干)에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드럼에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와이어로프를 권취하여 구동수단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부면에 안착하되 몸체부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며 1차적으로 와이어로프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가이드롤러를 따라 가이드된 와이어로프를 하측에 걸어 상방향으로 꺾어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롤러의 상측으로 연장지지대에 의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를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로프를 걸어 가이드하며 다시 하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 서브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로부터 제3가이드롤러로 연장하여 가이드 될 때에 수직으로 각을 이루도록 하고 체결부재에 연결된 판유리를 권양하는 위치보다 높은 곳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판유리, 롤러, 와이어, 이송장치, 고층건물

Description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high building winch device of glas panel}
본 발명은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유리를 고층건물의 상층까지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건물 옥상에 연결되는 서브가이드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로 판유리를 승강함으로써, 낮은 위치에 이송장치를 위치하여도 고층건물의 원하는 위치에 판유리를 승강하여 이송할 수 있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층의 대형건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에는 그에 맞는 큰 규격의 유리가 적용되어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초대형 건물에 널리 활용되는 초대형 판유리의 규격은 2500×2200×0.7t이고, 그 무게는 단판인 경우 대략 9.1kg 정도이다.
이렇게 규격이 넓고 무게가 무거운 판유리를 고층건물로 이송하는데에는 사람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며, 별도로 판유리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로프를 이용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장치로써, 그 승강장치를 판유리가 이송되어 위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층보다 높은 층에 이동한 후 판유리를 승강시키도록 하여 안전하게 판유리를 이송할 수는 있었으나, 승강장치보다 높은 층에는 판유리의 이송이 불가능하고, 결국 부피가 크며 무거운 승강장치 자체를 고층건물의 높은 곳까지 이동시켜야하였으며 이는 너무 많은 시간과 인력 및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판유리의 이송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며, 낮은 위치에 이송장치를 위치하여도 고층건물의 원하는 위치까지 판유리를 승강하여 이송할 수 있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향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기울어져 연장형성하되 다수가 절곡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환봉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으로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지지하고 전방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동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하부에 구비되며 건물의 난간(欄干)에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지지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드럼에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와이어로프를 권취하여 구동수단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부면에 안착하되 몸체부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며 1차적으로 와이어로프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가이드롤러를 따라 가이드된 와이어로프를 하측에 걸어 상방향으로 꺾어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롤러와; 상기 제2가이드롤러의 상측으로 연장지지대에 의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를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로프를 걸어 가이드하며 다시 하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 서브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로부터 제3가이드롤러로 연장하여 가이드 될 때에 수직으로 각을 이루도록 하고 체결부재에 연결된 판유리를 권양하는 위치보다 높은 곳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를 고층건물의 상층까지 승강시키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건물 옥상에 연결되는 서브가이드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로 판유리를 승강함으로써, 이송장치를 높은 곳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낮은 위치에 이송장치를 위치하여도 고층건물의 원하는 승강 위치까지 판유리를 승강하여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성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전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확대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는, 상향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기울어져 연장형성하되 다수가 절곡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환봉형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 일측으로는 받침부(101)를 구비하여 지지하고 전방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동부재(11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하부에 구비되며 건물의 난간(欄干)에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지지판(105)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드럼(131)에는 체결부재(134)가 구비된 와이어로프(133)를 권취하여 구동수단(135)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이송장치부(130)와; 