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549Y1 -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 Google Patents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549Y1
KR200154549Y1 KR2019950045027U KR19950045027U KR200154549Y1 KR 200154549 Y1 KR200154549 Y1 KR 200154549Y1 KR 2019950045027 U KR2019950045027 U KR 2019950045027U KR 19950045027 U KR19950045027 U KR 19950045027U KR 200154549 Y1 KR200154549 Y1 KR 200154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ccelerator
end portion
throttle lever
cabl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987U (ko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5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549Y1/ko
Publication of KR970040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9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4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control lin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3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alternatively mechanically linked to the pedal or moved by an electric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엑셀러레이터 시스템에서 엑셀러레이터 페달 작동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엔드부가 드로틀 레버에서 이탈하여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엔드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수단은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접속되어 드로틀 레버를 작동하게 되는 케이블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엔드부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형의 와셔를 끼운 후 핀으로 체결하여 상기 드로틀 레버의 양측면을 플랜지와 와셔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로틀밸브의 작동을 위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엔드부의 구조
본원 고안은 엑셀러레이터 페달 작동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과 드로틀 레버 연결부에서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엔드부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 엑셀러레이터 케이블과 드로틀 레버 연결부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케이블(1) 끝에 원통형의 케이블 엔드부(7)가 개재되어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작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엑셀러레이터 페달 작동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1)과 드로틀 레버(2) 연결부에서의 유격으로 인해 케이블 엔드부(7)가 드로틀 레버(2)에서 이탈하여 드로틀 밸브가 정상적으로 개도되지 아니하므로써 가속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점선 도시 참조)
이에 본원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량의 엑셀러레이터 시스템에서 엑셀러레이터 페달 작동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엔드부가 드로틀 레버에서 이탈하여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엔드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수단은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접속되어 드로틀 레버를 작동하게 되는 케이블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엔드부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형의 와셔를 끼운후 핀으로 체결하여 상기 드로틀 레버의 양측면을 플랜지와 와셔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엔드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중 부호 1은 엑셀러레이터 페달에 접속되는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이며 부호 2는 드로틀레버이다.
상기 엑셀러레이터 케이블(1)과 드로틀레버(2) 연결부에는 케이블엔드부(3)가 개재되며 상기 케이블 엔드부(3)는 케이블(1)의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블 엔드부(3)의 일측은 플랜지(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타측에는 원판형의 와셔(5)를 끼운 후 핀(6)을 체결하여 와셔(5)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4)와 와셔(5)가 상기 드로틀 레버(2)의 양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블엔드부(3)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엔드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제 2 도는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2 : 드로틀 레버
3 : 케이블 엔드부 4 : 플랜지
5 : 와셔 6 : 핀
이상과 같은 본원 고안은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엔드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드로틀레버의 양측면부를 지지하도록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케이블 엔드부가 드로틀 레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속 불량 방지 및 안전사고 예방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접속되어 드로틀 레버를 작동하게 되는 케이블 엔드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엔드부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판형의 와셔를 끼운후 핀으로 체결하여 상기 드로틀 레버의 양측면을 플랜지와 와셔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틀 밸브의 작동을 위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엔드부의 구조.
KR2019950045027U 1995-12-21 1995-12-21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KR200154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027U KR200154549Y1 (ko) 1995-12-21 1995-12-21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027U KR200154549Y1 (ko) 1995-12-21 1995-12-21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87U KR970040987U (ko) 1997-07-29
KR200154549Y1 true KR200154549Y1 (ko) 1999-08-16

Family

ID=1943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027U KR200154549Y1 (ko) 1995-12-21 1995-12-21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5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8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7871A (ja) 自動車に搭載される自動駐車ブレーキ装置の解除を制御するシステム
JPH03500869A (ja) 自動乗物用のブレーキ作動組立体
US20100212447A1 (en) Shifting device for a vehicle transmission
ES8701076A1 (es) Disposicion mejorada para accionador de frenos de vehiculos automoviles
KR200154549Y1 (ko) 드로틀밸브의작동을위한엑셀레이터케이블앤드부의구조
KR200458530Y1 (ko)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가속 및 차량결함에 의한 급발진사고 방지장치
US8777333B2 (en) Brake force generator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having a support device for a resetting spring
WO2002034562A1 (en) Back-up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e-by-wire vehicle
KR100534877B1 (ko)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KR100199733B1 (ko)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KR10019638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자동차단구조
KR100328140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및 급가속 방지장치
JP3547266B2 (ja) エアバッグ装着車両の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19980051496U (ko) 자동차의 조작력 저감형 클러치구조
KR19990040769A (ko)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의 동시 작동시 브레이킹 우선 장치
KR100579224B1 (ko)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20641B1 (ko) 차량의 실수로 인한 급가속 제어장치
KR0132915B1 (ko) 차량용 파킹브레이크 케이블 설치구조
KR19980074154A (ko) 차량용 가속페달 제어장치
KR100222317B1 (ko) 유압식브레이크씨스템의 유압단속장치 설치방법
KR970004578Y1 (ko) 차량의 브레이킹 장치
KR19980055401A (ko) 자동변속기용 콘트롤 케이블의 고정 구조
KR0179474B1 (ko) 자동차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8354U (ko) 스냅핀
KR19980049203U (ko) 차량용 파킹해제용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