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903B1 - 선재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903B1
KR100973903B1 KR1020030025101A KR20030025101A KR100973903B1 KR 100973903 B1 KR100973903 B1 KR 100973903B1 KR 1020030025101 A KR1020030025101 A KR 1020030025101A KR 20030025101 A KR20030025101 A KR 20030025101A KR 100973903 B1 KR100973903 B1 KR 10097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eel
guide plate
lo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302A (ko
Inventor
하상조
고진현
강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9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선재제조시 진행강재의 조압연 및 중간사상압연시 진행강재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위치에 설치되는 선재 가이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재 가이드장치는, 상기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도록 진행소재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다수의 입,출측 가이드롤사이에 편심캠을 매개로 제1,2 링크로서 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토록 배치되고 진행강재 발생루프에 대응하면서 마찰없이 상기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편심캠을 통하여 회전되는 회전체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위치 가변토록 입측 가이드롤에 인접 배치되면서 진행강재의 발생루프 및 후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브레이크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압연을 거쳐 중간사상압연으로 진행되는 강재의 루프에 의한 진행강재와 가이드장치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방지시키는 한편, 진행강재의 루프변경 및 후단부 진행시의 강재헌팅에 의한 설비트러블과 선재 제품의 품질저하를 예방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30025101
선재, 조압연, 중간사상압연, 가이드장치, 진행강재, 루프, 강재 후단부

Description

선재 가이드장치{A WIRE ROD GUID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의 조압연 및 중간사상압연사이에 선재 가이드장치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
도 2는 종래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선재 가이드장치에서 발생되는 마모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상적인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b)는 루프발생 또는 헌팅현상의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에 설치되는 테이퍼형 가이드롤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의 브레이크롤을 통한 진행강재 가이드상 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직선상으로 진행되는 진행강재의 가이드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는 진행강재의 루프발생이나 후단부를 가이드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재 가이드장치 10.... 가이드롤
12.... 장치베이스 20.... 가이드 플레이트
24,52.... 피봇 26.... 구동실린더
28.... 수직 가이드판 40.... 사이드 플레이트
42,46.... 제 1,2 링크 44.... 편심캠
50.... 베이스 플레이트 60.... 브레이크롤
62.... 회전아암 64.... 웜기어
66.... 웜휠 68.... 회전체
70.... 테이퍼형 가이드롤 80.... 근접센서
본 발명은 선재제조시 진행강재의 조압연 및 중간사상압연시 진행강재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위치에 설치되는 선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 히는 조압연을 거쳐 중간사상압연으로 진행되는 강재의 경로변경구간에서 강재의 루프발생이나 헌팅현상시 진행강재와 가이드 및 사이드 플레이트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방지시키는 한편, 진행강재의 루프발생 및 후단부 진행시 헌팅(hunting)에 의한 설비트러블과 선재제품의 품질저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선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선재는 강재를 여러 단계의 압연공정을 거쳐 생산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번-13번 압연기 스탠드의 조압연공정(A)을 거친 진행강재(W)는 그 진행경로가 직선에서 곡선으로 변경되면서 14번-19번 압연기 스탠드의 중간사상 압연공정(B)을 거치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마무리압연을 거쳐 선재로 생산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강재(W)가 조압연시에는 직선상으로 그 진행이 이루어 지지만, 중간사상 압연시에는 압연기 스탠드의 설치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진행강재(W)는 그 진행경로가 변경되고, 이와 같은 진행강재(W)의 경로변경구간 즉, 도 1에서 조압연구산 A 와 중간사상압연구간 B 사이의 위치인 C 에는 선재 가이드장치가 설치되는데, 도 2 및 도 3 에서는 상기 C위치에 설치되는 종래의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압연(도 1의 'A')의 출측롤 (110)과 중간사상압연(도 1의 'B')의 입측롤(120)사이에 여러개의 가이드롤(130)들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130)사이에는 실린더(142)로서 리프팅되는 가이드 플 레이트(140)가 베이스(144)상의 사이드 가이드(146) 상측으로 배치되어 가이드장치 (10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출측롤(110)을 통과하는 진행강재 후단부와 입측롤(120)을 통과하는 진행강재 선단부간의 롤 회전속도가 차이가 나는 등의 여러 요인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진행강재(W)의 루프(W')가 발생되면 상기 실린더(142)는 하강하여 지지축(143)을 축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40)를 들어 올리게 된다.
그러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강재(W)에 강한 텐션(tension)이 발생되거나, 진행강재(W)의 후단부가 출측롤(110)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진행강재 (W)가 적정한 루프(W')를 유지하면서 진행되지 못하고, 출렁임 즉, 헌팅현상이 발생되면서 가이드장치(100)의 상기 사이드 가이드(146)와 심하게 접촉되면서 마찰되고, 이경우 진행강재(W)는 물론, 사이드 가이드(146)등의 설비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진행강재(W)가 과대루프를 형성하면서 진행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롤( 130)들과 심하게 마찰되면서 롤들을 손상시키게 된다.
