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733B1 -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 Google Patents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733B1
KR100199733B1 KR1019960053916A KR19960053916A KR100199733B1 KR 100199733 B1 KR100199733 B1 KR 100199733B1 KR 1019960053916 A KR1019960053916 A KR 1019960053916A KR 19960053916 A KR19960053916 A KR 19960053916A KR 100199733 B1 KR100199733 B1 KR 10019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late
limit plate
accelerator
over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541A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7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는 액셀레이터 페달(10)이 힌지결합된 액셀레이터 플레이트(30)에 리미트 플레이트(20)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인 리미트 플레이트(20)는 일단이 액셀레이터 플레이트(30)에 힌지결합되어 선스프링(21)으로 지지되며 액셀레이터 페달(10)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페달(10)이 통상작동범위(P1~P2)를 넘어 과속작동범위(P2~P3)로 진입하면 페달(10)이 리미트 플레이트(20)에 닿게 되고, 페달(10)을 그 이상 회전시키려하면 선스프링(21)으로 지지된 리미트 플레이트(20)를 함께 회전시켜야 하므로, 더 큰 답력이 요구되며, 더욱이 선스프링(21)의 탄성력의 변화에 따라 과속작동범위(P2~P3)에서 페달(10)을 작동하는 데 필요한 답력은 회전위치에 따라 점증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 플레이트(20)를 구비한 페달(10)을 사용하므로써 운전자의 과속을 억제하여,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셀레이터 페달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가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과속과 이로인한 사고들이 사회문제화되면서, 차량의 속도를 구조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가고 있다. 에컨데, 96년부터는 상용차에 대해 속도제한장치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모든 상용차에 리타더(retarder)라 불리는 감속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자동자의 과속의 경우에는 의도적인 과속운전도 있지만 과속운전이 습관화되어 운전자도 모르는 사이에 과속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한편, 자동차의 액셀레이터페달은 기화기의 드로틀밸브와 연결되어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엔진으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가속을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유일한 수단인 액셀레이터페달에 과속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습관적인 과속을 방지하는 과속방지장치가 개발된다면 과속과 이로인한 사고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셀레이터페달의 작동을 조절하여 과속을 방지할 수 있는 액셀레이터 페달용 과속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페달의 작동을 설명하는 제1도에 유사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셀레이터 페달 11 : 누름돌기
20 : 리미트 플레이트 21 : 선스프링
30 : 페달 플레이트 31 : 힌지단
32 : 페달 힌지부 33 : 플레이트 힌지부
34 : 스프링 고정부 P1 : 시작위치
P2 : 제한위치 P3 : 바닥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면에 누름돌기를 구비한 페달, 차체에 고정되며 페달의 종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페달플레이트, 상기 페달과 페달 플레이트 사이에 페달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종단이 페달플레이트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리미트 플레이트, 및 상기 페달플레이트로부터 리미트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수단으로 일단이 페달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리미트 플레이트의 저면에 밀착되는 선스프링을 사용하는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 플레이트를 구비한 페달을 사용하므로써 운전자의 과속을 억제하여 과속운전을 피하도록 하므로써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가 부설된 액셀레이터 페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가 부설된 액셀레이터 페달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는 액셀레이터 페달(10)이 힌지결합된 액셀레이터 플레이트(30)에 리미트 플레이트(20)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1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액셀레이터 플레이트(30)의 힌지단(3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저면에 리미트 플레이트(21)를 누르기 위한 누름돌기(11)가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페달을 밟았다가 해방하면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 플레이트(20)는 일단이 액셀레이터 플레이트(30)에 힌지결합되어 선스프링(21)으로 지지되며 액셀레이터 페달(10)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플레이트(30)는 힌지단(31)에 한 쌍의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의 힌지공에는 핀 등으로 페달(10)이 힌지되어 페달힌지부(32)를 형성하고, 내측의 힌지공에는 리미트플레이트(21)가 핀 등으로 힌지되어 리미트 플레이트 힌지부(33)를 형성한다. 또한, 리미트플레이트 힌지부(33) 부근에는 선스프링(21)의 일단이 고정되어 스프링고정부(34)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10)의 작동설명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페달(10)의 작동은 원호로 도시된 바와 같이 2단계로 작동된다. 먼저 페달(10)의 시작위치(P1)에서 리미트 플레이트(20)와의 접촉지점인 제한위치(P2)까지의 통상작동범위(P1~P2)와 제한위치(P2)로부터 리미트 플레이트(20)의 최종 하사점인 바닥위치(P3)까지의 과속작동범위(P2~P3)로 구분된다.