상기 와이어로프(133)를 상부면에 안착하되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며 1차적으로 와이어로프(133)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롤러(140)와; 상기 제1가이드롤러(140)를 따라 가이드된 와이어로프(133)를 하측에 걸어 상방향으로 꺾어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롤러(150)와; 상기 제2가이드롤러(150)의 상측으로 연장지지대(161)에 의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며 와이어로프(133)를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160)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160)를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로프(133)를 걸어 가이드하며 다시 하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 서브가이드롤러(170)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150)로부터 제3가이드롤러(160)로 연장하여 가이드 될 때에 수직으로 각을 이루도록 하고 체결부재(134)에 연결된 판유리(G)를 권양하는 위치보다 높은 곳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하측에서 절곡된 부분이 직각으로 형성되되 지지판(105)이 평탄한 지면을 이루어 이송장치부(130)가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 후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2가이드롤러(150)가 제1가이드롤러(14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손잡이부(102)가 형성되어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 일측에서 하방으로 수직형성된 받침부(101)는 몸체부(100) 하부면에서부터 바닥면에 닿는 부분까지의 길이와 이동부재(110)가 몸체부(100) 하부면에서부터 바닥면에 닿는 부분까지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단부는 내측모서리가 라운드형성되어 건물 난간에 맞닿아 지지될 때 서로 흠이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없도록 한다.
상기 이송장치부(13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지지판(105)의 상부면에 구비된 지지편(106)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133)를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드럼(131)과, 상기 드럼(131)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구동모터(136)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방향전환조정부(137)를 구비하여 판유리(G)의 승강을 조정하도록 하고 구동모터(136)의 반대편에서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138)로 이루어진 구동수단(135)이 구비된다.
제1,2가이드롤러(140),(15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축고정(141),(151)에 연결되는 롤러축(142),(152),(162)에 설치되되 좌/우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 와이어로프(133)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다.
제3가이드롤러(160)는, 연장지지대(161)에 연결되는 롤러축(142),(152),(162)에 설치되어 제2가이드롤러(15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133)를 지지하되 전/후로 직선운동이 가능하여 건물에 따라 연결고리(10)의 위치가 달라 위치가 변경되는 서브가이드롤러(170)에 맞게 수직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133)가 다른 각도를 형성하며 가이드할 수 있게 한다.
서브가이드롤러(170)는, 상부에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171)를 형성하여 연결고리(10)로부터 연장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후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편(172)이 구비됨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40)(150)(160)(170)는 중간에 일정깊이의 홈이 구비되되 와이어로프(133)가 원활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판유리 승강상태를 나타낸 작동예시도로서,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작용하는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드럼(131)에 감겨있는 와이어로프(133)를 일정량 풀어 제1가이드롤러(140)의 상측에 안착한 후 제2가이드롤러(150)의 하측에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올려 제3가이드롤러(160)에 지지시키고 윗쪽에서 연장된 로프에 걸이부(171)를 매달아 내린 서브가이드롤러(170)의 상측을 감싸 다시 와이어로프(133) 끝부분에 연결한 체결부재(134)가 하측을 향하도록 한 후 서브가이드롤러(170)가 매달린 로프를 위로 올림과 동시에 구동수단(135)을 통해 와이어로프(133)를 계속적으로 풀어 주고, 건물 옥상에 구비된 연결고리(10)로부터 서브가이드롤러(170)가 매달린 로프를 고 정시키며 밑에서는 승강할 판유리(G)를 걸어 단단히 고정시킨 후 구동수단(135)을 이용해 와이어로프(133)를 감아줌으로써 판유리(G)를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하도록 한다.
이때, 제1가이드롤러(140)와 제2가이드롤러(150)는 상측에 구비된 서브가이드롤러(170)의 위치에 따라 롤러축(142),(152),(162)의 범위내에서 좌/우로 직선운동하여 제3가이드롤러(160)의 좌측이나 우측을 선택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3가이드롤러(160)도 전/후로 직선운동이 가능하여 서브가이드롤러(170)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되어 유용하게 와이어로프(133)를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송장치로 판유리를 승강할 경우, 이송장치를 높은 곳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낮은 위치에 이송장치를 위치하여도 고층건물의 원하는 승강 위치까지 판유리를 승강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전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판유리 승강상태를 나타낸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G : 판유리 10 : 연결고리
100 : 몸체부 101 : 받침부
102 : 손잡이부 105 : 지지판
106 : 지지편 110 : 이동부재
120 : 지지부재 130 : 이송장치부
131 : 드럼 133 : 와이어로프
134 : 체결부재 135 : 구동수단
136 : 구동모 137 : 방향전환조정부
138 : 감속기 140 : 제1가이드롤러
150 : 제2가이드롤러 141,151 : 축고정
142,152,162 : 롤러축 160 : 제3가이드롤러
161 : 연장지지대 170 : 서브가이드롤러
171 : 걸이부 172 : 체결편