결국, 종래의 조압연과 중간사상압연사이에 설치되는 선재 가이드장치(100)에 있어서는, 현팅현상이나 과대 루프에 의한 설비손상은 물론, 선재로 생산되는 진행강재의 표면에도 결함을 발생시키어 선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면서 설비의 잦은 보수 및 교체작업으로 가이드장치의 가동성을 저하시키고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체적인 선재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압연을 거쳐 중간사상압연으로 경로가 변경되면서 진행되는 강재의 발생루프와 가이드 및 사이드 플레이트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방지시키는 한편, 진행강재의 루프변경 및 후단부 진행시의 강재헌팅(출렁임, hunting)에 의한 설비트러블과 선재제품의 품질저하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설비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선재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선재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조압연과 중간사상압연사이에 설치되어 선재로 생산되는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도록 진행소재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다수의 입,출측 가이드롤사이에 편심캠을 매개로 제1,2 링크로서 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토록 배치되고 진행강재 발생루프에 대응하면서 마찰없이 상기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편심캠을 통하여 회전되는 회전체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위치 가변토록 입측 가이드롤에 인접 배치되면서 진행강재의 발생루프 및 후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브레이크롤;
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재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에 설치되는 테이퍼형 가이드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의 브레이크롤을 통한 진행강재의 가이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가이드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 가이드장치(1)는, 가이드 및 사이드 플레이트 (20)(40) 및 브레이크롤(60)로서 나누어 질 수 있고, 추가적으로 테이퍼형 가이드롤 (70) 및 근접센서(8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20)(40)(60)(70)(8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1)의 상기 가이드 및 사이드 플레이트(20)(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가이드 및 사이드 플레이트 (20)(40)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강재(W)가 직선상으로 진행될 때에 그 내측으로 마찰없이 진행강재(W)가 통과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및 사이드 플레이트(20)(40)는, 조압연을 거친 진행강재 (W)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진행강재(W)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다수의 입,출측 가이드롤(10a)(10b)사이에 서로 연동토록 배치되어 진행강재 발생루프(W')에 대응하면서 마찰없이 상기 진행강재(W)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와 사이드 플레이트(40)를 분리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는 장치 베이스(12)상의 수직대(22)에 피봇(24)되고, 그 후단부에는 베이스(12)에 수직 설치된 구동실린더(26)가 연결되며, 상기 진행강재(W)의 외측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판 (28)이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봇(24)은 상기 수직대(22)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저면 중앙측에 설치된 피봇블록(24a)에 체결되어 상기 피봇(24)을 축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는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6)는 그 로드(26a)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저면측 중앙으로 상기 피봇블록(24a)의 전방에 설치된 고정블록(26b)에 핀(26c)으로 체결되어 있고, 결국 상기 구동실린더 (26)가 상승 및 하강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봇(24)을 축으로 시소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를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와 제 1 링크(42)로 연결되고, 장치 베이스(12)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편심캠(44)의 제 1 링크 반대측에 연결된 제 2 링크(46)가 후면에 연결되며 장치베이스(12)상에 피봇(52)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상승시 베이스 플레이트(50)에서 경사지게 멀어지면서 진행소재와의 마찰을 방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피 봇(52)은 장치 베이스(12)상의 수직대(52a)에 베어링을 통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26)에 의한 가이드 플레이트 (20)의 상승시 진행강재(W)의 베이스 플레이트(50)에서 멀어지면서 경사지게 이탈될때, 그 피봇축이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4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블록(42a)에 핀(42b)으로 그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 1 링크(42)의 타단은 상기 편심캠(44)의 고정블록(44a)에 핀(44b) 체결되며, 상기 제 2 링크(46)도 제 1 링크(42)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심캠(44)의 타측 고정블록(44c)에 핀(44d)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40)의 후면 고정블록(46a)에 핀(46b)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44)은 그 편심중심개구(44e)에 장치 베이스(12)상에 설치된 베어링블록(45a)에 체결되는 회전축(45b)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6)가 하강작동하면 가이드플레이트(20)는 피봇(24)을 축으로 선단부 수직 가이드판(28)측은 상승하고, 동시에 제 1 링크(42)는 편심캠(44)을 회전시키어 이에 연결된 제 2 링크 (46)는 사이드 플레이트(40)를 피봇(52)을 축으로 진행강재(W)의 진행경로상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50)에서 멀어지도록 하고, 결국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강재(W)가 과다한 루프(W')에 의하여 출렁이는 헌팅현상이 발생되어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위치가 바로 조정됨으로서, 마찰에 의한 강재 및 사이드플레이트(40) 그리고 가이드플레이트(20)의 수직가이드판(28)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1)의 상기 브레이크롤 (6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롤(60)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토록 상기 입측 가이드롤(10a)에 인접 설치되어 진행강재(W)의 루프 및 후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롤(60)은, 상기 편심캠(44)에 체결되는 회전축(45b)에서 신장되고 베어링블록(45a)을 통과하는 회전아암(62)의 단부에 형성된 웜기어(64)와 맞물리는 웜휠(66)이 하부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장치 베이스(12)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68)의 상부에 대략 3개가 설치되고, 이와 같은 브레이크롤(60)들은 그 위치가 조정되면서 내측을 통과하는 진행강재(W)를 가이드하여 강재 후단부가 입측 가이드롤(10a)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강재가 출렁이는 헌팅현상을 방지시킨다.