이에따라, 통상적인 가속범위인 통상작동범위(P1~P2)에서는 종래의 페달과 동일한 답력(페달 조작력)에 의해 페달(10)이 작동된다.
그러나, 페달(10)이 통상작동범위(P1~P2)를 넘어 과속작동범위(P2~P3)로 진입하면 페달(10)의 배면에 형성된 누름돌기(11)가 리미트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닿아 페달(10)을 그 이상 회전시키려하면 선스프링(21)으로 지지된 리미트 플레이트(20)를 함께 회전시켜야 하므로, 더 큰 답력이 요구되게 된다. 더욱이, 선스프링(21)의 탄성력의 변화에 따라 과속작동범위(P2~P3)에서 페달(10)을 작동하는 데 필요한 답력은 회전위치에 따라 점증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페달(10)을 과속작동범위(P2~P3)내에서 유지하게 되면 운전자는 리미트 플레이트(20)의 반력에 의해 피로를 느끼게 되어 과도한 과속상태에서 벋어나도록 유도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 플레이트(20)를 구비한 페달(10)을 사용하므로써 운전자의 과속을 억제하여, 과속운전을 피하도록 하므로써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인 리미트 플레이트(20)는 페달(10)의 회전각에 따라 리미트 플레이트(20)가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과도한 과속 상태임을 알려주는 경보장치로서의 기능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장치는 페달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된 리미트 플레이트와 선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므로 염가로 제공될 수 잇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배면에 누름돌기를 구비한 페달, 차체에 고정되며 페달의 종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페달플레이트, 상기 페달과 페달 플레이트 사이에 페달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종단이 페달플레이트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리미트 플레이트, 및 상기 페달플레이트로부터 리미트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일단이 페달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리미트 플레이트의 저면에 밀착되는 선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KR1019960053916A 1996-11-14 1996-11-14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KR10019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916A KR100199733B1 (ko) 1996-11-14 1996-11-14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916A KR100199733B1 (ko) 1996-11-14 1996-11-14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41A KR19980035541A (ko) 1998-08-05
KR100199733B1 true KR100199733B1 (ko) 1999-06-15

Family

ID=1948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916A KR100199733B1 (ko) 1996-11-14 1996-11-14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851B1 (ko) * 2002-02-15 2007-09-18 주식회사 코오롱 고무보강용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의 제조방법
KR100456519B1 (ko) * 2002-05-15 2004-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가속 페달
KR100879061B1 (ko) * 2006-12-14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 페달 시스템
KR101101609B1 (ko) * 2011-10-24 2012-01-02 주식회사 대진전자 전자파 확인 및 소거장치를 구비한 전기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4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2690Y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ケ−ブル接続構造
KR100199733B1 (ko)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JP2959235B2 (ja) ペダル装置
KR100534877B1 (ko)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JP3085191B2 (ja) 電子式アクセルペダル構造
JPH0948259A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0120233Y1 (ko) 자동차 가속페달의 급조작 방지장치
KR200154138Y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0153191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오작동 방지기구
KR200198935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아이들 콘트롤 장치
KR19990023872U (ko) 차량의 가속페달 조절장치
KR0128039Y1 (ko) 자동차용 틸트 컬럼의 구조
KR200152714Y1 (ko) 악셀러레이터 페달 급가속 방지장치
JPH0132096Y2 (ko)
KR0128940Y1 (ko) 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잠금 장치
KR19990029078U (ko) 자동차의 기계식 속도 제한장치
KR200170026Y1 (ko) 오토매틱트랜스미션의장착자동차의오버드라이브작동스위칭구조
KR0156455B1 (ko) 회전속도 감응형 온/오프 스위치장치
JPS6144907Y2 (ko)
KR0119989Y1 (ko)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력 선형화장치
KR200157132Y1 (ko) 자동차 가속페달의 스토퍼장치
JPH11348597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0189686Y1 (ko) 오토매틱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KR20010000631U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970000917Y1 (ko) 자동차 클러치 페달 조작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