Claims (8)

  1. 상향으로 일정한 각을 이루며 기울어져 연장형성하되 다수가 절곡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환봉형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 일측으로는 받침부(101)를 구비하여 지지하고 전방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동부재(11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하부에 구비되며 건물의 난간(欄干)에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지지판(105)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드럼(131)에는 체결부재(134)가 구비된 와이어로프(133)를 권취하여 구동수단(135)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이송장치부(130)와;
    상기 와이어로프(133)를 상부면에 안착하되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상부에 구비되며 1차적으로 와이어로프(133)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롤러(140)와;
    상기 제1가이드롤러(140)를 따라 가이드된 와이어로프(133)를 하측에 걸어 상방향으로 꺾어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롤러(150)와;
    상기 제2가이드롤러(150)의 상측으로 연장지지대(161)에 의해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며 와이어로프(133)를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롤러(160)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160)를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로프(133)를 걸어 가이드하며 다시 하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 서브가이드롤러(170)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롤러(150)로부터 제3가이드롤러(160)로 연장하여 가이드 될 때에 수직으로 각을 이루도록 하고 체결부재(134)에 연결된 판유리(G)를 권양하는 위치보다 높은 곳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하측에서 절곡된 부분이 직각으로 형성되되 지지판(105)이 평탄한 지면을 이루어 이송장치부(130)가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 후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2가이드롤러(150)가 제1가이드롤러(14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형성되고 측면에는 손잡이부(102)가 형성되어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 일측에서 하방으로 수직형성된 받침부(101)는 몸체부(100) 하부면에서부터 바닥면에 닿는 부분까지의 길이와 이동부재(110)가 몸체부(100) 하부면에서부터 바닥면에 닿는 부분까지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단부는 내측모서리가 라운드형성되어 건물 난간에 맞닿아 지지될 때 서로 흠이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13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지지판(105)의 상부면에 구비된 지지편(106)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133)를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드럼(131)과,
    상기 드럼(131)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구동모터(136)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방향전환조정부(137)를 구비하여 판유리(G)의 승강을 조정하도록 하고 구동모터(136)의 반대편에서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138)로 이루어진 구동수단(13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1,2가이드롤러(140),(150)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축고정(141),(151)에 연결되는 롤러축(142),(152),(162)에 설치되되 좌/우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 와이어로프(133)를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3가이드롤러(160)는, 연장지지대(161)에 연결되는 롤러축(142),(152),(162)에 설치되어 제2가이드롤러(15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133)를 지지하되 전/후로 직선운동이 가능하여 건물에 따라 연결고리(10)의 위치가 달라 위치가 변경되는 서브가이드롤러(170)에 맞게 수직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133)가 다른 각도를 형성하며 가이드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서브가이드롤러(170)는, 상부에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171)를 형성하여 연결고리(10)로부터 연장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후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편(17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KR1020090019119A 2009-03-06 2009-03-06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KR10106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19A KR101062714B1 (ko) 2009-03-06 2009-03-06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19A KR101062714B1 (ko) 2009-03-06 2009-03-06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03A KR20100100303A (ko) 2010-09-15
KR101062714B1 true KR101062714B1 (ko) 2011-09-14

Family

ID=4300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19A KR101062714B1 (ko) 2009-03-06 2009-03-06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87B1 (ko) 2018-09-17 2019-03-28 김정섭 유리 흡착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902Y1 (ko) * 1999-05-19 2002-03-06 김종철 수화물 고정장치를 구비한 운반용 카트
KR200401380Y1 (ko) * 2005-08-19 2005-11-16 이재흥 삭도용 윈치
KR200434076Y1 (ko) * 2006-09-13 2006-12-15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실외기 운반장치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902Y1 (ko) * 1999-05-19 2002-03-06 김종철 수화물 고정장치를 구비한 운반용 카트
KR200401380Y1 (ko) * 2005-08-19 2005-11-16 이재흥 삭도용 윈치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200434076Y1 (ko) * 2006-09-13 2006-12-15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실외기 운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87B1 (ko) 2018-09-17 2019-03-28 김정섭 유리 흡착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03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7668B1 (en) Roping method and apparatus
JP6319046B2 (ja) 搬送装置
JP4459636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1235674B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
CN201136745Y (zh) 便携式小型吊运机
JP4753932B2 (ja) ゴンドラ装置
KR101062714B1 (ko) 고층건물용 판유리 이송장치
JP612748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搬送システム
CN105544993A (zh) 施工方法
CN110510331B (zh) 一种高层幕墙板块自动化提升垂直供料设备
KR101119747B1 (ko) 건설자재 승강기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CN207542757U (zh) 一种用于斜行电梯随行电缆的涨紧装置
JP2008297703A (ja) Alc板等の板材の建て込み装置
KR101195247B1 (ko) 무대설비 승강장치
JP731905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7446194B2 (ja) 搬器の昇降駆動システムと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CN217457380U (zh) 建筑施工用可调式提升搬运装置
KR20170043378A (ko) 곤돌라 행거시스템
KR200446922Y1 (ko) 굴곡형 리프트의 수평유지장치
CN212639033U (zh) 一种上排装置
CN203903826U (zh) 建筑室外装修材料吊运工具
CN211003883U (zh) 一种钢带放料设备
CN110436362B (zh) 环链卷扬机吊钩稳定系统及卷扬设备
KR102035587B1 (ko) 곤도라의 수평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