한편, 도 4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행강재(W)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50)에는 진행강재(W)의 과다루프를 조정하는 테이퍼형 가이드롤(7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베이스(12)상에 호형으로 설치된 지지대(72)와 반대측 고정대(74)사이에 회전축(76)이 각각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76)에 테이퍼진 롤몸체(78)가 연결되는 구성인데, 이와 같은 테이퍼형 가이드롤(70)은 진행되는 강재(W)가 과도하게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감소시키어 과도한 루프에 의한 여러 트러블을 방지시킨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중앙 상부에는 수직하게 근접센서(8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근접센서(80)는 장치 제어판넬(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강재(W)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할때, 예를 들어 진헹강재의 발생루프(W')가 과도하거나 강재 후단부가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헌팅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근접센서(80)에서 강재의 진행경로가 벗어나면, 장치 제어판넬과 연결된 구동실린더(26)의 유닛을 통하여 구동실린더(26)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압연을 거쳐 중간사상압연으로 진행되는 강재가 직선상에서 곡선상의 이동경로로 변경되면서 진행되는때에 발생되는 루프에 의한 진행강재와 가이드장치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방지시키는 한편, 진행강재의 루프변경 및 후단부 진행시의 강재헌팅(출렁임, hunting)에 의한 설비트러블과 선재제품의 품질저하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설비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선재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본 발명의 선재 가이드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강재(W)가 정상적인 진행겨로를 따라 진행될때에는, 상기 진행강재(W)는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수직 가이드판 (28)과 사이드 플레이트(40)사이에서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도 4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강재(W)가 입,출측 가이 드롤(10a)(10b)사이에서 진행강재의 발생루프(W')가 과도하거나 강재 후단부가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출렁임 즉, 강재의 헌팅현상이 발생되면, 진행강재(W)는 근접센서 (80)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때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 제어판넬에 의하여 구동실린더(26)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6)가 하강작동하면 가이드플레이트(20)는 피봇(24)을 축으로 선단부 수직 가이드판(28)측은 상승하고, 동시에 제 1 링크(42)는 편심캠(44)을 회전시키어 이에 연결된 제 2 링크 (46)는 사이드 플레이트(40)를 피봇(52)을 축으로 진행강재(W)의 진행경로상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50)에서 멀어지도록 하고, 결국 진행강재(W)와 사이드 플레이트(40) 또는 가이드플레이트(20)와의 심한 접촉에 의한 마찰을 방지시키게 된다.
결국, 조압연을 거친 강재(W)가 중간사상압연으로 진입되기 전에 과도한 루프 및 헌팅현상이 발생되어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위치가 바로 조정됨으로서, 마찰에 의한 강재 및 사이드플레이트(40)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수직가이드판(28)이 손상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강재(W)의 루프가 과도하게 되면,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전방으로 설치된 테이퍼형 가이드롤(70)에 의하여 외곽측으로 강재가 진행될 수록 접촉력이 높아지면서 강재는 그 루프가 적정하게 조정되게 된다.
다음,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재(W)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때에는 강재는 브레이크롤(60)들사이에 근 접촉없이 진행되지만,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 이, 진행강재의 진행경로가 변경되면서 근접센서(80)에 위하여 구동실린더(26)가 구동되면, 도 5 및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44)에 체결된 회전축(45b)의 회전아암(62)이 회전하고 일체로 워엄기어(64)가 회전체(68)의 웜휠(66)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브레이크롤(60)들은 도 9b에서와 같이 위치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롤(60)들을 통하여 1차적으로 접촉되면서 과도하지 않은 적정한 루프가 발생된 강재(W')는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특히 강재(W)의 후단부가 통과할때에는 보다 접촉력을 갖고 가이드하면서 종래 강재가 철렁거리는 헌팅현상을 방지시킴으로서, 강재와 가이드장치(1)의 여러 설비와의 접촉에 따른 마찰문제를 다시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1)에 의하면, 1차적으로 강재의 루프발생시 과도하지 않은 정상적인 루프시에는 접촉에 의한 마찰을 방지하고, 과도한 루프나 헌팅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진행강재(W)를 진행을 가이드함으로서,전체적인 강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선재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진행강재에 장력이 발생 되거나 진행 강제가 후단부로써 적정한 루프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도 강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여 설비손상 및 강재의 손상에 따른 품질저하는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 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조압연과 중간사상압연사이에 설치되어 선재로 생산되는 진행강재(W)를 가이드하는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진행강재(W)를 가이드하도록 진행소재 이동경로상에 배치된 다수의 입,출측 가이드롤(10a)(10b)사이에 편심캠(44)을 매개로 제1,2 링크(42)(46)로서 서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토록 배치되고 진행강재 발생루프(W')에 대응하면서 마찰없이 상기 진행강재(W)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 플레이트(20)와 사이드 플레이트(40);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편심캠을 통하여 회전되는 회전체(68)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위치 가변토록 입측 가이드롤(10a)에 인접 배치되면서 진행강재(W)의 발생루프 및 후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브레이크롤(6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는 장치 베이스(12)상의 수직대(22)에 피봇(24)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단부에는 베이스(12)에 수직 설치된 구동실린더(26)가 연결되며, 상기 진행강재(W)의 외측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판(28)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가이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와 상기 제 1 링크(42)로 연결되고, 장치 베이스(12)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편심캠(44)에 연결된 제 1 링크의 반대측으로 상기 편심캠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링크(46)가 후면에 연결되면서 장치베이스(12)상에 피봇(52)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승시 베이스 플레이트(50)에서 경사지게 멀어지면서 진행소재와의 마찰을 방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가이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롤(60)은 상기 회전체(68)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68)는 구동실린더(26)로서 이동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링크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편심캠(44)에 체결되는 회전축(45b)에서 신장되는 회전아암(62)의 단부에 형성된 웜기어(64)와 맞물리는 웜휠(66)이 하부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진행강재 루프 및 후단부 통과시 회전하면서 진행강재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가이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강재(W)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50)에 진행강재(W)의 과다루프를 조정토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테이퍼형 가이드롤(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에는 진행강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80)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가이드장치.
KR1020030025101A 2003-04-21 2003-04-21 선재 가이드장치 KR10097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101A KR100973903B1 (ko) 2003-04-21 2003-04-21 선재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101A KR100973903B1 (ko) 2003-04-21 2003-04-21 선재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302A KR20040091302A (ko) 2004-10-28
KR100973903B1 true KR100973903B1 (ko) 2010-08-03

Family

ID=3737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101A KR100973903B1 (ko) 2003-04-21 2003-04-21 선재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55B1 (ko) * 2005-12-23 2013-01-3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의 공기분사식 곡선가이드 장치
CN108772427A (zh) * 2018-04-09 2018-11-09 新疆八钢铁股份有限公司 压尾式活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30B1 (ko) 2001-09-14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0782752B1 (ko)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30B1 (ko) 2001-09-14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0782752B1 (ko)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302A (ko)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6778A (en) Device for threading a transfer strip of a paper web through the drying cylind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CN1203941C (zh) 制造金属带的带材连铸机及其控制方法
KR100973903B1 (ko) 선재 가이드장치
CN1226941A (zh) 用于喂入和压平絮条的装置
US4620583A (en) Loop type continuous metal casting machine
KR20190071460A (ko) 업루퍼 시스템
KR100878691B1 (ko) 루퍼 캐리지의 강판사행 조정장치
KR100960377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빌리롤 수평 유지장치
JP3646216B2 (ja) ビレットのガイドレス連続圧延方法
KR200215193Y1 (ko) 강판의 흔들림 방지 및 비상 정지장치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1079536B1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200153852Y1 (ko) 냉면강판의 롤마크 제거장치
JP3590502B2 (ja) 酸洗タンクの鋼帯支持装置
RU20951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ирования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155909Y1 (ko) 루프카의 스트립 지지장치
KR100878666B1 (ko) 선재 유도장치
KR20000007652U (ko) 선재압연 사이드루퍼의 안내롤러 위치 자동조절장치
JPH06304638A (ja) 帯材貯蔵装置
KR200290263Y1 (ko) 선재압연 업 루퍼의 입측 안내롤러 높이 자동조절장치
CN115365326A (zh) 一种用于矫直金属板带的拉矫机
JP2602958B2 (ja) H形鋼の圧延用ガイド
KR20030097416A (ko) 루퍼카의 자동 조향장치
CA1084472A (en) Traverse mechanism for winding fiber glass
JP3422343B2 (ja) 方向切換ゲートを有するピンチ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